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linical Study of the Pediatric Patients Who Had Visited Emergency Room(ER) at Oriental Medical Hospital

한방병원 응급실에 내원한 소아 환자에 관한 임상적 고찰

  • Lee, Yu-Jin (Department of Pediatrics, College of Oriental Medicine, Daegu Haany University) ;
  • Baek, Jung-Han (Department of Pediatrics, College of Oriental Medicine, Daegu Haany University)
  • 이유진 (대구한의대학교 한의과대학 소아과학교실) ;
  • 백정한 (대구한의대학교 한의과대학 소아과학교실)
  • Received : 2010.07.15
  • Accepted : 2010.12.13
  • Published : 2010.12.31

Abstract

Objectives: By analyzing data of pediatric patients who had visited the emergency room of an oriental medical hospital, we can understand their characteristics and diseas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troduce the excellence of Oriental medicine, to develop various treatments and to revitalize pediatric emergency care at oriental medical hospital. Methods: The study was composed of 371 pediatric patients who had visited the emergency room of the $\bigcirc\bigcirc$ university oriental hospital from January 2008 to December 2009. Results: 1. Average age of the pediatric patients was 4.28 years old, and it has showed that 1 to 3 years old patients (36.7%) were the most common age. 2. The number of pediatric patients was increased in June. According to the weekly distribution data, the number of pediatric patients who had visited on Sunday was the most (29.1%). Also, the number of pediatric patients who had visited ER for 18 to 21 hours(35.6%) were the most common. 3. The major problems of hospitalization were digestive symptoms and nervous symptoms. The nervous symptoms were the most at infancy. The musculoskeletal symptoms were the most common in adolescence. The digestive symptoms were common in other stages of development. 4. The time interval between arrival and onset; within 6 hours were the most(48.0%). Acupuncture and herbal medication treatment(75.2%) were the most common medical treatments. Most of the pediatric patients(97.3%) were discharged after medical treatments. Conclusions: Pediatric patients who had visited emergency room at the oriental medical hospital were mostly not due to acute form of serious diseases. The most common disease states that have preferred to treat with oriental medicine were dyspepsia, crying, febrile fit, and ankle sprain. We have to introduce the excellence of oriental medicine, and we need to try to develop other treatments such as magnetic acupuncture, moxa therapy, aroma therapy and revitalize pediatric emergency care at oriental medical hospital.

Keywords

References

  1. 전혜진. 일 대학병원 응급의료센터의 소아환자 실태분석. 연세대 간호대학원. 2007:1-43.
  2. 김경환, 김홍용. 응급실 환자에 대한 분석. 대한응급의학회지. 1995;6(2):381-7.
  3. 김영식, 임경수, 황성호, 윤양구. 응급실 내원 환자에 대한 병원전 응급체계와 후송에 대한 조사. 대한응급의학회지. 1992;3(2):46-55.
  4. 백광제, 박승희, 선경, 장연회, 엄병선, 홍윤식. 응급의학과 전공의 교육을 위한 제언. 대한응급의학회지. 1993;4(2):138-47.
  5. 김옥준, 최옥경, 구홍두, 김승환, 김승호. 응급의료센터로의 외상환자 전원에 대한 고찰. 대한응급의학회지. 1993;4(1):112-21.
  6. 윤상섭, 최승혜, 박일영, 이성, 박승만, 임근우. 2차 의료기관 응급실 내원환자에 대한 임상적 분석. 대한응급의학회지. 1997;8(2):155-65.
  7. 이기호, 이문희, 최학봉. 응급실 내원환자의 분석. 가정의학과학회지. 1990;11(11):28-34.
  8. 유인술, 박재황. 응급의료체계를 통하여 내원한 응급실 환자에 대한 분석. 대한응급의학회지. 1992;3(2):56-66.
  9. 김덕곤, 김윤희, 김장현, 박은정, 백정한, 이승연, 이진용, 장규태. 동의소아과학. 서울:정담. 2002:20, 27-30, 679.
  10. 차한, 윤덕로. 소아 응급실 이용양상. 소아과. 1989;32(7):897-913.
  11. 안돈희. 소아환자의 응급실 현황. 대한의학협회지. 1994;413:690-719.
  12. 문경덕. 응급실 환아의 통계적 관찰. 소아과. 1993; 36(12):1732-9.
  13. 김원섭. 응급실 환아에 대한 임상적 관찰. 소아과. 1991;34(1):7-15.
  14. 이규형. 응급실 환아에 대한 임상적 고찰. 소아과. 1984;27(2):1-17.
  15. 김진희, 배진호, 전진호, 문정웅. 2차병원에서의 소아과 환자의 응급실 및 외래 이용에 관한 연구. 인제의학. 2006;27:87-95.
  16. 박성철. 한방병원 응급실 내원 환자 1278명의 통계적 고찰. 원광대 대학원. 2002;12(1):173-86.
  17. 안정란, 차상철, 김철규, 이인선. 한방병원 응급실 내원 환자 2485명의 통계적 고찰. 한방재활의학과학회지. 2002;12(4):1-10.
  18. 김보중. 한방병원 응급실 환자에 대한 실태연구. 대전대학교 석사 논문. 2004:8-34.
  19. 소형진, 류재환, 김영철, 이범준. 한의과대학 부속 한방병원 한방응급실 내원환자에 대한 임상적 분석. 대한한의학회지. 2007;28(3):197-206.
  20. 강미선, 장규태, 김장현. 한방의료기관내 응급실에 내원한 소아환자에 관한 임상적 고찰. 대한한방소아과학회지. 2003;17(1):117-29.
  21. 윤혜진, 서정민, 백정한. 모 한방병원 응급실에 내원한 소아 환자에 대한 임상적 연구. 대한한방소아과학회지. 2007;21(2):35-50.
  22. Robert MK, Hal BJ, Richard EB, Bonita FS. Nelson textbook of pediatrics. 18th ed. Philadelphia:Saunders Elsevier. 2007:1.
  23. 박찬국. 黃帝內經素問. 파주:집문당. 2005:567-79.
  24. 이경우. 編注譯解 黃帝內經靈樞. 서울:여강출판사. 2000:109-38.
  25. 김정범. 金櫃要略辨釋. 서울:한의문화사. 2003:607.
  26. 葛洪. 肘後備急方. 北京:人民衛生出版社. 1956:1-43.
  27. 黃致元. 한방응급의학. 대전:대전대학교 한의과대학 순환기내과학교실. 1997:9-11.
  28. 전세일. 동서의학의 협진방안. 제2회 한방병원학술대회 논문집. 1998;2(1):12-8.
  29. 지제근. 동서의학 연구의 접점. 대한의사협회지. 1998;40(3):288-90.
  30. 김신정, 문선영. 응급실 방문 환아에 대한 임상적 고찰. 아동간호학회지. 1999;5(1):97-106.
  31. 최은영, 장규태, 김장현. 모 한방병원 소아과 외래 환자의 주소증에 대한 연구. 대한한방소아과학회지. 2005;19(2):197-213.
  32. 박재황, 위대한. 응급센터에 내원한 소아환자에 관한 임상적 고찰. 대한응급의학회지. 1996;7(3):354-62.
  33. 이정한. 소아 응급진료실 분리운영 후 적절성의 평가. 대한응급의학회지. 2003;14(4):366-70.
  34. 김신정, 문선영, 박은옥. 응급실 방문 환아의 중증도. 아동간호학회지. 2001;7(2):191-202.
  35. 송인선, 신지나, 신원규. 소아과 외래 환자의 주소증에 관한 고찰. 대한한방소아과학회지. 2002;16(2):69-81.
  36. 손명숙, 김춘옥, 이지은, 유계선, 변선희, 정두채, 고영관. 응급실 내원 환자 진료시간 조사 연구. 대한응급의학회 학술발표대회자료집. 1995:50.
  37. 원도희, 조정희, 정기숙, 이송득, 노희원. 생약 및 생약제제의 규격에 관한 연구III. 국립보건원보. 1985;22:383-9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