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수지 퇴적물로부터 인의 존재형태가 수질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Influence of Water Quality on the Phosphorus Fraction Properties from Reservoir Sediments

  • 이진경 (한국농어촌공사 농어촌연구원) ;
  • 안태웅 (경희대학교 환경응용과학과) ;
  • 오종민 (경희대학교 환경학 및 환경공학과/환경연구센터)
  • Lee, Jin-Kyung (Rural Research Institute, Korea Rural Community Corporation) ;
  • Ahn, Tae-Woong (Department of Environment and Applied Chemistry, Kyung Hee University) ;
  • Oh, Jong-Min (Department of Environmental Science and Engineering/Center for Environmental Studies, Kyung Hee University)
  • 투고 : 2010.07.15
  • 심사 : 2010.09.17
  • 발행 : 2010.09.30

초록

새만금호와 인접한 배후지역에 위치하며 새만금 수질에 직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간척농지 지구 계화조류지를 대상으로 환경변화에 의해 수계로 용출되어 부영양화의 주원인이 되는 인의 존재형태와 수계내 영향인자 사이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계화조류지 퇴적물 내 인의 존재형태 조사 결과, 전체적으로 Saloid-P의 형태가 2.28~7.75 mg/kg(1.4%), Al-P 0.34~5.36 mg/kg (0.5%), Fe-P 31.04~837.25 mg/kg (39.8%), Ca-P 149.91~257.09 mg/kg (56.6%), Red-P 0.29~2.07 mg/kg (0.4%), Occd-P 2.23~8.89 mg/kg (1.3%)를 나타냈다. 퇴적물내 인의 존재형태를 비교하면, 계화조류지는 Ca-P (56.6%)와 Fe-P (39.8%) 의 형태가 97% 이상이며, 계화조류지 퇴적물내 인의 형태중 대부분을 차지하는 Ca-P와 Fe-P의 형태에 영향을 미치는 수계내 인자를 분석한 결과, Fe-P는 총질소(T-N) (r=0.761, p<0.05)와 질산성질소($NO_3$-P) (r=0.754, p<0.05), 암모니아성질소($NH_4$-N)(r=0.728, p<0.05), 총인(T-P) (r=0.774, p<0.05), 용존성 무기인($PO_4$-P) (r=0.767, p<0.05)과 유의성 있는 상관관계를 나타냈으나 Ca-P의 형태는 조사항목 중 수계내 인자와의 유의성을 발견하지 못하였다. 퇴적물내 중금속이 인의 존재형태에 미치는 영향 조사 결과, Ca-P 형태의 인은 특정 중금속과 상관관계를 나타내지 않았으나, Fe-P 형태의 인은 비소(As) (r=0.817, p<0.01), 구리(Cu) (r=0.793, p<0.05), 카드뮴(Cd) (r=0.786, p<0.05), 아연(Zn) (r=0.738, p<0.05)과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다.

The present study was attempted to find the effects of structural properties of phosphorus on the water quality of Gyehwa reservoir in Saemangeum. Relationship of phosphorus fractions between water and sediment properties was closely examined, and a few types of phosphorus were found from the sample sediment as : Saloid-P, Al-P, Fe-P, Ca-P, Red-P and Occd-P. Saloid-P (1.4%), Al-P (0.5%), Fe-P (39.8%), Ca-P (56.6%), Red-P (0.4%), Occd-P (1.3%) were extracted in a mass basis from the sediment of Gyehwa reservoir. Approximately more than 97% of phosphorus were calcium related phosphorus (Ca-P, 56%) and iron bound phosphorus (Fe-P, 39.8%). The Fe-P closely relates with water quality of T-N (r=0.761, p<0.05), $NO_3$-N (r=0.754, p<0.05), $NH_4$-N (r=0.728, p<0.05), T-P (r=0.774, p<0.05) and $PO_4$-P (r=0.767, p<0.05) while the Ca-P did not show any consistent dependency on the water quality. On the other hand, the correlation of Ca-P with $P_2O_5$ was high with r=0.783 (p<0.05) in the sediment. The Fe-P was affected significantly on the Ignition Loss (r=0.569, p<0.05), T-N (r=0.715, p<0.05) and T-P (r=0.983, p<0.01). In the research of correlation between phosphorus fraction and heavy metals in the sediment, Ca-P did not show any specific relationships with heavy metals. The Fe-P showed a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As (r=0.817, p<0.01), Cu (r=0.793, p<0.05), Cd (r=0.786, p<0.05), Zn (r=0.738, p<0.05), so that it can be stated that the presence of Fe-P may implicate the volume of various metallic elements.

키워드

참고문헌

  1. 농림부, 농업기반공사, 간척지 조성 후 토양 특성 변화 및 활용방안 연구, pp. 27-41(2003).
  2. Bold, H. C. and Wynne, M. J., Introduction to algae, 2nd Ed. Prentice-Hall Inc. Englwood Cliffs, New jersey, pp. 1-720(1985).
  3. Hellawell, J. M., Biological indicators of freshwater pollution and environmental management. Elsevier Applied Science Publishers, p. 546(1986).
  4. 임홍탁, 호수의 퇴적물에 함유된 인의 존재형태와 용출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1991).
  5. Bostrom, M. L. and Gerry, L., "Relations between chemistry, mocrobial biommassand activity in sediments of a polluted vs a nonpolluted eutrophic lake," Ver. int. Ver. Limnol., 23, 451-459(1988).
  6. 전상호, "소양호 퇴적물에 함유된 인의 존재형태와 용출 가능성에 대하여," 한국육수학회지, 22(3), 261-271(1989).
  7. Boers, P. M., "The influence of pH on phosphate release from lake sediment," Water Res., 25, 309-311(1991). https://doi.org/10.1016/0043-1354(91)90010-N
  8. 김규광, 인공호수에 대한 영양염류와 엽록소a 농도의 상관성 및 부영양화 검토, 서울대학교 보건학 석사학위논문 (1988).
  9. 김영규, "해저 퇴적물에 함유된 인의 존재 형태에 대한 연구," 한국광물학회지, 16(5), 151-159(2003).
  10. 나유미, "호수 퇴적물 인 용출제어를 위한 현장처리제 개발 및 모델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과학기술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p. 29(2004).
  11. 한국농어촌공사, 화성호 담수화에 관한 연구 보고서(2009).
  12. 화성시, 한국농촌공사, 남양호 수질개선대책 조사보고서(II), (2007).
  13. 심무준, 조성록, 나공태, 신진선, 김은수, "시화호 퇴적물에서 인의 지화학적 특성," 한국해양환경공학회지, 14(3), 16-27(2001).
  14. 심재형, 신윤근, 이원호, "만경동진강 하구 표영 생태계의 무생물 환경과 일차 생산자," 한국해양학회지, 26(2), 155-168(1991).
  15. 양성렬, 송환식, 문창호, 권기영, 양한섭, "낙동강 하구역의 담수 유입에 따른 해양환경 및 일차 생산력 변화," 한국조류학회지, 16(2), 165-177(2001).
  16. 오왕근, 신상혁, 농촌진흥청농사시험연구보고, 7-1, 25-30 (1964).
  17. 이찬원, 권영택, 박동규, 김봉진, "남해연안 퇴적물내 인과 중금속의 존재형태," 대한환경공학회지, 17(7), 661-674(1995).
  18. 정우혁, 김건하, "pH와 산화환원전위에 따른 상등수-퇴적물에서의 인 형태 변화," 대한환경공학회지, 28(5), 472-479 (2006).
  19. Abrams, M. M. and Jarrell W. M., "Soil phosphorus as a potential nonpoint source for elevated stream phosphorus levels," J. Environ. Qual., 24, 132-138(1995).
  20. Abril, G., Riou, S. A., Etcheber, H., Frankignoulle, M., de Wit R. and Middelburg, J. J., "Transients, Tidal Time-scale, Nitrogen Transformations in an Estuarine Turbidity Maximum-Fluid Mud System," Estuarine, Coastal Shelf Science, 50, 703-715(2000). https://doi.org/10.1006/ecss.1999.0598
  21. Allen, H. E., Fu, G. and Deng B., "Analysis of acid-volatile sulfide and simultaneously extracted metal for the estimation of potential toxicity in aquatic sediments," Environ. Toxicol., 12, 1-13(1993). https://doi.org/10.1002/etc.5620120101
  22. Bold, H. C. and Wynne, M. J., Introduction to algae. 2nd Ed. Prentice-Hall Inc. Englwood Cliffs, New jersey, pp. 1-720(198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