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olitics of Collective Intelligence - Paradigm Shift of Knowledge and its Possibility on Democracy -

집단지성의 정치 - 지식패러다임의 변화와 민주주의의 가능성 -

  • 조화순 (연세대학교 정치외교학과) ;
  • 최재동 (정보통신정책연구원)
  • Received : 2010.11.26
  • Accepted : 2010.12.18
  • Published : 2010.12.31

Abstract

This study focuses on the emergence of collective intelligence and its impact on the democracy in the information era. Scholars have posed very different-optimistic and pessimistic-views on the possibility of collective knowledge produced by the public. Focusing on the cases of a free online encylopedia known as wikipedia and 2008 Candlelight Demonstration against the imports of US beef in Korea, this paper analyzes the mechanism of collective intelligence and its political implications on the democracy. Specifically, this article approaches changes in new knowledge paradigm with two different variables: the degree of connectivity and the quality of deliberation. Applying two different sets of variables helps us to distinguish the possibilities of collective intelligence and anti-intelligence, which would suggest social and political implications for the democracy in a country. This study finds a critical difference in terms of the quality of deliberation, measured by the indicators such as diversity, independence, and integration mechanism for online deliberation.

본 연구는 정보화시대의 지식패러다임 변화에 주목하면서 사례분석을 통해 집단지성의 내부적인 메커니즘에 대한 이론적인 접근을 시도하였다. 이 글의 분석대상은 세계 최대의 온라인 백과사전인 위키피디아와 한국사회에서 집단지성에 관한 사회적 관심을 촉발시킨 2008년의 촛불시위이다. 두 사례를 통해 과거의 시스템과 같이 전문가가 지식을 생산하는 것이 아니라, 일반 시민이 집단적이고 수평적으로 지식을 생산 공유하며 다양한 활동을 증대하고 있다는 사실에 주목하면서 집단지성의 유형과 그 메커니즘에 대한 시론적 분석을 시도해 보고자 한다. 본 연구는 지식패러다임을 정보와 지식의 양적인 변화를 의미하는 접속의 정도(Connectivity)와 질적인 변화를 의미하는 숙의의 정도(Quality of deliberation)를 기준으로 유형화하고 사례를 분석하였다. 위키피디아와 2008 촛불집회는 높은 접속성을 공유하지만 다양성과 독립성, 통합 메커니즘이라는 지표로 평가할 수 있는 숙의의 측면에서 결정적인 차이를 보이고 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