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Case Study on the Development of Curriculum for Dept. of Game Programming in University Customized to Online Game Industry

대학(게임 프로그래밍 계약학과)의 게임산업계 맞춤형 교육과정 개발을 위한 사례 연구1)

  • Received : 2010.03.05
  • Accepted : 2010.04.01
  • Published : 2010.04.20

Abstract

Still there is a quality mismatch between required manpower of game companies and supplied one from universities in Korean game industry. The demand-oriented workforce training project is being implemented by KOCCA(Korea Creative Content Agency) for reducing the gap. This paper is focused on the development of training course for students of the game programming department in K University. This paper derived a education training course customized to online game industry by surveying 35 companies to find their needs for recruiting. Additionally some advice is suggested for successful education training. This paper not only will contribute to verify the required competence of people force in game industry but also offer a guideline for designing curriculum for game programmer.

여전히 한국의 게임 산업계에는 기업이 필요로 하는 인력과 대학에서 공급하는 인력 사이에 질적 불일치가 상존하고 있다. 게임산업계에서의 인력 수요와 공급의 질적 차이를 줄이고자 한국콘텐츠진흥원에서는 맞춤형 인력양성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본 연구는 K대학의 게임 프로그래밍 계약학과 학생들을 위한 맞춤형 인력양성 교육과정 개발에 대한 사례 연구로, 35개 업체를 대상으로 설문조사하여 산업계의 요구에 맞는 맞춤형 인력양성 교육과정을 도출함과 동시에 성공적인 교육과정 운영을 위한 방법들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는 게임업계에서 요구하는 인재상을 확인하고, 게임산업계 맞춤형 인력을 양성을 위한 교육과정 설계의 가이드라인을 제공하게 될 것이다.

Keywords

References

  1. 한국콘텐츠진흥원, 문화체육관광부, 2009 대한민국 게임백서, 2009
  2. 2009 한-OECD 국제 세미나, 새천년 학습자 및 교원(2009 Korea-OECD International Seminar: New Millenium Leaders and Teachers), 2009. 자료집, p.24-26.
  3. 교육과학기술부, 09년 교육기본통계 조사결과
  4. 신현석 외, 고등교육 경쟁력 지표 개발 연구 (1): 세계 대학 경쟁력 지표의 비교 및 시사점, 인력개발연구, 2008, 10(1), 269-296.
  5. 한국게임산업개발원, 문화산업 리더로서의 게임전문인력 양성에 대한 연구, 2000
  6. 김현조, 한국게임산업 전문인력 양성화를 위한 대학교육의 발전방향, 2005
  7. 한국게임산업개발원, 게임 분야 교수인력 양성 방안에 대한 연구, 2006
  8. 최용석 외, 게임 산업 전문인력 양성을 위한 실증연구, 2009
  9. "콘텐츠기업 육성 경기도" 조선일보 2010.2.23
  10. 한국게임산업개발원, 국제적 수준의 미래․수요 지향적 게임교육 프로그램 개발 연구, 2006.
  11. 한국문화콘텐츠진흥원, 문화콘텐츠 인력양성사업 배출인력의 경력경로 및 사업의 효과성분석, 2009
  12. "대학 문화콘텐츠 인력 갈 곳 없다" <전자신문 2004. 12.. 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