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도시관리계획에 의한 대규모 도시지역 확장의 실태와 시사점

Issues on a Large-scale Enlargement of Urban Area and their Implications for a Management Plan

  • 윤정중 (한국토지주택공사 토지주택연구원) ;
  • 김륜희 (한국토지주택공사 토지주택연구원) ;
  • 최상희 (한국토지주택공사 토지주택연구원)
  • 투고 : 2010.08.31
  • 심사 : 2010.10.13
  • 발행 : 2010.10.30

초록

이 글의 목적은 도시관리계획 변경을 통한 대규모 도시지역 확장의 현황과 문제점을 살펴보고 향후 계획수립 시 고려할 시사점을 제시하는 것이다. 이 글에서는 양주시, 김포시, 화성시 등 3개 시를 사례로 분석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도시 지역의 적절한 규모를 선정하기 위해서는 도시기본계획 수립단계에서부터 합리적인 인구계획과 공간구조 및 토지이용계획이 수립되어야 한다. 또한, 개발욕구에 따른 무리한 확산 및 비계획적 개발을 방지하기 위해 도시관리계획 수립 시 도시성장관리방안이 함께 검토되어야 한다. 둘째, 경계설정에 대한 불필요한 논란을 줄이기 위해서는 계획 입안 시 또는 계획결정과정에서 일반적으로 거론되고 있는 경계설정과 용도지역관리 등의 기준들을 관련지침에 명시하여 제시할 필요가 있다. 셋째, 도시지역으로 새로 편입되는 지역의 난개발 방지대책의 수립은 도시의 건전한 발전과 관리를 위해서 매우 중요하게 다루어져야 한다. 또한 비도시지역의 경우 시가화예정용지 또는 제2종지구단위계획 물량을 활용하여 기존공장 및 신규입지를 집단화하도록 유도할 필요가 있다.

The purpose of the paper is to research issues and implications on a large-scale enlargement of urban area in city management plan. This study investigated laws and regulations in force and carried out case study for three cities such as Yangju-si, Gimpo-si, Whaseong-si. As a result of analysis, three points at issue were abstracted and improvement ideas for each of them were suggested as follows. First, to set up adequate size of urban area, it is necessary to consider resonable planning for population, spatial structure, zone of life and land use in city comprehensive plan and city management plan. Second, to decrease arguments about scope and bounds of urban area, it is important to make general and specific guidelines to set up them. Third, to manage new urban area and its surroundings efficiently, it is necessary to subdivide zoning of non-urban area strictly, to restraint individual location of factories or cattle sheds, to make a proper infrastructure plan in advance, to administer strongly the permission of development behavior and to control strictly consecutive and joining development in non-urban area.

키워드

참고문헌

  1. 국토개발연구원(1981), 도시지역획정기준에 관한 연구.
  2. 국토해양부 ․ 한국토지공사(2008), 2007도시계획현황.
  3. 국토해양부(각년도), 도시정책과 심의자료.
  4. 김광익(2006), 도시화지역 획정을 위한 시스템 개발, 통계청.
  5. 김윤수(2003) "도시분석을 통한 원격탐사자료 활용방안 연구: 대전광역시 도시 확장분석을 중심으로". 계명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6. 김포시(2008), 김포시 도시계획조례.
  7. 남영우(2007), 도시공간구조론, 법문사.
  8. 사공호상 ․ 황승미(2002), 원격탐사와 GIS 연계활용방안 연구: IKONOS 영상을 이용한 도시지역 분석을 중심으로, 국토연구원.
  9. 양주시(2009), 양주시 도시계획조례
  10. 이수현 ․ 정재준(2007) "NDVI와 NDBI를 이용한 도시지역 추출에 관한 연구". 한국공간정보시스템학회 07 GIS 공동춘계학술 대회 논문집. 한국공간정보시스템학회. pp.156-161.
  11. 전경구(2002), 현대도시구조론, 대구대학교 출판부.
  12. 화성시(2009) 화성시 도시계획조례.
  13. 국토해양통계누리(http://stat.mltm.go.kr). 국토해양부. 2007. 7.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