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the Implied Terms of Safe Berth under Voyage Charterparty

항해용선계약상 안전선석의 묵시조건에 관한 연구

  • 한낙현 (경남대학교 경제무역학부) ;
  • 김은주 (일본 후쿠오카대학 상학부)
  • Received : 2010.07.08
  • Accepted : 2010.08.31
  • Published : 2010.09.30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aims to analyse the implied terms of safe berth under Voyage charterparty with the Rebon case. Where the safety of the berth is warranted, but not the safety of the port, then the charterer's obligation is to nominate a berth which can be approached safely from within the port and which was itself, save insofar as affected by hazards or risks which affect the port as a whole or all of the berths within it. This case is an appeal from an order made by the judge dismissing an appeal from a final declaratory award on preliminary issues made by arbitrators. The judge expressed the question for decision somewhat differently as follows: if a specific load port is named in a voyage charterparty and there are several possible berths within that port to which a vessel could be directed to load by the charterers and there is no express warranty in the charterparty of the safety of either the port or the berth to which the vessel is to be directed by the charterers, is the charterparty subject to an implied term that the charterers must nominate a safe berth at that load port?

항의 안전이 아니라 선석의 안전이 담보되는 경우 용선자는 항이나 항내의 모든 선석에 영향을 미치는 해태 또는 위험에 의해 영향을 받지 않는 항내에 안전하게 접근할 수 있는 선석을 지정할 의무가 있다. Rebon호 사건에 있어서 판사는 중재인에 의해 이루어진 예비적 쟁점에 관한 최종선언적 중재판정을 기각하였는데, 이 사건은 제1심의 판사에 의해 이루어진 결정에 대한 상소와 관련된 사안이다. 제1심 판사는 결정에 대한 질문을 다음과 같이 다소 다르게 설명하였다. 즉 항해용선계약에 특정선적항을 지정하고 있거나, 용선자에 의해 항내에 선석을 지정할 수 있는 몇 개의 선석이 있거나, 용선계약상 선박에 대해 용선자에 의해 지시되어야 할 항 또는 선석 중 안전에 대한 명시담보가 없는 경우, 용선계약상 용선자가 선적항에서 안전선석을 지정할 묵시조건에 따르고 있는지 등이다. 판사는 법률문제라는 성격을 변경하지 않으면서 더욱더 정확한 조건에 기초하여 그 논점을 고려하였다. 그런데 판사는 그 질문에 대해 부정적으로 해답하였다. 이 사건에서의 쟁점이 중재에 회부되어 용선자에게 유리한 판정이 내려졌다. 선주는 지방법원에 상소하였지만 기각되었기 때문에 항소법원에 상소한 사안이다. 본 연구에서는 항해용선계약의 안전선석에 대한 묵시조건과 관련된 사안인 Rebon호 사건을 중심으로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김종석, "안전항의 판단기준에 관한 연구," 해양비즈니스 , 제15호, 한국해양비즈니스학회, 2010, pp.59-80.
  2. 박용섭, 해상법론 , 형설출판사, 1994.
  3. 송상현.김현, 해상법원론 제4판 , 박영사, 2008.
  4. 심재두, "영국 해상물건운송법${\circled6}$," 해양한국 , 통권 제237호, 1993, p.146.
  5. 오세영.유시융, "용선계약의 안전항 담보조건," 한국해법학회지 , 제19권 제1호, 한국해법학회,1997, pp.157-170.
  6. 이광희.이원정, 용선계약실무 , 박영사, 2009.
  7. 이균성, 신해상법대계 , 한국해양수산개발원, 2010.
  8. 이창희, "용선자의 안전항 지정의무에 대한 소고," 한국해법학회지 , 제27권 제1호, 한국해법학회, 2005, pp.41-73.
  9. 정영석, 용선계약법강의 , 해인출판사, 2005.
  10. 한낙현, "항해용선계약상 안전항담보의무위반에 의한 초과정박손해배상금의 청구에 관한 연구," 한국항만경제학회지 , 제25집 제2호, 한국항만경제학회, 2009, pp.149-174.
  11. 谷本裕範좵宮脇亮次, 新좵傭船契約の實務的解說 , 成山堂, 2008.
  12. 松井孝之, 設問式定期傭船契約の解說(改訂版) , 成山堂, 2007.
  13. Baughen, S., Shipping Law, 4th ed., Cavendish Publishing Ltd., 2009.
  14. Boyd, S. C., et al., Scrutton on Charterparties and Bill of Lading, 21st ed., Sweet & Maxwell Ltd., 2008.
  15. Coghlin, T., et al., Time Charters, 6th ed., Informa, 2008.
  16. Cooke, J., et al., Voyages Charters, 3rd ed., informa, 2007.
  17. Girvin, S., Carriage of Goods by Sea, Oxford University Press Ltd, 2007.
  18. Thomas, D. R., Legal Issues Relating to Time Charterparties, Informa, 2008.
  19. Williams, H., Chartering Document, 3rd ed., Lloyd's of London Press Ltd., 1996.
  20. Wilson, J. F., Carriage of Goods by Sea, 6th ed., Pearson Education Ltd., 20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