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n Analysis of Ecological Factors Affecting Student-Life Satisfaction in Korea Science Academy

한국과학영재학교 학생의 학교생활만족도: 생태학적 접근

  • Received : 2009.11.02
  • Accepted : 2009.12.08
  • Published : 2010.02.28

Abstract

The primary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mploy an ecological model to analyze relative magnitudes of significant predictors affecting school life satisfaction in Korea Science Academy. The instruments used for this study were school life satisfaction Scale, Self-Efficacy Scale, Relationship Skill Scale, Internal Control Scale, Emotional Intelligence Scale, and FACE IV Scale. Data were collected by purposive sampling of 180 students of the Korea Science Academy in Busan, Korea. The data were analyzed by frequency, percentile, mean, standard deviation, Cronbach' ${\alpha}$, Pearson's productive correlation, hierarchical regression and stepwise regression, using SPSS 15.0+WIN program package.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 level of school life satisfaction in Korea Science Academy was found to be high(Mean = 4.24, SD = 0.57). 2. Model IV was the most powerful. It explained 49.7% of the school life satisfaction. 3. Relationship with friends(${\beta}$ = .443), with teachers(${\beta}$ = .273), and self-efficacy(${\beta}$ = .201) were significant factors in explaining the school life satisfaction. The three variables explained 49.9% of school life satisfaction.

Keywords

References

  1. 강병세, 김계수(1998). 통계분석을 위한 SPSSWIN EASY. 서울: 법문사.
  2. 김경진(2005). 과학영재학교 과학교사들의 영재교육에 대한 신념과 교수활동 유형.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3. 김리진(2000). 직장보육시설을 이용하는 취업모의 양육스트레스에 관한 생태학적 연구. 동덕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4. 김미경(2001). 고등학교 학생들의 학교생활만족도와 그 결정 요인. 아주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5. 김세환(2005). 인문계 고등학교 학생들의 학교생활만족도에 관한 연구. 관동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6. 김신일(1999). 새시대교육에대한한시각,' 21세기사회와 교육체제의 변화. '여름 정책세미나'기조 발제. 한국교육연구소, 121-125.
  7. 김애희(2007). 한국과학영재학교와 일반 고등학교 학생의 학교생활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생태체계 요인 분석. 동덕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8. 김은덕(1993). 서울시 중학생의 학교생활 및 교실환경 만족도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9. 문용린(1997). 새로운 지능의 개념, 감성지능. Peter Salovey 교수 초청강연 자료집. 서울대학교 교육연구소, 59-89.
  10. 민응규(2002). 대안학교 재학생들의 학교 만족에 관한 연구: 인가 특성화 고등학교를 중심으로. 국민대학교 행정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1. 박소혜(1995). 국민학교 아동의 가정환경과 학교생활적응 및 만족도의 관계: 가정의 심리적 환경을 중심으로. 건국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2. 박현선(1998). 빈곤청소년의 학교 적응 유연성.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13. 서울시대안교육센터(2006). 서울시대안교육 프로그램 운영 진단 및 활성화 방안연구.
  14. 성미옥(2003). 초등학생의 자아존중감과 학교생활 만족도 향상을 위한 칭찬 프로그램 개발과 그 효과에 관한 연구. 서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5. 안정덕, 이훈식, 송강영(2007). 한국과학영재학교와 민족사관고 학생의 여가활동 실태분석.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7(3),101-108.
  16. 윤종희(2001). 가정복지의 생태학적 접근. 대한가정학회지, 39(8), 93-105.
  17. 윤종희, 김리진, 하수민(2006). 장애아 어머니가 지각하는 가족 기능성에 영향을 미치는 생태체계 변인 탐색.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4(2), 149-163.
  18. 이은영(2005). 중.고등학생의 정서지능과 학업성취도와의 관계, 원광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9. 이은재(2004). 서울시 도시형 대안학교 학생들의 학교생활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숭실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20. 이현주(2002). 실업계 고등학교 학생들의 학교생활만족도 실태에 관한 연구.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21. 최호성(2006). 한국과학영재학교 교육 운영 평가. 서울: 한국과학재단.
  22. 한국청소년개발원(2006). 청소년심리학. 서울: 교육과학사.
  23. Bronfenbrenner, U. & Crouter, A. C. (1983). The evolution of environmental models in developmental research. In P. H. Mussen(Ed.) Handbook of Child Psychology: History, Theory, and Methods(Vol. 1). N.Y.: Wiley. 357-414.
  24. Ciarrochi, J. Forgas, J. P. & Mayer, J. D. (2005). Emotional intelligence in everyday life. 정서지능. 박 재현, 장승민, 권성우(역). 서울: 시그마프레스. (2001년 원저발간)
  25. Madden, J. & Madden, M. (2001). At-Risk Situations and Conflict in Public Schools: Teacher Awareness Profiles. The Journal of At-Risk Issues, A Joint Publication of the National Dropout Prevention Center and Network, 7(3), 453-467.
  26. Olson, D. H. (1986). Circumplex model VII: Validation Studies and FACES III. Family process, 25, 337- 351. https://doi.org/10.1111/j.1545-5300.1986.00337.x
  27. Olson, D. H. Portner, J., & Lavee, Y.(1985).0. St. Paul: Family Social Science, University of Minnesota.
  28. www.cbs.co.kr 노컷뉴스.
  29. www.kice.re.kr 한국교육과정평가원.
  30. www.mest.go.kr 교육과학기술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