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nfucian Moral Principles and Kant's Categorical Imperative

유가의 도덕원리와 칸트

  • Received : 2010.05.14
  • Accepted : 2010.06.05
  • Published : 2010.06.30

Abstract

The main purpose of this dissertation is a introductive proposal to reconstruct confucian moral principles. The most classical question in moral principles is : what is the good. In order to reconstruct confucian moral principles, this dissertation begin with question of what is the good in confucian moral principles. Confucianism believe in reality of the human good mind and good nature. Confucian the human good mind and good nature is comprised of benevolence, righteousness, propriety and wisdom. Benevolence, righteousness, propriety and wisdom(四德) is the origin of morality. Confucian's moral principles of human relationship is none other than conscientiousness and altruism. Conscientiousness is a principle of self-cultivation and self-revelation. As to altruism, confucious said, "the man of perfect virtue, wishing to be established himself", or "do not impose on others what you do not desire others to impose upon you." Altruism is rectified as a principle of reciprocity methodology of the making of whole kingdom peaceful in The Great Learning. Confucian golden rule(conscientiousness and altruism is equal to Kantian categorical imperative in The Fundamental principles of Metaphysics of Ethics. : Act only on that maxim through which you can at the same time will that it should become a universal law ... etc. Kant's three principles of moral philosophy(Categorical Imperatives) imply that the idea of universality, freedom, and the kingdom of ends. We contrast confucian moral principles with Kant's three principles of Categorical Imperatives. In conclusion, confucian moral principles implicate Kant's principle of universalizability and impartiality.

본고는 유가에서 도덕원리의 원천이라고 할 수 있는 선(善)은 무엇이며, 그 선에 근거를 두고 제시된 도덕법칙은 어떻게 정식화되는 지를 살피면서, 유가의 도덕원리와 도덕법칙이 내포하고 있는 함의가 칸트의 『도덕 형이상학 정초』에서 제시된 학적 윤리학의 성립요건을 어떻게 충족하고 있는 지를 살펴보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 먼저 유가 윤리학에서 선(善)의 문제를 살피면서 유가에서 선의 본원은 하늘이라고 할 수 있지만, 하늘의 명령은 인간의 본성으로 내재한다(천명지위성(天命之謂性))는 점에서, 인간의 본성이 도덕법칙의 원천이 된다고 하는 점을 제시하였다. 그리고 선한 인간 본성이 우리에게 갖추어져 있다는 사실을 어떻게 알 수 있는가 하는 문제를 맹자의 「유자입정(孺子入井)의 비유(譬喩)」를 통해 살펴보았다. 다음으로 본고는 유가의 도덕법칙의 함의를 풀어내고, 그 함의를 칸트가 제시한 학적 윤리학이 성립하기 위한 요건과 연관하여 대비적 분석을 하였다. 유가에서 도덕법칙의 근거로서 인간의 인(仁)한 본성은 인간의 자기정립의 근거이자, 관계적 존재로서 인간이 마땅히 실현해야 할 의무이다. 그런데 이러한 인(仁)의 구현방법으로 유가는 '충서(忠恕)'를 일이관지(一以貫之)의 도(道)로 제시하고 있다. 따라서 본고는 '충서(忠恕)'의 도(道)에서 제시되는 도덕법칙(역전환성의 원리, 동등고려의 원리, 자율의 원리 등)을 사서(四書)에 근거를 두고 제시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유가의 도덕법칙은 칸트가 제기한 1) 보편법칙의 정식, 2) 목적 자체의 정식, 3)자율의 정식과 연관하여 어떤 관계에 있는가 하는 점을 논구하였다. 나아가 우리는 칸트가 제기한 황금률 비판을 살펴보면서, 칸트의 이 비판은 유가의 도덕법칙에 적용될 수 있는가 하는 문제를 제기하며, 그 대답을 추구하였다.

Keywords

Acknowledgement

이 논문은 정부재원(교육인적자원부 학술연구조성선사업비)으로 한국연구재단의 지원을 받아 연구되었음(KRF-2008-321-A000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