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ish Fauna and Community Analysis in Heuck Stream Watershed

흑천수계의 어류상 및 군집분석

  • Moon, Woon-Ki (Department of Bioscience and Biotechnology, College of Biological Science and Biotechnology,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
  • Han, Jeong-Ho (Department of Bioscience and Biotechnology, College of Biological Science and Biotechnology,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
  • An, Kwang-Guk (Department of Bioscience and Biotechnology, College of Biological Science and Biotechnology,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 Received : 2010.02.08
  • Accepted : 2010.03.11
  • Published : 2010.03.01

Abstract

This study was conducted at 25 sites of 6 mainstreams and 19 tributaries sites within Heuck Stream watershed during May~October 2003 for the survey of fish distributions, compositions, and community characteristics. The survey showed that total fish was identified as 9 family and 26 species in all sites, and Cyprinidae dominated the community as 15 species. The dominant species of >20% of the total were Zacco temminckii (29%), Zacco platypus (22%), and Rhynchocypris oxycephalus (21%) in the watershed. Community analysis, based on the stream spatial gradients, indicated composition differences along the main axis of the stream from the headwater to the downstream; R. oxycephalus predominated in the most headwater zone and Z. temminckii dominated in the lower headwater zone, whereas Z. temminckii -Z. platypus dominated in the mid-to-downstream, and Z. platypus dominated the community in the most downstream zone. Total endemic species was 7 family and 15 species, which is made of 50% in the fish community, so that the high proportion of endemic species indicated a healthy region in terms of fish community, compared to average 23% in Korean peninsula in general. The total number and species of fish increased as the stream order (stream size) increased, indicating that impacts on chemical pollution or habitat disturbance were not so large to the fish community in this watershed. Trophic and tolerance guilds analysis showed that relative proportions of sensitive and insectivore species were >50% in the watershed and decreased as the stream order increased, whereas relative proportions of tolerant and omnivore species showed an opposite results. These outcomes suggest that the natural condition of watershed is preserved relatively and the region should be protected from the chemical and habitat disturbace by agricultural activity and urban developments.

흑천수계를 구성하는 흑천 6개의 본류 및 14개의 지류 하천을 대상으로 어류군집의 분포특성을 분석한 결과, 총 9과 26종의 서식이 확인되었으며, 이 중 Cyprinidae 어류가 15종으로 다양하게 분포하였다. 흑천수계에서 우점종은 갈겨니 (29%), 피라미 (22%), 버들치 (21%) 등의 순으로나타났다. 또한, 흑천 본류에서 이들 우점종의 분포특성은 최상류역은 버들치, 상류역은 갈겨니, 중-상류역은 갈겨니, 피라미, 중-하류역은 피라미에 의해 하천특성이 결정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서식이 확인된 어류 중 한국고유종은 한강납줄개 등 7과 13종 (50%)로 고유종의 구성비가 높게 나타나 한반도 평균적인 고유종 빈도인 23%에 비해 매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하천차수별 어류의 분포특정은 하천차수가 증가할수록 종수 및 개체수가 증가하는 것으로 경향을 보였는데 이는 하천크기의 영향보다는 지점간의 이격거리 및 지류하천의 지리적 위치에 따른 차이가 어류 분포에 있어서 더 많은 영향을 주는 것으로 사료되었다. 또한, 내성도 빛 트로픽 길드를 분석한 결과에서는 하천차수가 증가함에 따라 민감종 및 충식종은 다소 감소하는 경향을 보이는 것으로 분석되였으며, 내성종 빛 잡식종은 하천차수가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는 경향을 보이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특히, 민감종 및 충식종 비율이 50% 이상 되는 구간들이 많은 것으로 분석되어 혹천수계가 하천의 자연성 및 서식환경의 보존가치가 높은 수계로 사료된다.

Keywords

References

  1. 국토해양부. 2000. 한국하천일람. 명신인쇄, 서울. p. 17-95.
  2. 권영수. 안광국. 2006. 금호강 수계에서 생물학적 하천 건강도 및 이화학적 특성. 한국육수학회지 39(2): 145-156.
  3. 김익수. 1997. 한국동식물도감 제37권 동물편(담수어류). 교육부. p. 133-520.
  4. 김익수, 박종영. 2002. 한국의 민물고기. 교학사, 서울. pp. 465.
  5. 남영모. 1996. 한국산 담수어류의 현황. '96 한국육수학회 심포지움. p. 31-45.
  6. 노세윤. 2009. 민물고기 쉽게 찾기. 진선출판사.
  7. 배대열, 안광국. 2006. 생물학적 다변수 모델 적용 및 수화학분석에 의거한 갑천생태계 평가. 한국육수학회지 39(2): 198-208.
  8. 변화근. 2008. 국망산 일대의 어류상. 한국자연보존연구지 6: 57-64.
  9. 손영목, 송호복. 2006. 금강의 민물고기. 지성사.
  10. 안광국, 김자현. 2005. 물리적 서식지평가기법 및 어류 다변수 평가모델에 의거한 대전천의 생태학적 건강도 진단. 한국육수학회지 38(3): 361-371.
  11. 안광국, 염동혁, 이성규. 2001b. 생물보전지수(Index of Biological Integrity)의 신속한 생물평가 기법을 이용한 갑천수계의 평가. 환경생물 19(4): 261-269.
  12. 안광국, 이재연, 배대열, 김자현, 황순진, 원두희, 이재관, 김창수. 2006. 우리나라 주요하천 수계에서 다변수모델을 이용한 생태학적 수환경 평가. 한국물환경학회지 22(5): 796-804.
  13. 안광국, 이재연, 장하나. 2005. 유등천에서의 생태학적 건강성 평가 및 수질양상. 한국육수학회지 38(3): 341-351.
  14. 안광국, 정승현, 최신석. 2001a. 생물보전지수(Index of Biological Integrity) 및 서식지 평가지수(Qualitative Habitat Evaluation Index)를 이용한 평창강의 수환경 평가. 한국육수학회지 34(3): 153-165.
  15. 양 현, 김현수. 2005. 제2차 전국자연환경조사(담수어류). 환경부. pp. 1198-182.
  16. 염동혁, 안광국, 홍영표, 이성규. 2000. 어류군집을 이용한 금호강의 생물보전지수(Index of Biological Integrity, lEI) 평가. 환경생물 18: 215-226.
  17. 이완옥, 노세윤. 2006. 특징으로 보는 한반도 민물고기. 지성사, 서울. p. 432.
  18. 이재훈, 홍영표, 안광국. 2007. 남한강 상류 수계에서 어류의 다변수 모델 지수 산정 및 군집지수와의 비교평가. 한국육수학회지 40(2): 327-336.
  19. 전상린. 1980. 한국산담수어의 분포에 관하여. 중앙대학교 박사학위논문. p. 14-49.
  20. 정문기. 1977. 한국어도보. 일지사, 서울. p. 727.
  21. 최기철, 전상린, 김익수, 손영목. 1984. 한국담수어류분포도. 정문사, 서울. p 234.
  22. 최기철. 1986. 경기의 자연(담수어편). 경기도교육위원회. p. 204-207.
  23. 최기철. 2001. 쉽게 찾는 내 고향 민물고기. 현암사, 서울. p. 24-287.
  24. 홍영표. 1991. 한강수계에 서식하는 피라미와 갈겨니의 분포 및 군집동태에 관한 연구. 충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청구논문. pp. 34-81.
  25. 환경부. 2007. 수생태 건강성 회복을 위한 하천복원 모델과 기준,조사계획 수립 연구 최종보고서 (II). 수생태 건강성 조사계획 수립 및 지침. p. 65.
  26. 환경부/국립환경연구원. 2004. 물환경종합평가방법 개발 조사연구(I). 최종보고서.
  27. 환경부/국립환경연구원. 2005. 물환경종합평가방법 개발 조사연구(II). 최종보고서.
  28. 환경부/국립환경연구원. 2006. 물환경종합평가방법 개발 조사연구(III). 최종보고서.
  29. Barbour, M.T., J. Gerritsen, B.D. Snyder and J.B. Stribling. 1999. Rapid bioassessment protocols for use in streams and wadeable rivers: periphyton, benthic macroinvertebrates and fish, 2nd Ed, EPA 841-B-99-002. US EPA Office of Water, Washington, D.C., USA.
  30. Garcia, S.M. and K.L. Cochrane. 2005. Ecosystem approach to fisheries: a review of implementation guidelines. ICES Journal of Marine Science 62: 311-318. https://doi.org/10.1016/j.icesjms.2004.12.003
  31. Jones, J.P.G., F.B. Andriahajaina, and N.J. Hockley. 2005. A multidisciplinary approach to assessing the sustainability of freshwater crayfish harvesting in Madagascar. Conservation Biology 19: 1863-1871.
  32. Judy, R.D. Jr, P.N. Seeley, T.M. Murray, S.C. Svirsky, M.R. whitworth and L.S. Ischinger. 1984. National Fisheries Survey. Vol. 1. Technical report: initial findings. United States Fish and Wildlife Service. FWS/OBS-84/06.
  33. Karr, J.R., K.D. Fausch, P.L. Angermeier, P.R. Yant and I.J. Schlosser. 1986. Assessing biological integrity in running water: A method and its rationale. pp. 28, Illinois National History Survey, Special Publication 5, Champaign, IL.
  34. Karr, J.R. 1981. Assessment of biotic integrity using fish communities. Fisheries 6: 21-27. https://doi.org/10.1577/1548-8446(1981)006<0021:AOBIUF>2.0.CO;2
  35. Margalef, R. 1958. Information theory in ecology. Generation System 3: 36-71.
  36. Nelson, J.S. 1994. Fishes of the world. John Wiely & Sons, New York. p. 600 .
  37. Pielou, E.C. 1975. Ecological diversity. Wiley. New York. p. 165.
  38. Pikitch, E.K., C. Santora and E.A. Babcock. 2004. Ecosystem-based fishery management. Science 305: 346-347. https://doi.org/10.1126/science.1098222
  39. Rutherford, D.A., A.A. Echelle and O.E. Maughan. 1987. Changes in the fauna of the little river drainage, south eastern Oklahoma, 1948 - 1955 to 1981 - 1982: Test of the Hyphothesis of environmental degradation. Community and evolutionary ecology of north American streeam fishes. University of Oklahoma. p. 178-183.
  40. Shannon, C.E. and W. Weaver. 1963. The mathematical theory of communication. University of Illinois Press, Urbana .
  41. Simpson, E.H. 1949. Measurement of diversity. Nature 163: 688. https://doi.org/10.1038/163688a0
  42. Strahler, A.N. 1957. Quantitative analysis of watershed geomorphology. American Geophysical Union Transactions 38: 913-920. https://doi.org/10.1029/TR038i006p00913
  43. US. EPA. 1991. Technical support document for water quality-based toxic control. EPA 505-2-90-001. US EPA, Office of Water, Washington D.C., US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