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주요 광엽잡초 유묘의 형태적 특성을 기초로 한 간이 식별법

Identification of Major Broad Leaved Weed Seedlings Based on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 김창석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농산물안전성부 유기농업과) ;
  • 정영재 (신경대학교 생명공학과) ;
  • 이인용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농산물안전성부 농약평가과) ;
  • 조정래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농산물안전성부 유기농업과) ;
  • 오세문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농산물안전성부 농약평가과) ;
  • 박재읍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농산물안전성부 농약평가과)
  • Kim, Chang-Seok (Organic Agriculture Division, Dept. of Crop Life Safety, National Academy of Agricultural Science, RDA) ;
  • Chung, Young-Jae (Dept. of Life Science and Biotechnology, Shingyeong University) ;
  • Lee, In-Yong (Pesticide Safety Evaluation Division, Dept. of Crop Life Safety, National Academy of Agricultural Science, RDA) ;
  • Cho, Jung-Lai (Organic Agriculture Division, Dept. of Crop Life Safety, National Academy of Agricultural Science, RDA) ;
  • Oh, Se-Mun (Pesticide Safety Evaluation Division, Dept. of Crop Life Safety, National Academy of Agricultural Science, RDA) ;
  • Park, Jae-Eup (Pesticide Safety Evaluation Division, Dept. of Crop Life Safety, National Academy of Agricultural Science, RDA)
  • 투고 : 2010.03.15
  • 심사 : 2010.03.19
  • 발행 : 2010.03.31

초록

농경지에 발생하는 주요 잡초에 대한 유묘기 검색방법을 개발하기 위하여 주요 잡초 60종에 대한 양적, 질적형질을 조사하였다. 잡초 유묘를 동정하는 형질로는 질적형질이 양적형질에 비해 보다 더 유용하였다. 자엽의 형태는 타원형과 광타원형이 가장 많았다. 차풀과 큰메꽃은 자엽의 형태가 넓은 직사각형이었다. 자엽의 형태가 횡광타원형인 초종은 4종이었다. 취명아주 등 22종의 잡초는 자엽의 형태가 1개 이상이었다. 이 중 자엽의 형태가 3가지 이상인 초종은 4종으로서 마디풀과의 참소리쟁이와 여뀌 그리고 대극과의 애기땅빈대와 깨풀이었다. 새팥은 자엽이 지면아래의 종자 속에 남아 있었다. 자엽의 엽두는 원두가 가장 많았다. 자엽의 엽저는 쐐기저가 가장 많았다. 환삼덩굴과 마디풀은 자엽의 엽저가 무엽병저였다. 일부 초종은 제 1본엽기와 제 2본엽기때 본엽의 형태가 각각 상이한 경우도 있었다. 돌콩, 새팥 및 매듭풀은 제 1본엽이 각각 광란형, 심장형, 원형 또는 광도란형이었나 제 2본엽에서는 3초종 모두 3출엽으로 전개되었다. 그리고 자귀풀과 차풀은 제 1, 2본엽의 형태가 우수우상복엽이었다. 본엽의 가장자리는 주로 전연이었으나, 큰도꼬마리를 포함한 6종은 제 1, 2본엽의 엽연이 치상거치였다. 애기땅빈대는 제 1본엽의 엽연이 전연, 제 2본엽의 엽연이 치상거치였다. 명아주과의 흰명아주와 좀명아주의 엽연은 제 1본엽기에는 전연, 제 2본엽기에는 불규칙거치였다. 잡초 유묘 자엽의 양적형질은 질적형질에 비해 종 동정 시 활용도는 떨어지나 초종에 따라서는 매우 유용한 경우도 있었다. 농경지 주요 광엽잡초 유묘에 대한 자엽 및 본엽의 질적 형질을 이용하여 간이 식별법을 제시하였다. 식법법 작성 시 자엽의 형태가 1개 이상인 잡초종에 대해서는 각각의 자엽 형태를 이용하여 종 동정이 가능하도록 하였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velope identification method with major broad leaved weed seedlings. Characteristics of weed seedlings were investigated at two to four true leaf stage. Qualitative characteristics were more useful to identification of weed species than quantitative characteristics at the seedling stage. Many species were elliptic and broadly elliptic type in their cotyledon shape. Cotyledon shape of Cassia nomame and Calystegia sepium were broadly oblong. Four species were transverse broadly elliptic in their cotyledon shape. Rumex japonicus, Persicaria hydropiper, Euphorbia supina and Acalypha australis have three or more types in their cotyledon shape. Cotyledons of Vigna angularis var. nipponensis remained below ground after its germination. Many species were round in apex and were cuneate in base of cotyledon. Humulus japonicus and Polygonum aviculare were sessile in cotyledon base. The second true leaf shape of some species changed after first leaf stages. Glycine soja, V. angularis var. nipponensis and Kummerowia striata were broadly ovate, heart-shaped, orbicular or broadly obovate in their first true leaf, respectively, but the second true leaf shape of them were tripalmately compound. Aeschynomene indica and Cassia nomame were paripinnately compound leaf in their first and second true leaves. Margin of true leaves were entire in many species but six species including Xanthium occidentale were dentate in their true leaf margins. Margin of Euphorbia supina was entire in first true leaf and dentate in second true leaf. Margin of Chenopodium album and C. serotinum were entire in their first true leaf stage and erose in their second true leaf stage. The key for weed seedling identification of major weed species were made based on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키워드

참고문헌

  1. 국용인. 2002a. 농경지 유식물의 분류, 식별을 위한 생태적 지표 설정 방법. 한국잡초학회지 22(1):26-34.
  2. 국용인. 2002b. 유식물의 형태적 특성을 이용하여 개발한 유묘분류 컴퓨터 프로그램에 관한 효율성 평가. 한국잡초학회지 22(2):116-127.
  3. Chancellor, R. J. 1981. The identification of weed seedlings of farm and garden. Blackwell Scientific Publications, Australia. p. 8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