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전부문의 불완전경쟁과 생산성 변화

Imperfect Competition and Productivity: Korean Fossil-fueled Power Generation Sector

  • 권오상 (서울대학교 농경제사회학부, 지역개발.조경연구소) ;
  • 박호정 (고려대학교 식품자원경제학과)
  • 투고 : 2009.12.09
  • 심사 : 2010.03.08
  • 발행 : 2010.03.31

초록

발전부문의 부분적인 민영화 이후 전력의 도매가격은 한계가격(system marginal price)으로 결정되고, 이 가격은 발전사의 발전량에 의해서 달라지기 때문에 발전사 입장에서는 완전히 외생적으로 결정되는 가격이라 보기 어렵다. 본고는 Harrison(1994), Levinsohn(1993) 등이 개발한 시장의 완전경쟁성이 유지되지 않을 때에도 기업의 생산성 변화와 규모수익성, 마크업률 등을 분석할 수 있는 모형을 한국의 화력발전소 자료에 적용하였다. 분석결과 규모수익은 거의 없으며, 마크업률은 발전소의 사용 에너지 유형에 따라 크게 다른 것으로 나타났다. 아울러 완전경쟁시장을 가정하는 통상적인 분석법에 비해 발전소의 생산성 변화율 계측치도 상당한 정도 차이를 보였다.

By the significant structural change in 1999, a partial privatization has occurred in Korean fossil-fuel power generation sector. Under the current price scheme wholesale electricity price is dependent on output size, and hence, may not satisfy the assumption of price-taking producers. The purpose of our study is constructing the productivity change measurements of Korean power generation sector taking into account possibly imperfect competition and variable returns to scale. Our approach based on Harrison (1994) and Levinsohn (1993) derives the plant-level productivity measurements of the period between 2001 and 2007, as well as the measurements of mark-ups and returns to scale. It is shown that the mark-up size is dependent on the plants' fuel type and is decreasing over time. Allowing for imperfect competition and variable returns to scale adjusts the productivity measurements substantially.

키워드

과제정보

연구 과제 주관 기관 : 한국학술진흥재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