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융복합연구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 제8권1호
- /
- Pages.55-69
- /
- 2010
- /
- 2713-6434(pISSN)
- /
- 2713-6442(eISSN)
기업의 윤리정책이 윤리적 의사결정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개인특성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The Effects of Corporate Ethics Policies on Ethical Decision Making - Focused on the moderating effect of individual variables
초록
본 연구는 기업의 윤리정책이 윤리적 의사결정에 행위에 미치는 영향에서 개인특성요인의 조절효과를 분석하는데 초점을 맞추었다. 연구의 대상은 서울 및 수도권에 근무하는 정규직 근로자(n=211)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연구모형을 설정하고 이를 통계적 절차에 의하여 검정하였다. 통계분석에는 신뢰도와 타당도 분석, 상관분석, 분산분석 및 조절회귀분석(MRA)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로 첫째, 조직의 윤리강령이 있고 이를 실행하는 강도가 높을수록, 기업이 추구하는 가치가 높다고 구성원들이 인지하는 정도가 높을수록 윤리적 의사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기업외적 윤리적 의사결정의 평가 요인보다 내부적 요인에 의해 직접적인 영향을 받고 있음을 것을 시사하며, 기업의 의사결정이 투명하게 이루어지고 이를 조직구성원들에게 인지토록 하는 것이 필요하다. 둘째, 본 연구에서 설정한 조직의 장기비전에 대하여 높은 인지와 내재적인 통제의 위치에 있는 구성원들이 기업의 윤리적 의사결정에 있어 독립변수의 역할을 수행할 뿐만 아니라 조절변수로서의 역할을 수행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통제변수로 사용한 많은 변수간의 윤리적 의사결정수준의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는데 이는 개인특성요인과 관련된 것으로 향후 높은 윤리적 의사결정의 실행을 위해서는 통제변수의 특성을 고려한 차별화된 교육의 실시가 요구된다.
This thesis looks closely at the moderating effect of individual variables while we analyzed how corporate's ethics policies have influence on his ethical decision-making behaviors. The subjects of the research were full-time employees (n=211) in the Seoul metropolitan region. The research model was substantiated through statistical analysis of credibility and validity, correlation, variance, and moderated regression analysis (MRA). This study found that within an organization with a code of ethics, the level of enforcement of the code and the level of employee awareness of core values sought by the company determined the level of influence of the code on ethical decision making. In other words, internal factors exerted a greater influence than external evaluation of a corporation's ethical decision making practices and therefore, it is necessary for decision-making practices to be transparent and recognized by the members within an organization. The study also found that the employee's awareness about the long-term visions of the company at a higher level and the employees who have a locus of control to their members internally acted as independent variables as well as control variables on the ethical decision-making. In addition, there were great differences in the level of ethical decision-making among the variables used as controls, which means these differences were related to the individual variables. Accordingly, in order to get ethical decision-making practices at a higher level, a education & training program will be designed and implemented variously as considering on the particular characteristics of the control variables we used in this study.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