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the Combustion Characteristics of Phenol Foam

페놀 폼의 연소특성에 관한 연구

  • Published : 2010.02.28

Abstract

The combustion characteristics of phenol foam were analysed using variable external irradiation level (20, 25, 35, 50, and $70kW/m^2$) and in the mixture gas of oxygen/nitrogen. The oxygen index were carried out from the oxygen index tester (KS M ISO 4589-2) and ignition time, critical heat flux, and mass loss rate were carried out from the mass loss calorimeter (ISO 5660-1). As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critical heat flux and average mass loss rate were $28.99kW/m^2$ and $0.56{\sim}1.77g/m^2s$ respectively at the variable external irradiation level. And the limited oxygen index were 45.1% in mixture gas of oxygen/nitrogen. In conclusion, we knew that phenol foam had the best performance than other foam materials in fire safety from all data of this study.

외부복사 열원(20, 25, 35, 50, $70kW/m^2$)과 산소/질소의 혼합가스의 농도 변화에 따른 페놀폼의 연소 특성을 분석하였다. 산소지수는 KS M ISO 4589-2를 만족하는 산소지수시험기를 사용하였으며, 점화시간, 임계열속, 그리고 질량감소속도는 ISO 5660-1를 만족하는 mass loss calorimeter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연구결과, 외부 복사열원에서 임계열유속은 $28.99kW/m^2$, 평균질량감소속도는 $0.56{\sim}1.77g/m^2s$로 측정되었으며, 한계산소지수는 45.1%를 나타내었다. 모든 연구결과를 종합한 결과 페놀 폼이 다른 발포 물질에 비해 아주 우수한 화재안정성을 나타낸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Keywords

References

  1. 김동권, 이수복, "단열재용 페놀폼의 물성과 열적특성", 공업화학회 논문지, Vol.17, No.4, pp.357-360 (2006).
  2. 김동권 외, "페놀수지 발포체의 제조방법", pp.1-10, 대한민국특허청, 등록특허 10-06 13887(2006).
  3. 박형주, "퍼즐매트의 연소속도에 관한 연구", 한국안전학회지, Vol.23, No.6, pp.84-90(2008).
  4. 박형주, 조명호, "EPS 샌드위치 패널 심재의 열방출율에 관한 연구", 한국화재소방학회 논문지, Vol.22, No.5, pp.72-78(2008).
  5. ISO 5660-1, "Reaction to Fire Tests - Heat Release, Smoke Production and Mass Loss Rate - Part 1: Heat Release Rate (Cone Calorimeter Method)", International Standard, pp.15-16(2002).
  6. 박형주, "복사열을 이용한 샌드위치 패널 심재의 연소특성 분석", 한국화재소방학회 논문지, Vol.21, No.4, pp.25-31(2007).
  7. KS M ISO 4589-2: 산소지수에 의한 연소 거동의 측정, 제2부: 상온시험법(2002).
  8. 오규형, 이성은, 김황진, "실내 내장 벽지의 고온산소 지수에 관한 연구", 한국화재소방학회 논문지, Vol.22, No.2, pp.57-62(20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