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촌어메니티 환경설계 공모전을 통한 어메니티자원활용 및 마을계획에 관한 연구

A Study on Utilization of Rural Amenity Resources and Village Planning Applying Rural Amenity Design Competition

  • 투고 : 2010.08.01
  • 심사 : 2010.12.10
  • 발행 : 2010.12.30

초록

Recently, many of rural villages are pursuing rural tourism to attract citizens and increase nonfarm income. A key of rural village plan utilizing rural amenity resources is to make sustainable villages considering regional character and potential for development that will work for the residents. In this study, we analyzed Rural Amenity Design Competition winning works which will be possible solutions to make proper plans for rural village and applied these contents to study areas. Three villages were selected as study areas and more than two types of amenity utilization were settled for planning direction for each village to have specialized and unique plan. Through Rural Amenity Design Competition which is being held annually, we will be able to get more data throughout rural area and verify trend of rural village planning. By selecting theme of the competition reflects needs of the time, more detailed and original ideas on amenity village planning can be drawn and this will contribute to proper and stable village planning.

키워드

참고문헌

  1. 김상범, 김은자, 이승연, 이승주, 임창수, & 이상영. (2010). 지역 특성을 고려한 농촌마을계획에 관한 연구 - 양양군 서면 서림리 해담마을을 사례로 - . 농촌지도와 개발, 17(1), 3.
  2. 김성학, & 양병이. (2009). 농촌 마을경관을 고려한 지역경관계획 수립 방안 연구 - 완도군 약산권역을 사례로 - . 한국조경학회지, 37(3).
  3. 김은자, 김상범, 윤희정, 강방훈, 이정원, 임창수, & 이승연. (2009). 농촌 어메니티 환경설계 공모전을 통해 본 농촌환경설계 경향 연구. 농촌계획학회지, 15(4), 12-15.
  4. 김진경, 김혜민, & 조순재. (2004). 농촌자원활용 마을계획개발과정에 관한 기초연 구 - 농촌전통테마마을사업 대상마을을 중심으로 - . 농촌계획학회지, 10(4).
  5. 농촌자원개발연구소. (2006). 농촌어메니티 활용유형별 마을계획지침. 연구보고서, 22.
  6. 농촌진흥청. (2008). 제6회 농촌 어메니티 환경설계 공모전 작품집.
  7. 농촌진흥청. (2003). 2003 농촌어메니티 자원조사 보고서. 농촌진흥청 농촌자원개발 연구소.
  8. 대한국토. 도시계획학회. (2006). 농촌계획의 이론과 실제. 서울: 보성각.
  9. 박재철. (2009). 농촌어메니티 자원분포와 유형별 자원의 특성 분석. 한국조경학회지, 37(4).
  10. 박창석, 전영옥, & 조영국. (2002). 농촌어메니티에 기초한 농촌자원 중요도 평가 및 순위적 관계 분석.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지, 37(6).
  11. 반영운, 정재호, & 백종인. (2008). 생태마을 조성을 통한 농촌 어메니티 향상 방안. 농촌계획학회지, 14(4), 33.
  12. 여화선, 김동찬, & 김충희. (2008). 아산시 음봉면 농촌 마을 조성 계획. 농촌계획학회지, 14(3).
  13. 오가영. (2008). 디자인 컨셉 도출을 위한 트렌드 예측 5단계 방법 연구. 홍익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4. 윤성수, 김지현, 리신호, 서교, & 김한중. (2006). 어메니티를 기반으로 한 노산하석권역 농촌마을 개발계획. 농촌계획학회지, 12(4).
  15. 이정원, 정윤희, & 임승빈. (2006). 농촌어메니티자원의 농촌다움 특성평가에 관한 연구. 농촌계획학회지, 12(2).
  16. 이지민, & 이정재. (2006). 용어 분석을 통한 농촌어메니티 자원정보의 특성 분석.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지, 41(6).
  17. 조순재, 김혜민, 윤희정, 조연희, 김진경, 강방훈, & 김상범. (2006). 농촌어메니티 활용유형별 마을계획지침. 농촌진흥청 농촌자원개발연구소.
  18. 최수명, 한경수, & 황한철. (1998). 농촌계획지원용 지역자원평가시스템 구축 III : 농촌자원평가를 위한 평가등급기준 설정. 농촌계획학회지, 4(1).
  19. 나라골보리말 홈페이지 http://narabori.go2vil.org
  20. 소금강 장천마을 홈페이지 http://samsan.go2vil.org/
  21. 옥계마을 홈페이지 http://okgye.go2vil.org/
  22. 농촌어메니티자원정보 시스템 http://rural.rda.g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