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두과 월년생 잡초 살갈퀴의 녹비 이용성 검토

Evaluation of Winter Annual Weed Vicia angustifolia as Green Manure

  • 투고 : 2010.03.30
  • 심사 : 2010.06.08
  • 발행 : 2010.06.30

초록

자생 살갈퀴는 천립중이 14.9g, 종자크기가 2.8mm로 헤어리베치 27.7g, 3.41mm보다 작으며, 종자는 경실종자로 헤어리베치보다 휴면성이 높았다. 자생살갈퀴는 수원의 경우 4월초순이 되면 생장을 시작하며 무한화서로 개화기는 5월 5일경이며 6월 1일경에는 고숙기가 되어 종자채종이 가능하였다. 5월 중순이면 살갈퀴의 생장이 정지되는데 초장은 46.6~60.9cm이며 보리와 혼파를 하면 101.1cm까지 자랐다. 분지수는 2~6개이며, 착협 마디수는 분지당 3.5~3.7개, 협수는 3.8~6.6개였다. 살갈퀴 생체중은 2,960~14,450kg $ha^{-1}$로 헤어리베치 24,860kg ha-1에 비해 크게 떨어졌다. 그러나 논에서 재배한 살갈퀴는 질소함량이 61~65kg $ha^{-1}$(생체중 13,600~14,450kg $ha^{-1}$)으로 화학비료를 절감하는 녹비로서 이용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되었다. 또한 살갈퀴는 사양질 논토양에서 재발생율이 높은 특성이 있어 이에 대한 연구 가 기대된다.

Vicia angustifolia L. is native plant of winter annual leguminous weed in Korea. Objective of this research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V. angustifolia as green manure for rice production in sustainable agriculture. Seed size of V. angustifolia was smaller than that hairy vetch as control plant, while seed number in same amount was approximately 1.4-fold higher. V. angustifolia started stem elongation in early April. In addition, flowering and dead-ripe stages of the plant reached at May $5^{th}$ and June $1^{st}$, respectively. Growth of V. angustifolia-barley mixed cropping system in upland was promoted up to 101 cm of plant length compared to 46.6 to 60.9 cm that grown in paddy. Biomass yield of V. angustifolia was 14.5 kg $ha^{-1}$ in single cropping system of paddy soil, and the amount of nitrogen was 65 kg $ha^{-1}$. Moreover, self-reseedling of fallen seed from V. angustifolia grown in previous year in paddy soil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hairy vetch plant.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V. angustifolia can be uses as green manure in addition to reducing the mineral fertilizer application in rice production for sustainable agriculture.

키워드

참고문헌

  1. 김영광, 홍광표, 정완규, 최용조, 송근우, 강진호. 2001. 자연적인 자운영 재입모를 위한 적정 벼 재배유형. 한국작물학회지 46(6):473-477.
  2. 김종근, 서성, 정의수, 임영철, 이종경, 서종호, 박근제. 2002. 파종 및 수확시기가 호밀-헤어리베치혼파의 사초수량과 품질에 미치는 영향.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22(4):241-246. https://doi.org/10.5333/KGFS.2002.22.4.241
  3. 농림수산식품부. 2010. 2010년 녹비작물종자대 지원사업 추진계획 보고.
  4. 농촌진흥청. 2009. 친환경농업육성 정책방향. 친환경농업. 13p.
  5. 서종호, 조현숙, 김충국, 김시주. 2000. 헤어리베치 녹비의 토양중 질소동태 및 옥수수에 대한 질소공급 효과. 작물시험연구논총 1:287-292.
  6. 성기영, 전원태, 조현숙, 김민태, 김충국. 2009. 녹비연용 벼 재배 논에서 잡초발생 조사. 한국잡초학회지 29(3):204-212.
  7. 양창휴, 유철현, 강승원, 한상수. 2002. 자운영 후작 벼 재배시 경운시기별 질소시비량 절감효과. 한국토양비료학회지 35(6):352-360.
  8. 작물과학원 영남농업연구소. 2007. 자운영 이용 친환경 쌀생산기술. pp. 112-115.
  9. 전원태, 성기영, 이종기, 김민태, 조현숙. 2009. 밭토양에서 녹비작물 헤어리베치와 호밀의 혼파비율이 Biomass 생산에 미치는 영향. 한국작물학회지 54(3):327-3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