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방부 도로 고령 보행자 사고 특성분석연구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Traffic Accidents for the Elderly Pedestrians on Rural Highways

  • 박준태 (서울시립대학교 교통공학과) ;
  • 최병부 (경찰청 교통안전담당관실) ;
  • 이수범 (서울시립대학교 교통공학과)
  • 투고 : 2010.07.09
  • 심사 : 2010.10.06
  • 발행 : 2010.10.31

초록

교통사망사고중, 고령자 교통사고가 30%이상을 차지하고 있으며, 해마다 증가추세인 고령 노인교통사고와 관련, 고령화사회에 진입한 현실을 반영하여, 향후 특단의 대책을 수립해야할 필요성이 절박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노인 고령자들이 주로 지방도시 지역의 지방부도로 주변에 밀집거주 및 이동하는 현실을 착안하여 지방부도로 고령보행자사고 특성을 분석하고, 이에 따른 사고심각도 모형을 개발하는 데 주안점을 두었다. 경찰청 교통사고자료를 720건 입수하여, 경상 중상 사망등 가중치를 반영한 사고심각도 모형을 중회귀분석에 의해 도출하였으며, 그 결과 사고심각도에 가장 영향력이 큰 독립변수는 역시 과속차량임을 통계적으로 입증할 수 있었다.

Elderly pedestrians account for more than 30% of all deaths in traffic accident and the number of elderly-related traffic accidents are increasing every year. Considering Korea's quickly aging society, drastic measures must henceforth be taken. Taking notice of the elderly living in and moving around the provinces, this research focused on analyzing the characteristics of elderly pedistrians' traffic accidents on provincial roads and developing an Equivalent Property Damage Only (EPDO) model. The authors collected 720 traffic accident data points from the police agency and developed the EPDO model, weighted differently by light injury, severe injury, and death using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s a result, the speed of vehicles is the most influential variable in EPDO, and the shape of the road is significant as well. Therefore, various policies should be established like improving the environmental factors of provincial roads, like expanding speed-reduction treatments and signage, and setting up detours around areas of high elderly concentration.

키워드

참고문헌

  1. 임평남(1995), "한국의 노인교통사고 피해와 안전대책", 교통안전연구논집, 제14집, 도로교통안전협회.
  2. 유현상.송수식.이상연.백주희(1996), "교통사고 다발자의 성격경향에 관한 연구", 신경정신의학.
  3. 신용균.이건호.박지영(1998), "노년층 운전자의 시지각 및 운전행동, 교통안전연구논집", 제17집, 도로교통안전협회.
  4. 경기개발연구원(2002), "고령자 운전특성에 관한 연구".
  5. 교통개발연구원(2001), "고령운전자의 운전행태 고찰 및 안전운전대책 연구".
  6. 강지혜(2005), "고령운전자의 행동특성을 고려한 교통안전제도 개선에 관한 연구", 서울시립대 석사학위논문.
  7. 김정현.오영태.손영태.박우신(2002), "보행자 시설 서비스 수준 산정에 관한 연구", 대한교통학회지, 제20권 제1호, 대한교통학회, pp.149-156.
  8. 이수일.원제무.김태호.김용식(2002), "보행 잔여신호기 도입에 따른 보행행태 변화에 관한 연구", 국토계획, 제39권 1호, pp.263-272.
  9. 김경옥(1996), "노인보행자 교통사고 노출 및 행동특성에 관한 연구", 도로교통안전공단.
  10. 김진경(2006), "교통사고 건당 EPDO를 이용한 교통사고 특성분석", 전남대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1. 경찰청(2006), "2006년 노인교통사고분석".
  12. 이상두(2000), "교통사고처리요령".
  13. Slataper, F.J.(1950), "Age norms of refraction and vision, Archieves of Ophthalmology", Vol.43.
  14. Strehler, L. Bernard(1962), "Time, cells, and aging", Academic press.
  15. Weale, R.A.(1963), "The aging eye, New york : Hoeber Medical Division", Harper & Row.
  16. Burg, A.(1968), "Vision test score and driving record : Additional findings", Department of Engineering, UCLA.
  17. Mihal, W.L., Mihal, G.V. Barrett(1976), "Individual differences in perceptual information processing and their relation to automobile accident involvement",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vol 61, pp.229-233. https://doi.org/10.1037/0021-9010.61.2.2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