불포화투수계수를 이용한 지반의 연속 침투능 산정

Estimation of Continuous Infiltration Process by Unsaturated Permeability

  • 한희수 (금오공과대학교 토목환경공학부) ;
  • 이정식 (금오공과대학교 토목환경공학부) ;
  • 장진욱 (금오공과대학교 대학원 토목공학과) ;
  • 양남용 (금오공과대학교 대학원 토목공학과)
  • Han, Heui-Soo (School of Civil and Environmental Engrg., Kumoh National Institute of Technology) ;
  • Lee, Jung-Sik (School of Civil and Environmental Engrg., Kumoh National Institute of Technology) ;
  • Jang, Jin-Uk (Department of Civil Engrg., Graduate School, Kumoh National Institute of Technology) ;
  • Yang, Nam-Young (Department of Civil Engrg., Graduate School, Kumoh National Institute of Technology)
  • 투고 : 2010.04.28
  • 심사 : 2010.06.08
  • 발행 : 2010.06.30

초록

강우시 침투량 산정을 위하여 일반적으로 기존의 침투능 산정식인 Horton 공식 및 Green-Ampt 공식으로 지반 내 침투능을 산정해 왔다. 하지만, 실제 강우로 인한 지반 침투는 연속적으로 침투가 이루어지므로, 이와 같은 불연속적인 침투량 산정공식의 단점을 보완하고자 연속적인 침투능 산정공식을 새로이 유도하여, 침투능 및 침투량을 비교 분석하고자 하였다. 유도된 식 및 기존의 침투공식을 검증하기 위한 침투실험을 행하여 각 식의 결과들을 비교 분석하였다. 함수비 혹은 포화도의 함수인 불포화투수계수는 직접적으로 침투능 및 침투량에 영향을 끼치므로, 새로이 유도된 식은 침투과정에 따른 불포화투수계수의 변화를 이용하여 보다 정확한 침투능 및 침투량을 산정하고자 하였으며, 침투로 인한 구조물의 안정 및 지하수 거동을 보다 정확히 해석하기 위한 것이다.

To estimate the accumulated infiltration, Horton's and Green-Ampt's equations are usually applied. Because the real infiltration is penetrated into the soil continuously, to cover the problems of the conventional equations derived from the discontinuous infiltration system, new infiltration equation is derived from the concepts of continuous infiltration system. Furthermore, infiltration tests were done to compare the results from the conventional Horton's and Green-Ampt's equations and newly derived equation. Unsaturated permeability is the function of water content ratio or saturation degree, which affects directly to the infiltration capacity and accumulated infiltration. Therefore, the variation term of unsaturated permeability is inserted into the new equation to estimate the proper infiltration capacity and accumulated infiltration. It will make the more accurate analysis for the safety of structure and the behavior of groundwater.

키워드

참고문헌

  1. 사공명, 유재호, 이성진, 2009, 강우로 인한 조림토사면에서의 토층두께변화에 따른 사면의 활동 분석 : 실내모형실험, 한국지반공학회논문집, 25(4), 91-103.
  2. 이재수, 2006, 수문학, 구미서관, 201-226
  3. 조성은, 이승래, 2001, 불포화 토사사면의 얕은파괴 해석에 대한 비교 연구, 한국지반공학회논문집, 7(4), 133-143.
  4. 한국지반공학회, 2006, KS F 2312.
  5. 홍원표, 최승호, 한중근, 황인철, 1996, 강우시 사면안정해석법에 관한 연구, 대한토목학회 학술발표회 논문집(III), 195-198.
  6. Brook, R.H., and Corey, A.T., 1964, Hydraulic Properties of Porous Media, Colorado State University Hydrology Papers, 3, 1-27.
  7. Chen, L., and Young, M.H., 2006, Green-Ampt infiltration model for sloping surfaces, Water Resources Research, 42(7), 1-9.
  8. Irmay, S., 1954, On the Hydraulic Conductivity of Unsaturated Soils, Trans Am. Geophys. Union, 35(3), 463-467. https://doi.org/10.1029/TR035i003p00463
  9. Pradel, D., and Raad, G., 1993, Effect of Permeability on Surficial Stability of Homogeneous Slopes, Journal of Geotechnical Engineering, 119(2), 315-332. https://doi.org/10.1061/(ASCE)0733-9410(1993)119:2(3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