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학력 지향 패러다임의 전환을 위한 시스템 다이내믹스적 접근

A System Dynamics Approach to shift the paradigm to be highly educated person

  • 김도훈 (숙명여자대학교 행정학과) ;
  • 홍영교 (숙명여자대학교 행정학과)
  • 투고 : 2010.11.28
  • 심사 : 2010.12.29
  • 발행 : 2010.12.31

초록

'JOBLESS GROWTH' is a word to explain the world's common problem of unemployment. But, 'highly educated youth unemployment' is the unique condition that Korea society is facing. In this paper, we determine the cause of the problem with causal loop diagram and reach the conclusion. It is the paradigm to be highly educated person and that paradigm became permanent after the Korean War. People think that only highly educated person can bring wealth and honor, so they spend much money for their children's private education to enter university. Though young people receive bachelor's degree, they spend much money to get job. To solve these problems, this paper suggest three solutions. The first is to shift the paradigm to be highly educated person. The second is to expand the opportunities of public education as education system of Finland. And the third is to support the youth aptitude.

키워드

참고문헌

  1. 강만길. (2006). 고쳐 쓴 한국근대사 창작과비평.
  2. 강명심. (2009). "부모-자녀 간 의사소통유형과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의 관계".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 권충훈. 김훈희. (2009). "핀란드 교육의 성공 요인 분석과 논의". 교육사상연구 제23권 3호: 55-84.
  4. 국민일보. (2010. 12. 9). "황금돼지띠, 대입 뺨치는 유치원 경쟁... 평년보다 출산율 10%정도 높아 '명문' 경쟁률 치솟아".
  5. 국회 개획재정위원회. (2008). "청년실업 위기극복을 위한 해외취업 활성화 전략 연구". 국회개획재정위원회.
  6. 김도훈. 문태훈. 김동환. (1999). 시스템 다이내믹스. 대영문화사.
  7. 김남희. (2010). "고학력 청년실업의 실태와 해결방안: 대구. 경북 지역을 중심으로". 대구대학교 석사학위논문.
  8. 김덕규. (2006). "일자리 창출을 위한 투자활성화 대책". 정기국회 정책자료집.
  9. 김영봉. (2008). 교육학개론. 서현사.
  10. 김태훈. 이거산. (1998). IMF 실업. 조선일보사.
  11. 류지성. (2010). "청년고용 확대를 위한 대학교육 혁신방안". 삼성경제연구소.
  12. 브레이크뉴스. (2010. 11. 20). "체감 청년 실업률 23%, '일자리' 시장 맡겨라".
  13. 서중석. (2007). 한국현대사 60년. 역사비평사.
  14. 이데일리. (2010. 3. 23). "온라인 창업, 전 연령대로 확산; 10대 창업 급증, 30-50대 남성 참여도 눈길".
  15. 이이화. (2003). 한국사 이야기. 한길사.
  16. 장상수. (2009). 교육과 사회이동. 그린.
  17. 최병기. (2006). "청년실업 해소 대책으로서의 해외취업 활성화 방안". 연세대학교 경제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8. 한국교육연구네트워크. (2010). 핀란드 교육혁명. 살림터.
  19. 한국노동연구원. (2009). "청년 비취업자의 눈높이 조정과정에 대한 연구". 노동부.
  20. 허흥식. (2003). 조선시대의 과거와 벼슬. 집문당.
  21. YTN. (2010). 용기 있는 10대들의 유쾌한 직업 도전, 2010년 10월 9일.
  22. 위키피디아.
  23. 통계청.
  24. 핀란드 교육부.
  25. 핀란드의 학교 제도.
  26. 핀란드 대학교육에 대한 OECD 리포트.
  27. Pitirim Alexandrovich Sorokin. (1998). On the Practice of Sociology. University of Chicago Pre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