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MEMS 가속도계를 적용한 ELT 시스템 개발과 검증

Development and Verification of ELT System Using the MEMS Accelerometer

  • 이상철 (한국항공대학교 항공우주 및 기계공학부) ;
  • 이동규 (한국항공대학교 항공우주 및 기계공학과 대학원) ;
  • 강자영 (한국항공대학교 항공운항학과)
  • 투고 : 2009.11.10
  • 심사 : 2010.02.23
  • 발행 : 2010.03.01

초록

비상위치송수신장치(ELT)는 항공기 추락 시 조난 신호를 송출하는 장비이다. 유용한 장비이지만 항공기 추락과 경착륙에 대한 오판으로 인하여 잘못된 조난신호를 송출하기도 한다. 이러한 문제점은 현재 사용되고 있는 기계식 G-스위치의 부정확성에 그 원인이 있다. ELT의 성능 개선을 위하여 기계식 G-스위치를 MEMS 가속도계로 대체한 ELT 시스템을 개발하였다. ELT 시스템은 가속도 정보 수집/분석 시스템과 추락 판단 프로그램, 추락 상황에서 위치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GPS 수신 시스템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ELT 시스템을 검증하기 위한 자유 낙하 실험대를 제작하였다. 자유 낙하 실험대는 추락과 경착륙에 해당하는 충격 가속도와 충격 유지 시간을 모사할 수 있도록 설계하였다. 자유 낙하 실험대를 이용하여 개발한 ELT 시스템이 정확히 작동함을 확인하였다.

ELT(Emergency Locator Transmitter) is used to send distress signal in the event of an aircraft crash. It is very useful but the ELT may transmit wrong signal caused by misjudging between crash and hard-landing. The reason of this problem is the low accuracy of the mechanical G-switch currently in use. To improve the ELT, we developed an ELT system using the MEMS(Micro Electro-Mechanical Sensor) accelerometer. The ELT system consists of acceleration data acquisition/analysis system, program of crash recognition, and GPS receiving system for the position information of an aircraft crash site. A free-drop table was developed for verification of the ELT system. The free-drop table was designed to replicate the acceleration and the pulse duration of the hard landing and the crash. By using the free-drop table, we showed that the ELT system performed well.

키워드

참고문헌

  1. 이동규, 양성욱, 이상철, 강자영, 임종태, 정도희, 강영식, “위성기반 항공기 비상위치송신장치 발전방향과 소요기술 연구”, 춘계학술대회, 한국항공우주학회, 2008, pp. 915-918.
  2. Bernard J. Trudell and Ryland R. Dreibelbis, "Current Emergency Locator Transmitter Deficiencies and Potential Improvements Utilizing TSO-C91a ELTs", NASA, 1990.
  3. H.Clay Gabler and Christopher J. Molnar, "Development of an Enhanced Emergency Locator Transmitter for General Aviation", Rowan Univ., 2006.
  4. RTCA, "Minimum Operational Performance Standards for 406MHz Emergency Locator Transmitters (ELT)", RTCA DO-204A, 2007.
  5. William F. Riely and Leroy D. Sturges, "Engineering Mechanics: Dynamics", John Wiley & Sons Inc., 1996.
  6. 조종환, 이성철, 윤성호, 홍성욱, “ 낙하추방식의 저에너지 충격시험기 개발”, 춘계학술대회, 한국정밀공학회, 1998, pp. 763-766.
  7. 이영신, 김동진, 강근희, 오종수, “충격자의 형상 및 재질변화에 따른 펄스형성에 관한 연구”, 대한기계학회, 제22권 제1호, 1998, pp. 52-63.
  8. 황상재, 선진석, 김형진, 김영주, 김의간, “중간중량 충격시험기의 충격력 및 충격유지시간 평가에 관한 연구”, 후기학술대회, 한국마린엔지니어링학회, 2006, pp. 141-14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