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건설관리에서의 PROMETHEE기반 공정 리스크 분석

Analysis of the Schedule Risk using PROMETHEE in Building Construction Management

  • 이장영 (경원대학교 건축공학과 대학원) ;
  • 윤유상 (서울대학교 린건설연구단 연구실) ;
  • 장명훈 (제주대학교 건축학부) ;
  • 서상욱 (경원대학교 건축공학과)
  • 발행 : 2010.03.31

초록

최근 건설 프로젝트는 규모의 대형화, 공정의 복잡함 등에 의한 리스크 인자의 발생이 증가하고 있다. 이로 인해 건설관리에서 리스크 관리의 중요성은 더욱 부각되고 있는 현실이다. 리스크 관리는 확인, 분석, 대응의 과정을 통해서 이루어지며, 분석과정에서 위험인자들의 중요도 및 우선순위를 객관적이고 정확하게 분석해내는 것이 리스크 관리의 성공여부를 좌우한다. 본 연구는 기존연구에서 건설 프로젝트의 공정 리스크 중요도 및 우선순위를 산출하는데 사용된 AHP 기법의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PROMETHEE를 활용한 정량적 분석 프로세스를 제시하였다. PROMETHEE를 사용함으로써 AHP 기법에서 분석대상 인자가 9개를 초과 할 때의 신뢰성 저하와 인자의 추가 또는 삭제 시 발생하는 복잡한 산출절차의 문제점을 보완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The building construction projects include a variety of risk factors due to uncertainties. To succeed in the projects, it is important how risks are managed. Risk management is composed of identification, analysis and response. Especially, the risk analysis is important to objectively calculate significance of risk factors. This paper evaluates a method to find priorities of risks using the AHP(Analytic Hierarchy Process). The method has some defects; (1) the consistency becomes weak as the number of pair-wise compared risks is large, and (2) the input and output procedures are complex when risks are added to or removed from a risk database. Thus the paper adopts the PROMETHEE(Preference Ranking Organization METHod Enrichment Evaluations) analysis process which is able to overcome the limitation of the AHP restricted to 9 risk factors. The PROMETHEE makes the procedure of risk analysis simple, when the risk factors pull out and put in the risk databa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process of risk analysis to use the PROMETHEE.

키워드

참고문헌

  1. 강인석 외 2인, "건설공사단계별 리스크 인자 중요도에 관한 현황 분석", 대한건축학회 논문집, 구조계, 제17권 제8호, 2001, pp 103-110.
  2. 김창학, "건설공사 입찰단계에서의 리스크 분석 모델 개발, 박사학위논문, 1999.
  3. 민재형 외 1인, "PROMETHEE를 이용한 다기준의시결정", 서강경영논총, 서강대학교 경영연구원, 제14권, 제2호, 2003, pp.109-127.
  4. 박석영 외 2인, "ELECTREIS외 구현시 일치판정 기준비율 도출과 핵심대안 선정을 위한 혼합정수계획 모형", 대한산업공학회지, 대한산업공학회, 제31권, 제4호, 2005, pp.265-276
  5. 윤여완, "버스크 요인 분석을 풍한 전축공법 선정방법에 관한 연구 : 지하구조제 공종을 중심으로", 박사학위 논문, 2001.
  6. 윤유상, "건설공사의 공정리스크 관리시스템 개발" 박사학위 논문, 2005.
  7. 윤유상 외 3인, "공사프로세스기반 공정리스크 관리지원 시스템", 한국건설관리학회 논문집, 제9권 제4호, 2008, pp .101-110.
  8. 정태식, "착공 전 단계에서 공정 리스크 자감방안에 관한 연구 : 커튼윌 공사를 중심으로" 석사학위 논문, 2005.
  9. 황지선, "퍼지이론을 이용한 초기 건설공사의 리스크 관리 방법론", 석사학위 논문, 2003.
  10. 홍성준, "PROMETHEE와 ANP의 다기준 의사결정기법 비교 연구", 석사학위 논문, 2005.
  11. Brans, J. and Vincke, P., "A Preference Ranking Organization Method (The PROMETHEE Method For Multiple criteria Decision-Making)", Management Science, Vol. 31, No.6, 1985, pp. 647-656. https://doi.org/10.1287/mnsc.31.6.647
  12. Construction Industry Institute, PDRI : Project Definition Rating index for Building Projects, Construction Industry Institute, 1996, pp.1-61.
  13. Keeney, R. and H. Raiffa, "Decisions with Multiple Objective : Preferences and Value Tradeoffs", John Wiley & Son, New York, 1976.
  14. Saaty, Thomas L., The Analytic Hierarchy Process, McGaw-Hill, 1980.

피인용 문헌

  1. A Framework of Server-Based BIM System for Architectural Design firm vol.3, pp.2, 2013, https://doi.org/10.13161/kibim.2013.3.2.010
  2. Decision Making Model for Agricultural Reservoir using PROMETHEE-AHP vol.54, pp.5, 2012, https://doi.org/10.5389/KSAE.2012.54.5.0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