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ffects of Jeungson-Ojeok-Hwan-Bijukbang on Solid Tumor in Mice

증손오적환(增損五積丸) 비적방(脾積方)이 생쥐의 복강암에 미치는 영향

  • 이유진 (동신대학교 한의과대학 안이비인후피부과학교실) ;
  • 김종한 (동신대학교 한의과대학 안이비인후피부과학교실) ;
  • 박수연 (동신대학교 한의과대학 안이비인후피부과학교실) ;
  • 최정화 (동신대학교 한의과대학 안이비인후피부과학교실)
  • Received : 2010.03.05
  • Accepted : 2010.04.05
  • Published : 2010.04.25

Abstract

Objective : Jeungson-Ojeok-Hwan Bijukbang(JOH) has been used to treat patients with tumor etc. In the theory of Korean medicine, JOH can treat Juk-Chui. JOH is known to have treat Juk-Chui. Juk-Chui is analogous to tumor. Methods : For these reasons, the present study was design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JOH on solid tumor in mice in terms of immune-potentiating and direct cytotoxic action of JOH in vitro and vivo study. The present author investigated thymocyte and splenocyte proliferation to confirm immune-potentiating activity of JOH and also investigated tumor/body weight ratio and survival rates in tumor bearing mice. Results : In this study, administration of JOH decreased tumor/body weight ratio significantly, and prolonged survival duration compared to non-treated control. In addition, treatment with JOH suppressed proliferation rate of Sarcoma 180 (S-180) cells significantly, and elevated proliferation rates of thymocytes isolated from normal mice. These results were co-related with in vivo study. Conclusion : these results suggest that JOH is useful to treat patient with solid tumor, because JOH has direct toxic action for tumor cell and immune-potentiating action for T cells. Further study will need to elucidate exact mechanisms related in anti-cancer action of JOH.

Keywords

References

  1. 李梴. 編註醫學入門. 서울. 大星文化社. 外集卷二.卷三 1984:331,419-20.
  2. 許浚. 東醫寶鑑. 경남합천. 동의보감출판사. 2005:1389.
  3. 박종현, 신상우. 한의학의 종양에 대한 인식론. 동의생리병리학회지. 2002;16(5):867-72.
  4. www.kostat.go.kr. 2008년 사망 및 사망원인 통계결과. 통계청. 2009.
  5.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종양학. 서울. 서울대학교출판부. 1996:1-5,43-59.
  6. 楊寶仁. 癌症的中藥治療. 河北. 河北科學技術出版社. 1992.
  7. 김질수, 전병훈, 우원홍, 정우열. 增損五積丸腎積方이 종양세포에 미치는 영향. 이리. 원광한의학. 1994;4(1):167-90.
  8. 이병구, 원진희, 문석재, 금동웅, 원경숙, 문구. 增損五積丸 脾積方이 사람의 각종 암세포주의 성장저애에 미치는 효과. 한국전통의학지. 2002;12(1):51-66.
  9. Wysocki, L.J. and Sato, V.L. : "Planning" for lymphocytes ; A method for cell selection. Proc. Natl. Acad. Sci., USA., 1978;75(6):2844-8. https://doi.org/10.1073/pnas.75.6.2844
  10. Mizel, S.B., Rosenstreich, D.L. : Regulation of lymphocyte-activating factor (LAF) production and secretion in P388D1 cells ; identification of high molecular weight precursors of LAF. J. Immunol. Methods, 1979;122(6):2173-9.
  11. Mari M, Seiji K, Kenji F, Airo T and Toshimasa N. Evaluation of the estrogenic activities of some pesticides and their combinations using MtT/Se cell proliferation assay. International Journal of Hygiene and Environmental Health. 2006;209(5):413-21. https://doi.org/10.1016/j.ijheh.2006.04.004
  12. 홍원식. 現代中共의 癌治療. 서울. 英文社. 1984:81-94, 329-30, 361,372-5, 378-82.
  13. 최승훈. 難經入門. 법인문화사. 1998:160.
  14. 문구, 정병학, 김병주. 癌 동서의 결합치료.1999:17-8.
  15. 김강산, 강병기. 伏梁丸이 白血病과 肝癌患者에서 抽出한 癌細胞에 미치는 抗癌效果. 이리. 원광한의학. 1991;1(1):153-68.
  16. 한상일, 강병기. 痞氣丸이 白血病과 淋巴腫 患者에서 抽出한 癌細胞에 미치는 抗癌效果. 대한한방내과학회지. 1991;12(2):1-15.
  17. 김강산. 肥氣丸 및 消積正元散이 사람의 各種癌細胞柱의 成長沮碍에 미치는 效果. 이리. 원광대학교대학원. 한의학박사논문. 1993.
  18. 윤현정, 김병완, 이창현, 정재하, 허숙경, 박원환, 박선동. 사람 간암 세포주인 HepG2에 대한 茵蔯蒿湯의 항암 효과. 대한본초학회지(본초분과학회지). 2007;22(3):27-37.
  19. 이건업, 문석재, 문구, 원진희, 김동욱, 김형균, 문영호, 이종범, 윤준철, 김혼준. 팔진항암단의 인간 전골수성 백혈병 세포 사멸 효과. 동의생리병리학회지. 2002;16(3):514-20.
  20. 김홍태, 구세광, 김주완, 진태원, 임미경, 김지은, 장혜숙, 여상건, 장광호, 오태호, 이근우. 조직병리학 및 Histomorphometry 기법으로 관찰한 종양 유발 마우스의 주요 장기에 인진 쑥 Methanol 추출물이 미치는 영향. 한국임상수의학회지. 2008;25(4):259-66.
  21. 김홍태, 김주완, 진태원, 김지은, 임미경, 여상건, 장광호, 오태호, 이근우. 인진쑥 methanol 추출물의 투여가 암이 유발된 마우스에서 보인 혈액생화학적 및 종양 무게에 미치는 영향. 한국임상수의학회지. 2007;24(3):372-8.
  22. 정미정, 윤유, 허성일, 왕명현. 인진쑥 추출물의 항산화 및 항암 활성. 생약학회지. 2008;39(3):194-8.
  23. 백태웅, 이경애 안민정, 주혜경, 조민철, 강정우, 김희서, 심정현, 이희구, 오현철, 안종석, 조용권, 명평근, 윤도영. 인진에서 분리한 3,5-di-O-Caffeoylquinic acid가 자궁경부암 바이러스 발암단백질의 기능에 미치는 영향. 한국생약학회지. 2004;35(4):368-74.
  24. 차관배, 김윤식, 유호룡, 조현경, 오영선, 설인찬. 吳茱萸약침의 항암효과에 대한 실험적 연구. 동의생리병리학회지. 2006;20(5):1261-70.
  25. 이권익, 서영배, 성낙기. Mouse 종양세포주 성장억제에 미치는 파두의 (巴豆) 효과. 대전대학교 한의학논문집. 1995;4(1):199-209.
  26. 조성각, 문구, 문석재. 修治巴豆 및 巴豆加黃連의 細胞毒性과 抗腫瘍效果에 關한 實驗的 硏究. 대한한방종양학회지. 1995;1(1):191-211.
  27. 이영찬, 전병훈. 巴豆 가미한 四君子湯 및 四物湯의 항암효과에 대한 연구. 동의병리학회지. 1994;9(0):79-100.
  28. 김성진, 신순식, 서부일, 지선영. 산삼, 장뇌삼, 인삼의 항암 효과에 대한 비교연구. 대한본초학회지(본초분과학회지). 2004;19(2):41-50.
  29. 곽이성, 김영숙, 신한재, 송용범, 박종대. 홍삼 산성다당체 (RGAP)와 항암제의 병용투여에 의한 항암시너지 효과. 고려인삼학회지. 2003;27(2):47-51.
  30. 김기환, 정인성, 정희용, 조성기, 윤연숙. 홍삼 다당체의 항암면역증강작용 연구. 고려인삼학회지. 1997;21(2):78-84.
  31. 윤연숙 외. 인삼으로부터 분리된 다당체 분획 Ginsan의 항암면역증강작용. 대한면역학회지. 1994;16(40):425-6.
  32. 전혜경, 김세창, 정노팔. 생쥐의 대식세포 종양 치사활성과 항암효과에 미치는 인삼 Saponin 분획물과 Cyclophosphamide 의 영향. 고려인삼학회지. 1991;15(2):99-105.
  33. H. W. Kim, S. Jeong, G. H. Beak, S. I. Cho, B. G. Jeon, G. Y. Kim, Y. L. Cho, H. W. Jeong. Therapeutic Efficacy of extracts from root of Acanthopanax Sessiliflorus as anti-cancer drug; in vivo and vitro study. Korean J. Oriental physialogy & pathology 2007;21(2):518-22.
  34. 백원칠. 운동량이 NK Cell 및 LAK Cell 의 활성도, 복강암 마우스의 생존기간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학회지. 2001;40(4):719-28.
  35. 김형우, 조수인, 김계엽, 전병관, 조영림, 정현우. 방사선이 조사된 오갈피 나무의 추출물이 생쥐의 복강암 및 면역세포에 미치는 영향. 동의생리병리학회지. 2007;21(3):736-40.
  36. Ozge C, Calikoglu M, Cinel L, Apaydin FD, Ozgur ES. Massive pleural effusion in an 18-year-old girl with Ewing sarcoma. Can Respir J. 2004;11(5):363-5. https://doi.org/10.1155/2004/103637
  37. 김진복, 박재갑. 암환자에서 체중감소와 DNCB 무감작과의 관계에 관한 연구. 대한외과학회지. 1977;19(1):17-23.
  38. Kriukova IN, Litvinov SV. Expression of Thy 1 thymocyte differentiation antigen in mouse mammary cancer cells in vitro. Biull Eksp Biol Med. 1983;96(8):81-4.
  39. Dwyer JM, Johnson C. The use of concanavalin A to study the immunoregulation of human T cells. Clin Exp Immunol. 1981;46(2):237-49.
  40. T. J. Kindt, R. A. Goldsby, B. A. Osborne. Kuby immunology. New York:W. H. Freedman and Company. 6th edition. 2004:41,44-6.
  41. 최의규, 홍정희, 한유정, 백문기. 단백 methylase 억제제 5'-Isobutyl-5'-deoxyadenosine 과 sinefungin에 의한 BALB/c mouse 비장세포의 증식과 분화의 억제 대한면역학회지. 1995;17(3):223-3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