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각을 이용한 시각 재현장치의 분석프로그램 개발

Development of Processing Program for Audio-vision System Based on Auditory Input

  • 허세진 (경북대학교 의용생체공학과) ;
  • 방성식 (경북대학교 의용생체공학과) ;
  • 서지혜 (경북대학교 의용생체공학과) ;
  • 최현우 (경북대학교 의용생체공학과) ;
  • 김태호 (경북대학교 의용생체공학과) ;
  • 이나희 (경북대학교 수학과) ;
  • 이유진 (경북대학교 병원 영상의학과) ;
  • 박지원 (경북대학교 병원 영상의학과) ;
  • 이희중 (경북대학교 의과대학 영상의학과) ;
  • 원철호 (경일대학교 제어.전기공학부) ;
  • 이종민 (경북대학교 의과대학 영상의학과)
  • 투고 : 2009.06.23
  • 심사 : 2009.09.07
  • 발행 : 2010.01.30

초록

본 연구의 궁극적 목적은 시각 장애인들의 안전보행을 위한 단순한 충돌 경보 장치가 아니라 전방의 3차원적 공간 정보를 청각 정보로 변환하여 시각을 재현할 수 있도록 하는 장치 (Audio-vision System)를 개발하기 위함이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구동 소프트웨어를 개발하였고 그 유용성을 검증하였다. 30명의 정상지원자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평균나이는 25.8세이었다. 다양한 가상의 공간을 분석프로그램에 입력하고 맹검상태에서 피험자가 공간 내 구조물을 그리게 하였다. 먼저 피험자에게 30분간 10개의 대상을 이용한 학습을 실시한 후 별도의 10개의 가상공간에 대한 시험을 채점하고 100점 만점으로 환산하였다. 실험결과 점수는 77점에서 97점이었으며 평균 88.7점이었다. 본 연구에서 자체 제작된 분석프로그램으로 청각정보를 시각정보로 변환하는 기반 기술을 확보하였으며 거리 센서를 확보한다면 제품화 가능성이 있음을 검증하였다.

The final goal of our research is developing not a simple collision a1ann equipment for the blinded walkers, but the apparatus (Audio- Vision System) which can simulate vision based on auditory information so that the blinds can figure the three dimensional space in front of them. On the way to the final goal, in this study, simulation software was developed and verified. Thirty normal volunteers were included in the subject group and the average age Was 25.8 years old. After being accustomed to the system by evaluating 10 blinded virtual spaces, the volunteers performed test using another set of 10 blinded virtual spaces. The results of test were scored by shape, center, margin, and gradient surface of objects in virtual space. The score of each checking point ranged from 1 to 5, and the full score was converted to 100. As results of this study, the total score ranged from 77 to 97 with the average of 88.7. In this study, a simulation software was developed and verified to have acceptable success rale. By combining to visual sensors, the vision-reconstruction system based on auditory signal (Audio-vision System) may be developed.

키워드

참고문헌

  1. 이응혁, "시각장애인을 위한 보행유도기술," 대한전자공학회 제32권, 3호, pp. 40-53, 2005.
  2. 홍경순, "시각장애인을 위한 정보통신 보조기술과 국내 현황," 대한전자공학회, 제32권, 3호, pp. 59-69, 2005.
  3. 강성훈, 이성환, "시각 장애인을 위한 착용형 컴퓨터 시각 기술," 한국뇌학회지, 제1권, 1호, pp.127-137, 2001.
  4.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장애인복지팀, "2005년도 장애인 실태조사," 보건복지부, 2005.
  5. 김래현, 박세형, 이수용, 조현철, 하성도,"초음파 및 가속도 센서를 이용한 시각장애인용 보행 보조 장치의 성능 개선," 정보과학회논문지, 소프트웨어 및 응용, 제36권, 제4호, pp. 291-297, 2009.
  6. 이진희, 임석현, 이은석, 신병석, "초음파 센서와 GPS를 연동한 시각장애인 실외 보행지원 시스템," 정보과학회논문지, 소프트웨어 및 응용, 제36권, 제6호, pp.462-470, 2009.
  7. S. Shoval and J. Borenstein, "The Navbelt-A Computerized Aid for the Blind Based on Mobile Robotics Technology," IEEE Trans on Biomedical Engineering, Vol.45, No.11, pp. 1376-1386, 1998. https://doi.org/10.1109/10.725334
  8. S. Shoval, I. Ulrich, and J. Borenstein, "NavBelt and the GuideCane," IEEE Robotics & Automation Magazine. Vol.10, pp. 9-20, 2003.
  9. S . Kotani. T. Nakata, and M. Hideo, "A Strategy for crossing of the robotic travel and "Harunobu"," Imtelligent Robots and Systems, 2001. Proceedings. 2001 IEEE/RSJ International Conference on, Vol. 2, pp. 668-673, 2001.
  10. S. Tachi, K. Tanie, and K. Komoriya, "Electrocutaneous Communication in a Guide Dog Robot (MELDOG)," IEEE Transactions On Biomedical Engineering, Vol.Bme-32, No.7, pp. 461-469, 1985. https://doi.org/10.1109/TBME.1985.325561
  11. G. Lacey, "Adaptive Shared Control of a Robot Mobility Aid," Proc. Field and Service Robotics (FSR), CMU, pp. 25-30, 1999.
  12. GDP Research Australia. MiniGuide, http://www.gdp-rcscarch.com.au. 20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