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교수학 교수.학습에서 기술공학의 활용 연구

A Study on the Use of Technology in Teaching-learning School Mathematics

  • 발행 : 2010.02.15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학교수학 교수 학습에서 성공적인 기술공학의 활용을 위하여 기술공학 활용의 현황을 분석하고 효과적인 활용 방안을 제시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기술공학 활용의 필요성에 대한 이론적 배경과 활용 가능한 기술공학적 도구들을 소개하고, 고등학교 수학교과서를 중심으로 기술공학 활용의 현황과 문제점을 분석하여 그 해결 방안을 제시한다. 또한 학교수학 교수 학습에서 기술공학의 활용 방안을 수학의 영역별로 살펴보고, 기술공학을 활용한 모델들을 소개한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discuss about the use of technology in teaching-learning school mathematics. In this paper, we study the theoretical background of teaching-learning school mathematics by the use of technology. For the purpose of successful use of technology in teaching-learning school mathematics, we research the present states of it appeared in textbooks of high school mathematics And we give suggestions for the effective use of technology in teaching-learning school mathematics. Furthermore, we introduce models for teaching-learning school mathematics in areas of mathematics by the use of computer programs such as GSP, Maple, and GrafEq.

키워드

참고문헌

  1. 교육부 (1992). 제 6차 수학과 교육과정, 서울: 대한교과서주식회사.
  2. 교육부 (1997). 제 7차 수학과 교육과정, 서울: 대한교과서주식회사.
  3. 김차숙 (2003). 중학교 1학년 학생들의 일차방정식에 대한 오류 분석과 교정에 관한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 나귀수 (1998). 증명의 본질과 지도 실제의 분석: 중학교 기하 단원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5. 류희찬 (1997). 수학교육에서의 컴퓨터 활용: 현황과 과제, 청람수학교육, 6, 충북: 한국교원대학교 수학교육연구소.
  6. 류희찬 (2005). CAS를 활용한 대수교육의 의미와 방법. 청람수학교육, 18, 충북: 한국교원대학교 수학교육연구소.
  7. 류희찬. 조완영. 이경화. 나귀수. 김남균. 방정숙 공역 (2007). 학교수학을 위한 원리와 규준. 서울: 경문사.
  8. 우정호 (1998). 학교수학의 교육적 기초. 서울: 서울대학교 출판부.
  9. 이미경. 곽영순. 민경석. 채선희. 최성연. 최미숙. 나귀수 (2004). PISA 2003 결과 분석 연구 - 수학적 소양, 읽기 소양, 과학적 소양 수준 및 배경 변인 분석, 한국교육과정평가원.
  10. 이미경. 손원숙. 노언경 (2007). PISA 2006 결과 분석 연구 - 과학적 소양, 읽기 소양, 수학적 소양 수준 및 배경 변인 분석. 한국교육과정평가원.
  11. 이상구. 양정모. Wellman, R. (2001). 7차 교육과정의 수학에서의 공학적 도구의 이용에 관하여, 한국수학교육학회지 시리즈 E <수학교육 논문집>, 11(1), pp.355-365.
  12. 이정례. 김혜영. 강랑휘. 김진우. 박종일. 박현빈 (2006). 함수를 이용한 수학의 유용성 연구, 대진대학교 교육대학원 논총 9, pp.1-16.
  13. 이정레. 김혜영. 박혜송. 이희중. 최정환. 홍선우 (2007). 함수적 접근을 통한 곡선의 수학적 탐구, 대진논총 14, pp.39-58.
  14. 이종영 (1999). 컴퓨터 기반 수학 학습-지도 환경에 대한 교수학적 분석,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15. 조한혁. (2001). 인터넷 기반 마이크로월드 자바수학의 설계, 한국수학교육학회지 시리즈 E <수학교육 논문집>, 11(1), pp.339-353.
  16. Bruner, J. S. (1960). The Process of education, NY: Vintage.
  17. Klein, M. (1973). why Johny can't add: the failure of the new math. st. Martin press.
  18. NCTM (1989). The Curriculum and evaluation standards for school mathematics. Reston, VA: Author.
  19. NCTM (2000). Principles and standards for school mathematics. Reston, VA: NCTM.
  20. Pomerantz, H. (1997). The role of calculators in math education. The Urban Systematic Intiative/Comprehensive Partnership for Mathemtics and Science Achievenment Superintendents Forum. Unpublished manuscript.
  21. Tall, D. (1991). Interrelationships between mind and computer: Processes. In L. F. David (Ed.), Advanced educational technologies for mathematics and Science, Springer-Verlag.
  22. Yoshinhiko H. (1997). The Methods of fostering creativity through mathematical problem solving. Zentralblatt fur Didaktik der Mathematik, 29(3), pp.86-87. https://doi.org/10.1007/s11858-997-0005-8
  23. Zimmermann, W., & Cunningham, S. (1990). Visualization in teaching and learning mathematics, MA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