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등수학교육 연구동향 - 최근 5년간 게재된 국내 학술지 논문을 중심으로 -

Research Trends in Elementary Mathematics Education: Focused on the Papers Published in Domestic Journals During the Recent 5 Years

  • Ha, Su-Hyun (Graduate School of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
  • Pang, Jeong-Suk (Dept. of Elementary Education,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
  • Ju, Mi-Kyung (Dept. of Mathematics Education, Hanyang University)
  • 발행 : 2010.02.28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research trends of elementary mathematics education with regard to the topics, methods, subjects, and mathematical contents of such research. For this purpose, the papers published in domestic journals during the recent 5 years (2004-2009) were analyzed. A total of 383 papers from 8 professional journals were analyzed with the 4 criteria. First, the frequent research topics included instructional design and methods, learners' perspectives and abilities, and analysis of curriculum and textbooks in order. Second, qualitative research methodology was used twice as many as quantitative one. Whereas a survey was the most frequent quantitative research method, content analysis and case study were for qualitative methods. Third, research subjects included mainly typical students, specifically fifth and sixth graders. Papers dealing with lower graders or low-achievers as well as pre-service teachers were rare. Lastly, whereas the research on geometry as well as number and operations was active, that of measurement as well as probability and statistics was not. On the basis of these results, this paper includes several implications for the future research direction in elementary mathematics education.

키워드

참고문헌

  1. 교육과학기술부 (2008). 초등학교 교육과정 해설 (IV): 수학, 과학, 실과. 서울: 대한교과서 주식회사.
  2. 권오남.주미경 (2003). 대한 수학교육 연구의 동향과 과제. 한국수학교육학회지 시리즈 A <수학교육>, 42(2), pp.229-245.
  3. 권정은.최재호 (2008). 우리나라 초등수학교육 연구의 동향 분석: 국내 학술지를 중심으로.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12(2), pp.149-163.
  4. 김석우.최태진 (2007). 교육연구방법론. 서울: 학지사.
  5. 김영미.박영희 (2006). 초등학교 5학년 학생의 통계적 변이성 개념의 이해와 그 지도에 관한 연구. 수학교육학연구 16(3), pp.221-249.
  6. 박경미 (2003). 중등 수학교육 연구의 경향 분석: <수학교육>과 에 수록된 논문 비교을 중심으로. 한국수학교육학회지 시리즈 A <수학교육> 42(2), pp.219-228.
  7. 박만구.안희진.남미선 (2005). 초등학교 초임교사들이 수학수업에서 겪는 어려움.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8(2), pp.291-314.
  8. 방정숙.김수정 (2007). 십진블록을 활용한 소수의 나눗셈 지도에서 초등학교 5학년 학생들의 개념적 이해과정 분석. 수학교육학연구 17(3), pp.233-251.
  9. 신은주 (2006). 등가속도 운동에서 미적분의 기본 아이디어 학습 과정에 관한 사례연구. 수학교육학연구 16(1), pp.59-78.
  10. 우정호.남진영 (2008). 수학적 지식의 구성에 관한 연구. 수학교육학연구 18(1), pp.1-24.
  11. 우정호.정영옥.박경미.이경화.김남희.나귀수.임재훈 (2006). 수학교육학 연구방법론. 서울: 경문사.
  12. 이강섭 (2003). <수학교육>에 게재된 논문의 분류와 분석: 통권 1호부터 통권 99호까지. 한국수학교육학회지 시리즈 A <수학교육> 42(2), pp.247-258.
  13. 이영주 (1996). 유아수학교육 논문의 경향분석.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4. 이중권 (2003). 수학교육에서 질적 (Qualitative) 연구 방법. 한국수학교육학회지 시리즈 A <수학교육> 42(2), pp.111-119.
  15. 이중석 (1994). 국내교과교육연구 실태조사연구. 한국교원대학교 교과교육공동연구소, pp.415-423.
  16. 최병훈.방정숙.송근영.황현미.구미진.이성미 (2006). 한국과 싱가포르의 초등 수학 교과서 비교 분석. 학교수학 8(1), pp.45-68.
  17. 최창우 (2009). 대구교육대학교와 뉴질랜드 오클랜드교육대학의 수학과 교육과정 및 강의평가에 대한 소고. 한국수학교육학회지 시리즈 C <초등수학교육> 12(1), pp.21-30.
  18. 최택영.송병근 (2001). 1990년대 우리나라 수학교육연구 동향. 한국수학교육학회지 시리즈 A <수학교육> 40(1), pp.77-92.
  19. 황현미.방정숙 (2007). 초등학교 6학년 학생들의 그래프 이해 능력 실태조사, 학교수학 9(1), pp.45-64.
  20. Baroody, A. J., & Coslick, R. T. (1998). Fostering children's mathematical power: An investigative approach to K-8 mathematics instruction, Mahwah, NJ: Lawrence Erlbaum Associates. 권성룡 외 11인 공역 (2005). 수학의 힘을 길러주자. 왜? 어떻게? 서울: 경문사.
  21. Creswell, J. W. (2003). Research Design: Qulalitative, quantitative, and mixed methods approaches. 강윤수외 8인 공역(2005). 연구설계: 정성연구, 정량연구 및 혼합연구에 대한 실제적인 접근. 서울: 교우사.
  22. Merriam, S. B. (1998). Qualitative research and casestudy application in education. 강윤수 외 8인공역 (2007). 정성연구방법론과 사례연구. 서울: 교우사.
  23. National Council of Teachers of Mathematics (2000). Principles and standards for school mathematics. Reston, VA: The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