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ffect of Health-Orientated Menu for Restaurant Customers on LOHAS, Herbal Food, and Customer Satisfaction

외식소비자의 건강지향 메뉴가 LOHAS와 약선 음식 및 고객만족에 미치는 영향

  • Received : 2009.10.21
  • Accepted : 2010.03.01
  • Published : 2010.03.30

Abstract

As a life cycle changed and people who eat out rapidly increased, the imbalance of nutrition through eating out has been suggested as a risk factor for chronic diseases. This has cast light on health-oriented menu for restaurant customers, raising it as a new social issue in the food service and health industry. In light of this situation, this thesis focuses on the relationship among health-oriented menu for restaurant customers, herbal foods and its influence on customer satisfaction to provide useful information on LOHAS and herbal foods. Also, it investigates their vegetable diet, including eating herbal food, and Buddhist temple foods which are in close relationship with health.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health orientation had a significant impact on LOHAS. Second, health-oriented menu proved to give significantly positive influence on customer satisfaction by introducing herbal foods. Third, LOHAS gave a significant impact on herbal foods, and by herbal foods, it gave positive influence on customer satisfaction. Finally, the hypothesis which said herbal food has a significant impact on customer satisfaction also had significant influence.

라이프사이클의 변화와 외식 인구의 급격한 증가와 함께 외식을 통해 섭취하는 영양소의 불균형이 만성질환의 위험 요인으로 제기되면서, 외식소비자의 건강지향 메뉴는 외식건강산업의 새로운 분야로서 사회적인 이슈가 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의 목적은 외식소비자의 건강지향 메뉴가 로하스와 약선 음식 그리고 고객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관계를 파악하여 로하스와 약선 음식에 대한 유용한 정보를 제공하였으며, 외식소비자의 건강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채식, 약선 음식, 사찰 음식 등의 레스토랑 고객을 대상으로 탐색해 보았다. 분석결과, 먼저 건강지향성은 로하스에 유의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건강지향 메뉴는 약선 음식을 매개하여 고객만족에까지 유의적인 정의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셋째, 로하스는 약선 음식에 유의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약선 음식을 매개로 고객만족에까지 유의적인 정(+)의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마지막으로 약선 음식은 고객만족에 유의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가설도 유의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따라서 이와 같은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외식소비자의 건강지향 메뉴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