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시부 신호교차로 인근 도로점용공사를 고려한 포화교통류율 산정모형 개발에 관한 연구

Development of Saturation Flow Rate Estimation Models Considering Workzone in the Vicinity of Signalized Intersections

  • 어효경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첨단교통연구실) ;
  • 신치현 (경기대학교 도시.교통공학과)
  • 투고 : 2010.07.13
  • 심사 : 2010.12.15
  • 발행 : 2010.12.31

초록

본 연구는 도로점용공사가 신호교차로의 정지선에 인접하여 시행될 시, 물리적 차로점용으로 인하여 변화하는 포화교통류율을 산정하기 위한 수학적 논리모형 개발을 목적으로 한다. 우선 문헌조사와 사전 모의실험을 통하여 신호교차로에 인접한 도로의 포화교통류율이 도로점용공사의 위치, 차로 수, 신호주기, 유효녹색시간에 의해 민감하게 변화함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포화교통류율 변화요인을 독립변수로 선정하고, 기존 교통류이론을 활용한 수학적 논리모형을 개발하였으며, 개발모형은 도로점용공사의 위치(교차로 상/하류)에 따라 각각 달리 적용하도록 이원화하였다. 개발된 논리모형의 검증을 위하여 다양한 미시적 시뮬레이션을 수행하였으며, 논리모형 적용과 모의실험 수행을 통해 각각 얻어낸 포화교통류율 결과 값을 비교/분석하였다. 검증결과, 각각의 방법으로 얻어낸 포화교통류율의 절대적 차이가 다소 존재하였으나, 독립변수의 영향에 의한 포화교통류율 분포 형태가 통계적으로 유의함을 확인하였다.

This study aims to develop mathematical models for estimating saturation flow rates at the stop line of signalized intersection due to Workzones in the vicinity, since the saturation flow rate is the most critical parameter in capacity analysis for signalized intersections. It was found by reference review that saturation flow rates are sensitively influenced by the location of Workzone, the number of lanes, cycle length and effective green time. Extensive microscopic simulation runs were also performed and compared to the those of mathematical models for model verification. Mathematical models were developed based on traffic flow theory and dualizing them by the location of workzones. And then each result produced by changing important parameter values was carefully examined and analyzed. Small but consistent differences in saturation flow rate values between mathematical models and simulations exist. However, the pattern of changes in saturation flow rates depending on each variable was similar.

키워드

참고문헌

  1. 고진영(2005), "도로점용공사 교통소통대책 허가 및 관리체계 개선방안에 대한 연구", 서울시립대학교 도시과학대학원.
  2. 박재노.오영태(2007), "고속도로 공사구간 완화구간 길이 산정 방안", 제55회 학술발표회논문집, 대한교통학회, pp.476-485.
  3. 신치현.어효경(2008), "도로점용공사에 의한 신호교차로 포화교통류율 변화에 관한 연구", 산업기술종합연구소 논문집, 제33집, pp.234-252.
  4. 오주삼.고동석(1998), "도로공사로 인한 차선폐쇄시 교통류 특성에 관한 연구", 제34회 학술발표회논문집, 대한교통학회, pp.116-125.
  5. 서울특별시, 도로점용공사장 교통소통대책에 관한 조례.
  6. Adolf D. May(1990), "Traffic Flow Funda- mentals", Prentice Hall, pp.321-337.
  7. Lily Elefteriadou, Mayank Jain, Kevin Heaslip (2008), "Impact of Lane Closures on Roadway Capacity", Florida Department of Transportation.
  8. Memmott, J. L., and C. L. Dudek.(1984), "Queue and User Cost Evaluation of Work Zones (QUEWZ)", Transportation Research Record 97, TRB Washington D.C.
  9. McTrans, QuickZone, http://mctrans.ce.ufl. edu/feat -ured/QZone/.
  10. McTrans, CORSIM, http://mctrans.ce.ufl. edu/feat -ured/TSIS/.
  11. Praveen K. Edara(2007), "Estimation of Traffic Mobility Impacts at Work Zones State of The Practice", TRB Annual Meeting.
  12. Rahim F. Benekohal, Ahmed-Zameem Kaja-Mohideen, Madhav V. Chitturi(2003), "Evaluation of Construction Work Zone Operational Issue: Capacity, Queue, and Delay", Illinois Transportation Research Center.
  13. Taehyung Kim(2001), David J. Lovell and Jawad Paracha, "A New Methodology to Estimate Capacity for Freeway Work Zones", TRB Annual Meeting.
  14. TRB(2000), "Highway Capacity Manual", National Research Council, TRB Washington D.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