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asonal Variation of Picoplankton Community in Lake Juam

주암호에서 미세조류의 계절적 군집 변화

  • Cheong, Cheong-Jo (Department of Environmental Engineering, Sunchon National University)
  • 정정조 (순천대학교 환경공학과)
  • Received : 2010.01.20
  • Accepted : 2010.03.17
  • Published : 2010.03.31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seasonal variation of picoplankton community in Lake Juam depending on the change of physico-chemical factors such as rainfall, water depth, DO and pH. The concentration of chlorophyll-a was most high as 18.03 mg/$m^3$ in July when the rainfall and water temperature were highest. The concentration was gradually decreased in October, April and that of January was decreased most low as 1.86 mg/$m^3$. The highest concentration of the Chl-a was shown at 2 and 5 m of water depth than surface, and the concentration was gradually decreased when the water depth becomes deep. Overall, microplankton was the highest rate as 33.9~54.2%, nanoplankton was 24.3~30.5% and picoplankton was 21.6~41.2%. Picoplankton was included as considerable concentration in the water of Juam lake.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remove thoroughly the picoplankton in the water treatment processes such coagulation·sedimentation and sand filtration. The protoplasm released from destruction of picoplankton by chlorine has high possibility to cause regrowth of bacteria and pathogenic microorganism in the distribution system by playing the role of the assimilable organic carbon.

본 연구에서는 다목적댐인 주암호에서 물리화학적 인자의 변화에 따른 미세조류의 계절적 변동특성을 파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여, 4회에 걸쳐 주암호 3개 지점에서 기초환경 변화와 Micro-, Nano-, Picoplankton의 계절적 군집변화 양상을 조사하였다. 강수량이 많고 수온이 가장 높았던 7월에 평균 Chl-a의 농도가 18.03 mg/$m^3$으로 가장 높은 결과를 나타내었으며, 그 다음이 10월, 4월 그리고 1월이 가장 낮은 1.86 mg/$m^3$으로 조사되었다. 모든 계절에서 표층 보다는 수심 2 m와 5 m의 수층에서 가장 높은 Chl-a의 농도를 나타내었으며, 그 이상의 수심에서는 Chl-a의 농도가 점차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전체적으로 20~200 ${\mu}m$의 Microplankton이 33.9~54.2%로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었으며, 2~20 ${\mu}m$의 Nanoplankton이 24.3~30.5%를 점유하고 있었으며, 나머지 2 ${\mu}m$ 미만의 Picoplankton이 21.6~41.2%의 비율을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따라서 주암호에서 취수된 원수의 경우는 picoplankton과 같은 미세플랑크톤이 상당비율로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응집?침전 및 사여과 공정 등의 같은 정수처리 공정에서 제거되지 못한다면 후속공정인 염소소독에 의해 미세플랑크톤의 세포내의 물질이 생물학적으로 분해 가능한 유기물(AOC; Assimilable organic carbon)로 전환되어 후속 공정인 급수 배수관망에서 세균 및 병원미생물의 재증식(Regrowth)을 유발시킬 가능성이 있을 것을 판단해 볼 수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박혜경, "수자원 관리를 위한 조류 분석법", 대한환경공학회지, 29(6), 593-609(2007).
  2. 임재림, 김성수, 이경혁, 이성열, 전화조, 정선영, "한강수계에서 조류발생과 맛.냄새발생과의 상관관계", 대한환경공학회지, 춘계학술 연구발표회, pp. 248-251(2006).
  3. 류재근, 박혜경, "Cyanobacteria가 생산하는 Microcystin의 제거 특성 및 그 제거기술 현황", 첨단환경기술, 5(12), 40-50(1997).
  4. 박세진, 차일권, 윤태일, "정수처리공정에서 조류유래 유기물질의 제거", 대한환경공학회지, 27(1), 377-384(2005).
  5. 임영성, 송원섭, 조수식, 이홍재, 허종수, "정수처리과정중 응집 및 여과에 미치는 조류의 영향", 한국환경농학회지, 19(1), 13-19(2000).
  6. 안규홍, 임병란, 전대영, 유현선, 박유정, "정수장 침전지 배수로의 부착조류 제어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물환경학회.대한상하수도학회, 공동 춘계 학술 발표회 논문집, pp. 583-589(2006).
  7. 이지형, 김미화, 김동윤, "배.급수관망에서 HPC와 Coliform을 중심으로 한 미생물 재성장 고찰", 대한환경공학회지, 23(2), 261-267(2001).
  8. 최규철, 권오익, 김동욱, 김용환, 박광하, 이우식, 이징연, 전세진, 정수경, 수질오염공정시험방법주해, 동화기술(2004).
  9. 정정조, "응집.침전공정에서 무기고분자응집제를 이용한 미세조류의 제거", 대한환경공학회지, 30(1), 85-89 (20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