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the Profitability Enhancement of SI Business in Public and Finance Sector

공공(公共)/금융분야(金融分野) SI사업(事業)의 수익성(收益性) 향상(向上) 방안(方案)에 관한 연구(硏究)

  • Received : 2009.11.16
  • Accepted : 2010.04.12
  • Published : 2010.04.30

Abstract

Recently public and finance SI (system integration) industry is called as 4D (difficult, dangerous, dirty, dreamless) industry because of low profit, overtime works and poor motivation of employees. Even some people think at SI industry to be a labor intensive industry instead of a high technology industry. The current study considers outside environmental change of SI industry as well as inside capability enhancement of SI companies. The study adopted action research method with the author's expertise and experiences as a head of a major SI company in Korea. The current research framework suggests 5 areas of profitability enhancement that offers propositions and implications. 5 areas of profitability enhancement are (1) policy improvement, (2) business portfolio innovation (3) sales capability reinforcement, (4) delivery capability reinforcement, and (5) cost management innovation. The five areas include 11 propositional factors and 21 implementation plans which were chosen from the profitability perspectives of SI companies.In order to successfully execute propositions and implementation plans of the framework, 3 years is needed and after 3 years profitability are expected to increase 10% higher than the current level. The framework, propositions and suggestions in this study are expected to offer a real contribution for SI companies that want to enhance competitiveness and profitability. Future extension of the current study to benchmarking the competitiveness and profitability between local companies and global companieswill bring a solid attention from industry and academics.

2009년 초 정부전산센터 사업 등 정부에서발주한 일부 대형 SI사업에 응찰기업이 없어 유찰되는 현상이 발생하고 있다. 사업의 수익성은 고사하고 발주사업의 예정가 대비 제안 원가를 맞추기도 어렵기 때문에 입찰에 참가하지 않고 예정가가 늘어나든지 아니면 사업범위가 축소되기를 바라며 기다리는 것이다. 또한 공공/금융분야의 외부 SI사업에서 수익이 나지 않아 원가절감을 위하여 잦은 야근과 휴일근무가 반복되어 SI산업에 종사하는 임직원의 근무환경과 동기부여가 열악하게 됨에 따라 SI산업을 4D(difficult, dangerous, dirty, dreamless) 산업이라고 부르기도 하며, 첨단 기술 산업이라기 보다는 노동집약적 산업이라고 비아냥거리기도 한다. 그러한 소문 때문인지 대학에서 전공을 선택할 때에 일부 우수한 두뇌들이 컴퓨터 공학과를 기피하는 안타까운 현상도 발생하고 있다. SI산업에서 정책/제도변화, 사업구조개선, 사업수행역량 향상 등을 통해 적정수익이 창출되고 과감한 R&D 투자가 지속되어야 SI산업에 고급 두뇌들이 자발적으로 몰려들어 첨단 SW가 개발되고 해외SW수출이 확대되어 국가 SW경쟁력을 높일 수 있다고 본다. 이러한 상황에 대하여 SI사업의 정책개선과 SI업체의 경쟁력을 강화하자는 여러 가지 의견이 개진되고 있으며, 이러한 다양한 의견은 척박한 국내 SI산업을 발전시킬 수 있는 좋은 기회라고 생각한다. 본 연구는 SI업체의 외부 환경개선과 내부 역량확보 측면을 동시에 고려하고 있으며, 연구방법은 국내 대형 SI업체인 A사에서 공공/금융사업의 총괄임원으로 재직한 연구자의 지식과 경험을 바탕으로, 실행연구 방법론(action research method)을 채택하여, 수익성 향상 분야를 설정하고 이에 대한 제안 및 시사점을 바탕으로 수익성 혁신을 제안하는 연구 흐름을 갖는다. 수익성 향상 방안은 (1) 정책/제도 개선, (2) 사업구조 혁신, (3) 영업 역량 강화, (4) 사업수행 역량 강화, (5) 비용관리의 혁신 측면 등 5개의 분야에 11개의 제안, 7개의 정책건의와 21개의 세부 실행방안들을 포함하는 연구 프레임워크를 갖는다. 공공/금융분야 SI사업의 수익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제시한 프레임워크의 제안과 세부 실행방안을 성공적으로 추진하는 데는 3년 정도 소요되며, 이러한 변화가 성공적으로 완료되면 수익율이 종전보다 추가로 10%가 개선될 것이라고 전망한다. 여기에 제시한 프레임워크, 제안 및 수익성 향상 방안들은 SI사업의 수익성이나 경쟁력을 강화하고자 하는 다양한 SI업체들에게도 실질적인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하며, SI사업의 경쟁력 강화를 위한 연구기관과 학계의 가설 및 검증 수립에도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한다. 후속 연구에서는 본 연구에 포함된 제안들에 대하여 정량적인 가설과 검증을 통해 보다 확정된 결과가 있기를 기대하며, 본 연구를 확장하여 국내 기업과 글로벌 기업간 SI사업의 경쟁력과 수익성은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에 대한 연구는 SI 학계와 산업계에 큰 관심이 될 것이다.

Keywords

Acknowledgement

Supported by : 서울대학교

References

  1. 금융신문사, "변신하는 시스템통합업체: 고 부가사업 중심으로 체질 개선 박차", 커런시코리아 제163호, 2001, pp. 44-49.
  2. 김보원 외, "우리나라 시스템통합(SI) 기업의 해외 시장 진입형태에 관한 사례분석", 경영학연구 제30권, 제1호, 2001, pp. 233-269.
  3. 김성규 외, "해운물류 시스템이 물류수익성에 미치는 연구", IT전략컨설팅연구, 제1권, 제2호, 2008, pp. 7-37.
  4. 김진형, "한국 소프트웨어 생태계: 위기와 대책", 경영정보학회 공동 토론 발제 자료, 2008. 12. 8.
  5. 김홍진, "국내 종합 SI사업 자의 시장성과 결정 요인에 관한 사례연구", 한양대 경영대학원 석사논문, 2004.
  6. 김효열 외, "정보시스템 통합관리를 위한 정보 시스템실의 업무 수행 효율성 평가", 경영정보학연구, 2002, pp. 1-20.
  7. 나문주, "한국 시스템통합(SI)산업의 국제경쟁력 분석에 관한 연구", 한양대 경영대학원 석사논문, 2007.
  8. 디지털데일리, "IT산업 2008 결산 및 2009 전망 / IT서비스-금융", 2008. 12. 28. http://www.ddaily.co.kr/news/news_view.php?uid=45203.
  9. 디지털타임스, "SW 사업대가 기능점수로 변경", 2009. 5. 20. http://www.dt.co.kr/content.htm?article-no=2009052002010251661002.
  10. 류영태, "국내 시스템통합(SI)업체에서의 CASE 도구(tools)의 활용실태에 관한 분석", 대한경영학회지, 제16권, 제7호, 통권41호, pp. 2151-2170, 2003.
  11. 머니투데이, "IT서비스 업계 2010, 성장엔진 날개를 달자", 2010. 1. 19. http://www.mt.co.kr/view/mtview.php?type=landno=2010011809561534076&outlink= 1.
  12. 박승록 외, "세계 소프트웨어 기업의 성장원천과 한국 기업의 과제", 한국산업조직학회, 2006.
  13. 박정호 외, "SI의 개요", 정보처리 제1권, 제4호, 1994, pp. 7-15.
  14. 박정호, "한국 시스템통합사업 발전전략", 정보산업회, 1995.
  15. 손은석, "국방 S/W 개발 사업의 체계적인 사업관리에 관한 연구", 동국대 경영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4.
  16. 안재성, "프로젝트관리 실무", 2007.
  17. 안준모 외, "IT 거버넌스와 IT서비스 관리 프로세스 성숙도가 IT아웃소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한국경영정보학회 춘계학술대회, 2007.
  18. 양해술 외, "SI 서비스의 해외 현황", 한국정보처리응용학회 제1권, 제4호, 1994, pp. 16-23.
  19. 오부연, "효과적인 시스템 통합(SI) 방안에 대한 사례연구: 국내 사례를 중심으로", 홍익대 대학원 석사논문, 2003.
  20. 오정헌, "시스템통합 프로젝트의 성공적 수행을 위한 관리방안 연구", 서강대 경영대학원 석사논문, 2000.
  21. 윤경원, "발상의 전환을 통한 IT서비스의 고 부가가치화 전략", 경영정보학회 춘계학술대회, 2005.
  22. 윤석용, "Balanced Scorecard를 이용한 시스템통합 프로젝트의 성과측정 모델", 숭실대 정보과학대학원 석사논문, 2000.
  23. 윤웅서, "시스템통합 프로젝트 관리 방법론 개발에 관한 연구", 연세대 정보대학원 석사논문, 2005.
  24. 이상엽 외, "SI사업 대가 산정을 위한 접근방안", MIS연구(한국외국어대학교) 1997, pp. 90-122.
  25. 이상은 외, "SW 프로세스 능력수준 분석을 통한 국내 SW기업 프로세스 진단", 한국IT서비스 학회 논문집, 2002.
  26. 이연희, 최진영, "World class SI 기업으로의 도약: 핵심 경쟁력 확보를 위한 R&D 모델 개발", 한국SI학회지 제2권, 제2호, 2003, pp. 15-29.
  27. 이재왕, "정보시스템개발 프로젝트 관리에 있어서 발주조직 및 개발사업자간의 역할에 대한 실증적 연구", 서강대 정보통신대학원 석사논문, 2008.
  28. 이주환 외, "IT서비스 마케팅 경쟁력 강화 툴 개발", 한국경영정보학회 춘계학술대회, 2008.
  29. 이철규, "효율적인 정보관리체계 구축을 위한 시스템 통합계획 수립 방안", 숭실대 산업기술정보대학원 석사논문, 2003.
  30. 장영광, "현대.재무관리", 2005.
  31. 장주관, "국내 SI업체의 PMO 진화 과정상의 특성에 관한 연구", 숭실대 국제통상대학원 석사논문, 2003.
  32. 전자신문, "공공SW 대기업 참여 제한 허점 투성이", 2009 3. 13. http://www.etnews.co.kr/news/detail.html?id=200903120145.
  33. 전자신문, "국회 추경안 처리. 28조 4000억 원 규모", 2009. 4. 29. http://www.etnews.co.kr/news/detail.html?id=200904290326.
  34. 전희원 외, "서비스 산업에서의 6시그마 적용방법에 관한 연구", 동북아 관광연구, 2008, pp. 33-54.
  35. 정병창, "국내 시스템통합(SI)사업의 현황과 발전방향": SI사업자를 중심으로", 동국대 정보대학원 석사논문, 1995.
  36. 지식경제부, "소프트웨어 강국 도약 전략", 관계부처 합동, 2010. 2. 4.
  37. 최광선, "협업형 프로젝트 관리 시스템의 설계", 숭실대 정보과학대학원 석사논문, 2005.
  38. 최용진, "금융 SI 프로젝트에서의 요구사항 변경 유형 분석 사례 연구", 서강대 정보통신대학원 석사논문, 2008.
  39. 한겨레, "겉도는 중소 SW업체 보호책", 2010. 2. 7. http://www.hani.co.kr/arti/economy/economy_general/403354.html.
  40. 한국기업평가, "2010년 산업전망" (SI), 2009.
  41. 한국정보사회진흥원, "전자정부사업의 제안비 보상내역", 2008.5.
  42. 한현수, " SW 상생 정책 토의", 2008. 12. 8.
  43. 황선명, "SW 상생 정책 토의", 2008. 12. 8.
  44. IT Daily, "국내 SI사업 판도 바꿔야 한다", 2007. 9. 3. http://www.itdaily.kr/news/articleView.html?idxno=9048.
  45. Knowledge Research Group, "2009년 국내 SI시장 전망", 2008. 12.
  46. Opie, C. (Ed.), "Doing educational research: A guide for first-time researchers", London: Sage, 2004.
  47. Patton, M. Q., "Qualitative evaluation and research methods" (2nd ed.), Newbury Park, CA: Sage, 1990.
  48. Scott, V., "Designing Action Research", PRISM Southeast region higher education institute, 20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