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건설 안전관리를 위한 실시간 위치추적(RTLS)기술 개발

Development of Real-Time Locating System for Construction Safety Management

  • 발행 : 2010.03.31

초록

최근 건설 산업의 규모가 대규모, 초고층화 됨에 따라 공기단축, 원가절감, 품질항상 등의 각종 관리 분야에 대한 더욱 능률적인 관리 방법이 요구되고 있다. 이러한 요구사항과 맞물려 현재 건설 산업에서는 이를 지원하기 위한 방법의 일환으로 IT산업과의 연계를 통한 해결책이 점차 설득력을 얻어하고 있다. 최근 Bar Code, Personal Digital Assistant(PDA), Global Positioning System(GPS),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RFID) 등의 다양한 IT기술들이 그 해결방안으로 개발되고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다양한 IT기술 중, 최근 여러 분야에 대한 적용 가능성을 인정받은 실시간 위치추적 기술(RTLS)에 대해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건설 현장에 적용 가능한 위치추적 기술을 개발하며, 검증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 개발하고자 하는 위치추적 기술은 작업자 및 기인물의 실시간 관리를 통하여 재해를 예방하기 위한 것으로 추후 안전관리 분야에 효과적인 적용 가능성을 예상하며, 이 외에도 건설 현장에 적합한 위치추적 기술이 개발된다면 건설 자재 실시간 모니터링 분야, 건설 자동화 분야, 건설 품질 분야, 유지 관리 분야 등에 있어서도 효과적인 적용이 가능할 것으로 예상된다.

Recently, as the size of construction projects are getting bigger and higher, more effective managing methods are required in management areas such as duration reduction, cost reduction and quality management. In the current construction industry, conjunction with IT(Information Technology) is being noticed as a solution to support these needs. Various IT solutions such as Bar Code, Personal digital assistant(PDA), global positioning system(GPS),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RFID) are being developed. In this research, among the various IT solutions, the Real Time Locating System(RTLS) which is acknowledged as a technology with high applicational potential is analyzed. Based on this analysis, a locating system to apply in construction sites is developed and validated. The locating system is developed to prevent construction disasters through real-time management of workers and equipment, which enables effective application in the area of construction safety management. Moreover, applications of the locating system in many different areas like construction material realtime monitoring, construction automation, construction quality management, maintenance management are expected.

키워드

참고문헌

  1. 구도형 외 4인, "RFID 기술적용 가능성 평가를 위한 각 공종별 주요자재 특성분석"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v. 9. n. 2, 2008, pp. 159-169
  2. 백기현, "위치추적 시스템이란 무엇인가?", 대우건설기술 제 24호, 2002, pp. 132-140
  3. 유재민 외3인, "RFID 시스템을 이용한 건설 자동화 방안 도출을 위한 기초 연구", 한국건설관리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2008, pp. 731-734
  4. 유지연 외 5인, "RFID/USN 연동 시스템의 건설 산업 적용을 위한 성능 실험에 관한 연구", 한국건설관리학회 정기학술발표대회 논문집, 2007, pp. 880-885
  5. 이남수 외 5인, "RFID와 무선네트워크 기술을 이용한 자재위치 파악 방안", 한국건설관리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2006, pp. 523-528
  6. 이재현 외 3인, "RFID/USN 기술을 이용한 건설재해 저감방안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v. 26 n. 1, 2006, pp. 605-608
  7. 이종국 외 3인, "건설현잔 RTLS 활용을 위한 전파의 벽체 투과 손실에 관한 실험적 연구", 한국건축시공학회, v. 9, n. 1, 2009, pp. 95-101
  8. 이종훈 외 4인, "실시간 실내외 측위 기술 개발 동향 분석", 텔레콤, v. 22, n. 2, 2006, pp. 85-95
  9. 이현수 외 3인, "위치추적기술을 이용한 BIM기반 건설현장 안전관리 시스템", v. 10 n. 6, 2009, pp.135-145
  10. 조영수 외 5인, "실내외 연속측위 기술 동향", 전자통신분석, v.22, n.3, 2007, pp. 20-28
  11. 조현욱, 박종현, 이찬식, "RFID기술에 대한 인식도 및 문제점 분석", 전국 대학생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2008, pp. 19-22
  12. 주현태 외 3인, "건설현장에서의 RFID기술의 적용성에 관한 연구", 한국건축시공학회 학술기술논문발표회논문집, v.7 n.1, 2007, pp. 97-100
  13. 주현태 외 3인, "RFID/USN의 적용을 통한 건축물 관리 방안", 한국건설관리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2007, pp. 331-336
  14. 최철호, "건설분야에서의 RFID 시스템 활용사례 및 발전방향", 한국건설관리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제 5회, 2004, pp.145-149
  15. Heinrich. Industrial Accident Prevention. McGRAW-HILL BOOK COMPANY, 1950
  16. Bai Y. et al, "DESIGN OF LOGISTIC WAREHOUSE INFORMATION SYSTEM BASED ON RFID TECHNIQUES", The Eighth International Conference of Chinese Logistics and Transportation Professionals, 2008, pp. 2098-2102
  17. Shin S. et al, "REALTIME 4D CAD+RFID FOR PROJECT PROGRESS MANAGEMENT", Construction Research Congress, 2005, pp. 1-10
  18. Song J. et al, "LOCAI1NG MATERIALS ON CONSTRUCTION SITE USING PROXIMITY TECHNIQUES", Construction Research Congress, 2005, pp. 1-10
  19. http://ko.wikipedia.org/

피인용 문헌

  1. Construction Safety Management Framework based on Smart Mobile vol.2, pp.3, 2012, https://doi.org/10.6106/JCEPM.2012.2.3.048
  2. Real Time Safety Management Framework at Construction Site based on Smart Mobile vol.14, pp.4, 2013, https://doi.org/10.6106/KJCEM.2013.14.4.003
  3. Method to Acquire Safety of Work Spaces by Ensuring Proper Ratio of Visibility of Unsafe Factors in Building Construction Sites vol.13, pp.6, 2013, https://doi.org/10.5345/JKIBC.2013.13.6.5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