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the Problems of Current Reservation Process and Suggestions for Improvements

콘도미니엄의 예약문제점 및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 Bahn, Jong-Sam (College of Business & Government, Yonsei University) ;
  • Lee, Joo-Heon (College of Business & Government, Yonsei University)
  • 반종삼 (연세대학교 정경대학원) ;
  • 이주헌 (연세대학교 정경대학 경영학부)
  • Received : 2010.02.17
  • Accepted : 2010.02.26
  • Published : 2010.03.30

Abstract

Korea has risen to one of the most newly industrialized countries boasting its consecutive successful economic growth. The economic growth brought the Korean people more money and free time. Koreans all want to spend more time on leisure activities and travels. In this "mass Tour Age", because of its diverse functions and excellent facilities, resort condominium has been got much more attention. Instead of analyzing whole condominium operations, we put more emphasis on the room reservation system for the efficiency of oper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problems of current condominium operations and to suggest innovative new solutions. To accomplish the purpose, we analyzed the current room reservation system of condominiums in Korea. After reviewing the current reservation system, we provide a couple of suggestions. In order to improve reservation process, future demands should be forecasted as accurately as possible, or be based on everything from sophisticated technological system. I wish this study can help innovate the current reservation problems of the resort condominium industry for continuous improvements of the industry.

급격한 소득증가로 인해 우리의 삶이 점점 풍요해지고 주5일 근무제로 인해 여가시간이 증가하면서 우리나라 국민의 문화와 관광 및 레저에 대한 욕구가 높아지게 되었다. 오늘날 우리나라 관광레저산업은 두텁게 형성된 중산층을 기반으로 점차 전문화, 대형화, 복합화 된 산업으로 발전해 나가고 있다. 오늘날 콘도미니엄은 현대 휴양관광레저문화의 총체적 기능을 겸비한 일처다관, 일처다락의 숙박레저시설로 주목받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콘도 미니엄이 예약기능을 제대로 수행하지 못하고 있는 원인은 무엇이고 혁신적 개선방안은 어떤 것이 있는가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H사 사례를 통해 살펴본 바에 따르면 예약문제점 발생의 가장 중요한 원인은 수요의 집중성과 공급의 지역편중성이라고 할 수 있다. 이를 적극적으로 해결하기 위해서는 지역별 수급전망을 통해 객실의 수를 적절히 조절하고 숙박의 연중분산을 유도하기 위한 다양한 관리정책이 필요하다. 효율적 예약업무를 위한 구체적 방안을 살펴보면 공급수준을 훨씬 상회하는 성수기에 정확한 수요예측이 필요하고 효율적인 예약관리를 실행함으로써 고객의 불만을 최소화하는 운영이 필요하다. 예약 취소율, No-show율 등과 같은 과거 고객 데이터를 바탕으로 실제 객실수요를 정확히 예측하고 이를 바탕으로 초과예약과 대기예약의 활용성을 높여 예약업무의 혁신을 이끌어내는 정책이 적극적으로 추진되어야 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