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composition Analysis of Carbon Emission in Korea Electricity Industry : Utilizing the Logarithmic Mean Divisia Index Method to the Demand and the Supply Side

국내 전력산업의 탄소배출 변화요인 분석 : 로그평균디비지아지수를 이용한 수요와 공급 측면 분석

  • 김규남 (서울대학교 기술경영경제정책대학원) ;
  • 김강석 (해군사관학교 교수부 공학처) ;
  • 김연배 (서울대학교 기술경영경제정책대학원)
  • Received : 2010.01.16
  • Accepted : 2010.05.25
  • Published : 2010.06.30

Abstract

In this paper, we analyze the components and trends of carbon emissions using the Logarithmic Mean Divisia Index decomposition method in Korean electricity industry during the period 1991~2007. In the demand side, carbon emissions are affected by electricity intensity and structural shift and especially electricity intensity is identified as the major factor which has lead carbon emissions decreasing. In the supply side, the result in variations of carbon emission for electric power generation depends on the influences of fossil fuel mix, fuel intensity, generation mix and so on. As a result fuel intensity is the most negative effect on both carbon emission intensity and the amount of carbon emission while the change of generation mix has a positive effect on increasing carbon emissions. And to conclude it needs to make the strategic policies to improve electricity intensity in the demand and to rise emission efficiency as well as to substitute thermal power generation in supply side.

본 연구는 1991년~2007년간 우리나라 전력산업의 탄소배출에 미치는 요인들과 영향의 정도를 전력 수요측면과 공급측면으로 나누어 요인분해분석을 수행하였다. 전력수요측면에서는 전력사용의 효율성 향상이 배출 감소에 주된 영향을 미치는 반면, 전력을 소비하는 산업의 구조 변화는 오히려 배출을 증가시키는데 기여했음을 확인하였다. 공급측면에서는 탄소배출에 미치는 주요 요인으로 연료혼합, 화력발전효율, 발전구조의 변화 등이 있었으며 분석 결과 전력수요의 증가와 화력발전의 구조 변화가 탄소배출을 증가시키는 주요한 요인으로 작용한 반면 연료효율성은 향상되어 배출을 감소시키는 역할을 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로써 전력산업의 온실가스 감축을 위해 수요차원에서는 전력사용의 효율성을 향상시키고 공급차원에서는 화력발전을 대체하면서 발전 및 배출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정책이 마련되어야 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Keywords

Acknowledgement

Grant : 에너지전환부문의 신성장동력화를 위한 정책 방안 연구: 전력산업을 중심으로

Supported by : 녹색성장위원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