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적좌표계의 세계좌표 변환 연구

A Study on Converting Cadastral Coordinate System into Global Coordinate System

  • 박춘수 (대한지적공사 충청북도본부) ;
  • 홍성언 (청주대학교 행정도시지적학부 지적학) ;
  • 박종오 (경일대학교 대학원) ;
  • 정택승 (경일대학교 대학원) ;
  • 성백영 (경일대학교 대학원)
  • 투고 : 2010.08.14
  • 심사 : 2010.09.12
  • 발행 : 2010.09.30

초록

본 연구에서는 지적좌표체계의 세계좌표체계로의 변환 실험연구를 통하여 위치 및 면적의 변화량과 이로 파생되는 문제점들을 검토 분석하였다. 그리고 이를 기초로 개선점을 모색하여 보고자 하였다. 연구지역의 좌표변환 결과, 모든 필지경계점(총 478점)에 대한 좌표변환의 표준편차가 X=0.0079m, Y=0.0153m로 나타나 매우 양호하게 산출되었다. 면적의 차이량을 분석한 결과, 평균적으로 0.062$m^2$정도의 차이를 보여, 이는 현행 법률에서 규정하고 있는 면적허용오차 이내인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연구대상지역에 한정하여 본다면 위치나 면적부분에서 많은 차이를 보이지 않아 세계좌표계로의 전환이 가능한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considers and analyzes the position and area errors and the related problems through the experimental study of the converting process from the cadastral coordinate system to the global coordinate system. Also, based on the result, the points of improvement have been considered. According to the conversion of the coordinates in the study area, the standard deviations for the conversion of coordinates in regard to every parcel boundary point (478 points in total) have been calculated as X=0.0079m and Y=0.0153m respectively. It can be considered that such values are extremely excellent. Also, after analyzing the area errors, it has been found that there is a difference of $0.062m^2$ on average. Such a difference stays within the range of the allowable error tolerance specified by the current laws. Therefore, in regard to the limited area which is subject to the study, it can be concluded that the difference is not great in differences of the position or the area. As a result, the converting process into the global coordinate system is possible.

키워드

참고문헌

  1. 강태석, 2000, 지적측량학, pp.95-110.
  2. 곽인선, 2009, "세계측지계 도입에 따른 경계점 좌표등록부 좌표변환 방안", 제32회 지적세미나 연구과제집, 국토해양부 . 대한지적공사, pp.5-56.
  3. 곽호선, 2008, 세계측지계 전환에 따른 지적확정측량 성과의 변동량 분석, 석사학위논문, 서울시립대학교, p.8.
  4. 국립지리원, 2002, 세계측지계로의 전환지침 연구, p.5.
  5. 김옥두, 2008, 세계측지계 기반 지적좌표 변환 방안에 관한 실증적 연구, 석사학위논문, 목포대학교, pp.1-2.
  6. 김의석, 2007, 지적기준점의 세계좌표계 전환에 관한 연구-진주지역을 중심으로-, 석사학위논문, 진주산업대학교.
  7. 김정호, 1998, GPS를 이용한 기준점 좌표변환에 관한 연구, 박사학위논문, 경기대학교, pp.23-24.
  8. 대한지적공사 지적연구원, 2008, 세계측지계 기반 지적측량 방안 연구, pp.30-32.
  9. 대한지적공사, 2005, 지식기반시대에 유용한 지적정보 활성화를 위한 한국측지좌표계 도입, p.37.
  10. 서울시정개발연구원, 2004, 세계측지계 전환에 따른 서울시 지리정보 대응방안 연구, p.17.
  11. 성승원, 2009, 세계측지계 변환에 따른 확정지구 필계면적 비교분석-용인시 기흥구 구성택지개발지구를 중심으로-, 석사학위논문, 서울시립대학교.
  12. 신동빈.유선철, 2008, "한국토지정보시스템 데이터의 세계측지좌표계 변환 실험", 한국지형공간정보학회 춘계학술대회논문집, pp.405-410.
  13. 이권한.서관호.정해철, 2003, "GIS 활용을 위한 기타원점 좌표계 지적자료의 좌표변환에 관한 연구-경기도 오산시를 대상으로-", 한국GIS학회지, 제11권 제4호, pp.481-491.
  14. 이석배.심정민, 2007, 구면적과 투명면적의 비교 및 세계측지계 전환에 따른 면적변화량 분석, 한국지적학회지, 제23권 제1호, pp.29-43.
  15. 임현석.홍성언.송근필.강원효, 2008, "GPS 상시관측소에 의한 세계측지계 산출좌표의 성과 비교", 한국지적학회지, 제24권 제1호, pp.181-198.
  16. 최승환, 2007, 디지털 지적도면의 세계측지계 좌표변환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전북대학교.
  17. N.F. Danial, 1983, "Space Resection with Distance", ASSM, ASP, Technical paper, pp.700-7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