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입 및 진출차로 퍼짐에 따른 회전교차로 효과 분석

A Study on Effectiveness of Entry/Exit Flare at Roundabout

  • 투고 : 2010.07.28
  • 심사 : 2010.12.20
  • 발행 : 2010.12.31

초록

이 연구는 회전교차로의 진입 및 진출차로 퍼짐을 다루고 있다. 연구의 목적은 회전교차로의 진입 및 진출차로 퍼짐에 따른 회전교차로의 진체 및 용량효과를 분석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회전교차로 및 진출입차로 퍼짐에 따른 교통량별로 시나리오를 작성하고 VISSIM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된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1차로 및 2차로 회전교차로의 차량당 평균제어지체를 분석한 결과, 1차로 회전교차로는 총 진입교통량이 2,400pcph에서, 2차로 회전교차로는 4,400pcph에서 서비스수준 F에 도달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둘째, 진입차로 퍼짐 회전교차로에서 총 진입교통량 2,800~3,200pcph가 서비스수준 F인 것으로 분석되어, 1차로 회전교차로 보다 400~800pcph정도의 용량 증대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고, 진입 및 진출차로 퍼짐 회전교차로에서 총 진입 교통량 3,200~3,600pcph가 서비스수준 F인 것으로 분석되어, 1차로 회전교차로보다 800~1,200pcph정도의 용량 증대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마지막으로, 회전교차로와 퍼짐 회전교차로의 비교분석 결과, 퍼짐 회전교차로의 용량은 1차로 회전교차로와 2차로 회전교차로의 중간 수준이므로 회전교차로의 유형에 추가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This study deals with the roundabout by flare of entry and exit. The goal is to analyze the relative effectiveness of roundabout by flare of entry and exit. In pursuing the above, this study gives the particular attentions to comparing the performances using VISSIM software. The main results analyzed are as follows. First, the single and double roundabouts are analyzed to have LOS F in the case of total entering vehicles of 2,400pcph and 4,400pcph Second, the roundabouts by entry flare analyzed to have LOS F in the case of total entering vehicles of 2,800~3,200pcph and the roundabouts by entry and exit flare analyzed to have LOS F in the case of total entering vehicles of 3,200~3,600pcph. Finally, result of comparative analysis of roundabout and roundabout by flare of entry and exit, capacity of roundabout by flare of entry and exit are located between 1-lane roundabout and 2-lane roundabout. therefore it analyzed that roundabout by flare of entry and exit can be added to new type roundabout.

키워드

참고문헌

  1. 박병호.류승옥(2008), "회전교차로의 계획과 설계", 예원사.
  2. 정용일(2005), "SIDRA를 이용한 현대식 회전교차로와 일반교차로의 효과 비교분석", 충북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3. 박병호.송대섭(2003), "교차로 계획에서 현대식 회전교차로의 도입 타당성", 충북대학교 건설기술연구소 논문집 제22권 제2호, pp.139-151.
  4. 송대섭(2003), "Simulation 기법을 활용한 Roundabout의 효율성 평가", 충북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5. 이용재.김석근(2002), "현대식 회전교차로의 용량보정계수에 관한 연구", 대한토목학회지, 제22권, 대한토목학회, pp.185-195.
  6. 전우훈.도철웅(2003), "Roundabout의 용량분석", 대한교통학회지, 제21권 제3호, 대한교통학회, pp.59-69.
  7. 김응철.지민경(2009), "회전교차로의 서비스수준 기준 정립 연구", 대한교통학회지, 제27권 제1호, 대한교통학회, pp.7-16.
  8. 김태영.박상혁.박병호(2009), "다이아몬드 입체교차점에서의 회전교차로 도입에 따른 운영효과 분석", 대한교통학회지, 제27권 제1호, 대한교통학회, pp.53-62.
  9. 박준(2010), "교통 안전성과 운영 수준 분석을 통한 국내 회전교차로 적용성 검토 연구", 서울시립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0. 김태영.한수산.박병호(2010), "국내 회전교차로의 수락간격 모형", 제63회 학술발표회논문집, 대한교통학회, pp.ii-99-104.
  11. 국토해양부(2001), "도로용량편람".
  12. 국토해양부(2000), " 도로의 구조․시설 기준에 관한 규칙 해설 및 지침".
  13. Akcelik, R.E. Chung and M. Besley(1998), "Roundabouts: Capacity and Performance Analysis," ARRB Transport Research Ltd., Research Report No. 321.
  14. Blackmore, F. C.(1963), "Priority at roundabouts.", Traffic Engrg. & Control, London, 5(6), pp.104-106.
  15. Rosolino Vaiano and Vincenzeo Gallelli(2008), "Roundabout Intersections: Evaluation of Geometric and Behavioral Features with VISSIM", National Roundabout Conference 2008, TRB.