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라석탑(新羅石塔)의 발생과 성립과정(成立過程)에 대한 고찰

A Study on the Creation and Development Process of Silla Stone Pagodas

  • 투고 : 2010.06.08
  • 심사 : 2010.08.20
  • 발행 : 2010.08.31

초록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development process of the early stone pagodas of Unified Silla. The history of stone pagodas traces back to both Baekje and Silla in the Three Kingdoms period, but the styles and structures of pagodas began differently. In other words, Baekje attempted to recreate the wooden pagoda style, while Silla attempted to recreate China' brick pagoda style. These different stone pagoda cultures, around the unification of Three Kingdoms, underwent new style changes, and after the mid-7th century, some changes in the five-storied stone pagodas in Tapri appeared, and the milestone perfection of Silla's stone pagodas was achieved through those of Gameusa Temple and Goseonsa Temple. After the mid-7th century, Silla's stone pagodas accommodated some of Baekje's wooden pagodas' elements, shifted from the wooden pagoda style and developed into its own stone pagoda style. This is shown in numerous stone pagodas. However, in Silla's stone pagodas, including the three-storied stone pagoda in Hwagboksa Temple in 692, the size of the pagoda became small and underwent sudden changes. In other words, a new direction of Silla stone pagodas was presented in terms of how massive stones could be reduced, but they differed only in the reduced stone amount; the basic developed style of the Gameunsa Temple stone pagoda and the Goseonsa Temple stone pagoda inherited the traditional style. Thus, the construction of these two pagodas is considered to be significant in the Silla's history of stone pagodas.

키워드

참고문헌

  1. 三國史記
  2. 三國遺事
  3. 續高僧傳-한글대장경
  4. 日本書紀
  5. 駕洛國史蹟開發硏究院, 韓國古代金石文, 1997
  6. 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 연보, 2008
  7. 國立慶州文化財硏究所, 感恩寺發掘調査報告書, 경주시, 1997
  8. 국립문화재연구소, 감은사지동삼층석탑사리장엄, 경주시, 2002
  9. 국립문화재연구소, 감은사지서삼층석탑, 2005
  10. 國立博物館, 感恩寺址發掘調査報告書, 을유문화사, 1961
  11. 국립부여문화재연구소, 한중일 고대사지 비교연구1-목탑지편, 2009
  12. 국립부여박물관, 백제의 공방, 2006
  13. 문화재관리국 문화재연구소, 彌勒寺, 1989
  14. 文化財管理局, 高仙寺址發掘調査報告書, 1977
  15. 文化財管理局, 芬皇寺石塔-實測調査報告書, 1992
  16. 문화재청, 국립문화재연구소, 미륵사지석탑 사리장엄, 2009
  17. 강우방, 신용철, 탑, 솔 출판사, 2003
  18. 강우방, 미술과 역사 사이에서, 열화당, 1999
  19. 高裕燮, 韓國塔婆의 硏究, 고유섭전집1, 通文館, 1993
  20. 權悳永, 古代韓中外交史-遣唐使硏究, 一潮閣, 1997
  21. 朴慶植, 新羅始原期石塔에 대한 考察, 文化史學, 19호, 2003
  22. 박홍국, 한국의 전탑연구, 學硏文化社, 1998
  23. 尹武炳, 定林寺發掘調査報告書, 1981
  24. 張忠植, 新羅石塔硏究, 一志社, 1987
  25. 정영호, 한국의 석조미술, 서울대출판부, 1998
  26. 천득염, 백제계석탑 연구, 전남대 출판부, 2000
  27. 남시진, 감은사지 삼층석탑 구조, 文化財, 38호, 국립문화재연구소, 2005
  28. 남시진, 감은사지 삼층석탑 구조에 관한 연구 , 건축역사연구, 58, 제17권 3호, 2008. 6
  29. 文明大, 百濟佛塔의 一考察, 南都泳博士華甲紀念私學論叢, 太學社, 1984
  30. 朴慶植, 芬皇寺模塼石塔에 대한 考察, 분황사의 제조명, 신라문화선양회, 1999
  31. 朴寶敬, 慶州高仙寺址伽藍配置와 三層石塔의 硏究, 동국대학교 대학원 석논, 2004
  32. 裵珍達, 군위삼존석굴 , 미술사의 정립과 확산, (주)사회평론, 2006
  33. 申龍澈, 統一新羅二重基壇石塔의 形式과 編年, 東岳美術史學, 9호, 2008
  34. 李根直, 新羅王陵의 起源과 變遷, 영남대 대학원 박사논문, 2006
  35. 정해두, 장석하, 석탑 탑구의 역할 및 변천에 관한 연구 , 건축역사연구, 68호, 19권 1호, 2010. 2
  36. 주경미, 분황사 석탑 출토 불사리장엄구의 재검토 , 시각문화의 전통과 해석, 예경, 2007
  37. 韓政鎬, 感恩寺址東․西三層石塔의 硏究, 동국대학교 대학원 석논, 2002
  38. 洪永鎬, 韓國三重基壇石塔의 出現과 展開에 관한 試考, 文化史學, 10호, 한국문화사학회, 199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