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mparative Study on Usefulness of SPAIR and STIR Fast SE T2-weighted 3T Magnetic Resonance Imaging

3T 고속스핀에코 T2강조영상에서 지방소거 반전회복기법의 유용성 연구 - SPAIR와 STIR와의 비교 -

  • Lee, Hoo-Min (Department of Radiological Technology, Dongnam Health University) ;
  • Yoon, Joon (Department of Radiological Technology, Dongnam Health University) ;
  • Yeo, Young-Bok (Department of Radiological Technology, Dongnam Health University)
  • 이후민 (동남보건대학 방사선과) ;
  • 윤준 (동남보건대학 방사선과) ;
  • 여영복 (동남보건대학 방사선과)
  • Received : 2009.10.31
  • Accepted : 2010.02.25
  • Published : 2010.03.31

Abstract

In this study, we compared the clinical usefulness of SPAIR (Spectral Adiabatic Inversion Recovery) and STIR (Short TI Inversion Recovery) to evaluate the fat tissues precisely. The images of brain axial (n = 20), lumber spine sagittal (n = 20), hip joint coronal (n = 17) and knee joint (n = 25) were obtained by turbo spin echo T2 weighted method on 3T magnetic resonance image. The signal intensity (SI) values were measured using region of interest in fat, muscle tissue, and background noise. The inhomogeneity values were measured using the standard deviation (SD) value divided by the mean values. SD signifies the amount of error which is similar to the imaging heterogeneity. In brain axial images, the SPAIR showed more superior SI and inhomogeneity results than the STIR. In spine, hip and knee images, STIR showed more excellent SI results, but poor inhomogeneity than the SPAIR.

본 연구는 T2고속스핀에코 3.0T 자기공명영상에서 지방조직 소거기법인 SPAIR와 STIR기법의 임상적 유용성에 관한 비교연구를 시행하였다. SPAIR와 STIR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뇌의 축방향 영상(20개), 요추의 시상단면영상(20개), 고관절의 관상단면영상(17개), 무릎관절의 축방향 영상(25개)을 획득하였다. 검사부위별로 지방억제기법의 지방소거능력과 화질을 파악하기위해 지방조직의 신호강도와 불균일성을 측정하였다. 지방조직에서 불균일치는 측정된 지방 신호의 평균치(mean)에 대한 표준편차(SD)로서 그 산출은 SD/mean으로 계산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Statistical Package for the Social Science) WIN 13.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뇌 검사는 SPAIR가 STIR보다 지방억제능력과 화질면에서 우수한 결과를 나타냈으며, 둘째, 요추, 고관절, 무릎관절 검사는 지방의 신호억제능력은 STIR가 우수하고, 화질면에서는 SPAIR가 우수한 결과를 나타냈다.

Keywords

References

  1. The Korean Society of Magnetic Resonance Imaging : Textbook Magnetic Resonance Imaging, Chung-Ku Publishing, 121-124, 2008
  2. PHlLIPS : SPAIR Pulse Sequence, PPT, 2008
  3. Tae Yong Moon, In Sook Lee, Jun Woo Lee, Kyung Un Choi, Jeung Il Kim, E. Edmund Kim : MRI Evaluation for the Histologic Components of Soft-tissue Tumors : Comparision of MEDIC and Fast SE T2-weighted Imaging, JKMRM 12:1-7, 2008
  4. 대한자기공명기술학회 편 : 자기공명영상학, 대학서림, 180, 271-274, 2003
  5. 김승국, 김현자, 박일영, 이행기, 이후민, 지남준 : 자기공명의료영상학, 북스힐, 98-103, 2008
  6. 김한용, 안병태, 신현금, 신창희, 조남수 : 3.0T MRI 에서 STIR(Short Tau Inversion Recovery)기법의 적정한 반전시간(Inversion Time, TI)값 선정을 위한 실험, 대한자기공명기술학회, 17 (1), 119-127, 2007
  7. 김영근, 김세영, 김정삼, 외 12인 : MRI in Practice, 아카데미아, 253-262, 2008
  8. 이후민, 김함겸, 공석교 : 뇌의 고속스핀에코 T2강조 영상에서 지방조직 억제를 위한 SPAIR의 반전시간 (TI) 결정 및 STIR 영상과의 비교 연구, 방사선기술과학, 32(1), 95-99, 20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