버스몰림운행 지속시간 추정모형 개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Development of Bus Bunching Duration Model

  • 김은경 ((주)티테크이앤씨 교통환경디자인연구소) ;
  • 노정현 (한양대학교 도시대학원) ;
  • 류시균 (경기개발연구원)
  • 투고 : 2009.04.30
  • 심사 : 2010.12.11
  • 발행 : 2010.12.31

초록

본 연구는 정류소에서 여러노선의 버스가 동시에 몰려들어오는 버스몰림운행의 실태를 파악하고 이로 인해서 야기되는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버스몰림 운행지속시간 모형을 추정하고 버스몰림운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였다. 버스몰림지속시간의 관측치를 대상으로 8개의 지속시간에 대한 분포를 검토하여 가장 적합도가 높게 나타난 weibull 분포를 가정한 모형을 개발하였다. 18개 영향변수를 검토하였으며 정차면수, 정차면수당 노선수, 노선당 최대 승하차인원을 설명변수로 하는 버스몰림운행 지속시간 모형을 개발하였다. 중앙버스전용차로(도봉미아로)와 가로변 전용 및 일반차로(통일의주로)에 대한 모형을 각각 도출하여 비교하였다. 그 결과, 도봉미아로의 몰림지속시간은 통일의주로에 비해 교통량에 대한 영향을 많이 받으며, 통일의주로는 도봉미아로에 비해 정차면수와 정차면수당 노선수, 노선당 최대 승하차인원에 많은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개발된 모형을 토대로 버스몰림운행 현상의 완화방안을 제시하였다.

The present study aims at estimating the model of bus bunching duration along with its influential determinants in an attempt to understand the status of bus bunching being created by buses from various routes converging into one bus stop. To do so, the duration analysis, a well-known survival analysis, was adopted in order to capture the distribution of duration time as for 8 base lines, accordingly developing the model best fit for weibull distribution. Key attention to draw out the duration time model for bus bunching phenomena was laid, by analyzing 18 impact factors, on such criterion variables as number of berth, number of bus line in each berth and maximum capacity of on-and-off passengers in each line. Comparison in two typical types of bus lane was made between bus-only center lane(Dobong Mia-ro) and normal street-side lane(Tongil Euiju-ro). In this regard, the study, based on the model as above, suggested appropriate alternatives to improve the bus operation by effectively controlling bus bunching.

키워드

참고문헌

  1. H. P. Benn (1995), "Bus Route Evaluation Standards", TCRP Synthesis10.
  2. National Academy Press (2003), "Transit Capacity and Quality of Service Manual-2nd Edition", Transportation Research Board.
  3. 윤혁렬 (2004), "서울시 버스체계개편에 따른 모니터링 연구", 서울시정개발연구원.
  4. 고승영.박준식.김은호 (2005), "버스 운행 신뢰성 평가를 위한 정시성지표의 개발 및 적용", 대한교통학회지, 제23권 제2호, 대한교통학회, pp.131-141.
  5. 양지영 (2006), "시공도를 이용한 버스운행 정시성 지표개발", 서울시립대 석사학위논문.
  6. 김원호 (2007), "중앙버스전용차로 운영평가를 위한 지표개발", 서울시정개발연구원.
  7. 김태호 (2002), "버스정류장간 총 통행시간 모형을 이용한 버스 쌍현상 분석에 관한 연구", 한양대학교 석사학위논문.
  8. 이호상.임정실.정영제.김영찬 (2007), "자료기반의 버스신뢰성 관리방안(서울시를 중심으로)", 제6회 추계학술대회, 한국ITS학회, pp.51-59.
  9. 이호상.임정실.정영제.김영찬(2008), "자료기반의 서울시 버스신뢰성 관리정책과 평가", 한국ITS학회논문지, 제7권 제2호, 한국ITS학회, pp.1-12.
  10. 김은경.노정현.김영찬 (2008), "버스서비스 개선을 위한 버스몰림지표 개발 및 적용", 한국ITS학회논문지, 제7권 제6호, 한국ITS학회, pp.1-11.
  11. Robert S. P and Daniel L. (1991), "Ecomometric models and economic forecasts", McGRAW-HILL.
  12. 박재빈 (2006), "생존분석 이론과 실제", 신광출판사.
  13. 송경일.최종수 (2008), "SPSS15를 이용한 생존자료의 분석", 한나래.
  14. Simon P. W, Matthew G. K. and Fred L. M. (2003), "Statistical and Econometric Methods for Transportation Data Analysis", CHAPMAN & JALL/CRC.
  15. 이신해 (1996), "지속시간모형(Duration model)을 이용한 판매시설 이용자의 주차시간 추정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6. 山本俊行, 木村誠司, 北村降一 (1998), "取替更新行動間の相互影響を考慮した世帶の自動車取替更新行動モデルの構築", 土木計劃學硏究.論文集, No.15, pp.593-599.
  17. 권상순 (2002), "Harzard-based duration model을 이용한 고속도로 돌발상황 지속시간 추정에 관한 연구", 경기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8. 박지훈 (2004), "생존시간 기법을 이용한 자동차 생산기간에 대한 분석", 단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 정연식.송상규.최기주 (2007), "AFT 생존분석 기법을 이용한 고속도로 교통사고 지속시간 예측모형", 대한교통학회지, 제25권 제5호, 대한교통학회, pp.135-148.
  20. Carol C. S. and Gillbert (1992), "A duration model of automobil ownership", Transportation research Part B, Methodological, v.26 no.2, pp.97-114. https://doi.org/10.1016/0191-2615(92)90001-D
  21. Hensher, D. A. and Mannering, F. L. (1994), "Hazard-based duration models and their application to transport analysis", Transport reviews, v.14 no.1, pp.63-82. https://doi.org/10.1080/01441649408716866
  22. 서순근 (2006), "Minitab 신뢰성 분석", 이레테크.
  23. 도로용량편람(2005), 건설교통부, pp.455-4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