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Effects of the Field Management Training Program for Home Care Services : Understanding and Professional Competence

현장관리중심 교육훈련프로그램의 방문건강관리 이해도 및 업무수행능력 인식에 대한 효과

  • 김재희 (매릴랜드대학교 간호대학)
  • Received : 2010.03.26
  • Accepted : 2010.05.17
  • Published : 2010.06.30

Abstract

Objectives: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s of the Field Management Training Program for home care services personnel on their understanding and professional competences. Methods: The subjects were 373 team managers of public home care services who participated in the training program. Data was collected with a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in April and September, 2007. The subjects' level of understanding of home care was measured by 35 questions divided into 8 categories while their professional competence was measured by 15 questions divided into 5 categories. Result: After attending the training, the subjects' understanding improved from 20.90 points (possible range: 4~32) to 26.11 points. The most improvement was evident in the Planning and Public Health Education categories. Their professional competences improved from 10.81 points (possible range: 4~16) to 12.51 points. The improvement of their understanding and professional competences differed across to training places. It was also evident that an increase in understanding brought about an increase in professional competence. Conclusion: The Field Management Training Program needs to be continued with efforts to reduce the differences of training effects between training places. And additional recommendations should be made through further evaluation of subsequent training programs.

본 연구는, 2007년 맞춤형으로 강화된 방문건강관리를 시작하면서, 기존 방문보건사업의 문제점으로 지적되어왔던 인력활용에 문제점을 개선하고자 사업관리자들을 대상으로 사전 실시한 현장중심교육훈련에 대해 부분적으로나마 평가를 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본 연구의 평가결과가 교육훈련 전반에 대해 해석되기에는 무리가 있겠으나, 가장 중요한 이해도 및 업무수행능력 측면에서 평가를 시도하였다는 데 의의가 있다고 하겠다. 연구결과 이해도 및 업무수행능력 모두 교육훈련 전 후에 의미 있는 변화를 보였다. 대상자의 업무관련 경력 및 간호직으로서의 전문성 여부와는 상관없이 교육훈련의 효과가 나타났으나, 교육훈련을 실시한 권역별로는 효과의 차이가 있었다. 한편 사업에 대한 이해도는 업무수행능력에 원인적 연관관계가 있었다. 이런 자료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현장관리중심으로 이루어진 방문건강관리 교육훈련프로그램의 운영 및 평가에 대한 제언을 하고자 한다. 첫째, 실무현장관리에 초점을 둔 본 교육훈련 프로그램은 효과가 있었던 것으로 나타났으므로 이를 지속적으로 운영하되, 교육훈련 2차, 3차에 대한 평가 결과와의 비교분석을 통해 강화방안을 확인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새롭게 구성된 사업이 시작되기 전에 이루어진 교육훈련에 대한 평가로, 지속적인 교육훈련에서도 동일한 결과를 보일 것으로 확대 해석하는 데는 무리가 있을 것이기 때문이다. 한편 사업이 정착되면서 교육훈련은 신규 관리자와 기존관리자를 구분하여 이원체계로 운영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인데, 이들 각각에 적용될 별도의 평가도구를 개발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둘째, 모든 권역에서 동일한 수준의 교육훈련 프로그램이 제공될 수 있도록 해야 하며, 그 전에 모든 권역을 분석대상에 포함시키고 다른 측면에서도 교육효과의 차이를 평가해 볼 필요가 있을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교육훈련의 효과가 권역별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대상자 수등의 한계로 전체 권역을 분석하지는 못하였다. 셋째, 본 연구의 분석대상은 맞춤형 서비스를 위한 교육훈련 프로그램이다. 따라서 교육훈련도 맞춤형 서비스에 걸맞게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지역의 환경 및 주민의 특성을 고려한 맞춤형서비스가 교육훈련 내용에 반영될 수 있도록 전국 규모의 일률적인 교육훈련 외에, 지방 단위의 교육훈련이 필요할 것이다. 넷째, 현재 3~4개의 FMTP가 국가 차원에서 이루어지고 있다. 모두 공공보건의료기관의 보건의료인력이라는 동일한 집단을 대상으로 하고 있으며, 교육훈련내용의 큰 틀은 지역보건의료이다. 따라서 교육내용의 상당 부분은 겹치기 마련이며, 동일한 대상자들이 여러 FMTP에 중복 참가하고 있다. 국가적으로 불필요한 예산이 소요될 수 있으며, 거의 의무적으로 참가자를 보내야 하는 보건의료기관은 업무수행에 차질을 가져올 수 있다. 교육훈련에 대한 요구도를 파악한 후 이에 근거하여 교육대상자를 선정하고, 전체 교육훈련과정에 일괄적으로 참여하는 식이 아니라 각자 필요한 부분에 선별적으로 참여할 수 있는 기회를 보장해야 할 것이다. FMTP 경험여부만 확인한 본 연구의 결과가 위의 제언에 대한 근거자료가 되지는 못하는데, 이것은 본 연구의 제한점으로 추후 연구에서는 FMTP 횟수가 교육훈련의 효과가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해야 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한편, 업무수행능력을 구체적으로 조사하지 못하였다. 추후 연구에서는 이를 보강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를 계기로 보건의료인력 교육훈련프로그램의 평가에 대한 연구 및 논의가 활발히 이루어져, 사업의 효율성뿐 아니라 보건의료서비스 이용의 형평성 제고에 더 큰 기여할 수 있기를바란다.

Keywords

References

  1. Lee TJ, Kim JH. A cost-benefit analysis of customized home-visiting health services. Graduate School of Health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2008, 51-52
  2. Ryu HS. The status and challenge of home care services in Korea. in: 2007 FMTP for the Customized Home Care Services. Seoul, Korea Health Industry Development Institute, 2007
  3. Lee IS. Introduction of and subject selection for visiting health care in Korea. In: 2007 FMTP for the Customized Home Care Services. Seoul, Korea Health Industry Development Institute, 2007
  4. Kim CJ, Lee WH, Lee CY, Kweon BE, Kim CS, Moon SM, Kang KH. An analysis of the work of visiting health care providers in Public Health Center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Public Health Nursing 2004;18(1):178-186(Korean)
  5. Ko IS, Kim CJ, Lee TW, Lee KJ, Kim ES, Ma HK, Lee YS, Park KM. Government assisted visiting nursing services of health center in 2000. J Korean Acad Nurs 2002;32(3):344-354(Korean) https://doi.org/10.4040/jkan.2002.32.3.344
  6. Ryu HS, Park ES, Park YJ, Han KS, Lim JY. A workload analysis of a visiting nursing services based on a health centers in Seoul. J Korean Acad Nurs 2003;33(7): 1018-1027(Korean) https://doi.org/10.4040/jkan.2003.33.7.1018
  7. Crisp B, Swerissen H, Duckett S. Four approaches to capacity building in health: consequences for measurement and accountability. Health Promotion Int 2000;15(2):99-107 https://doi.org/10.1093/heapro/15.2.99
  8. Harmer B. A capacity - building model for implementing a nursing best practice. J of Nurses in Staff Development 2008;24(1):36-42 https://doi.org/10.1097/01.NND.0000300850.12470.1b
  9. Heward S, Hutchins C, Keleher H. Organizational change-key to capacity building and effective health promotion. Health Promotion Int 2007;22(3):170-178 https://doi.org/10.1093/heapro/dam011
  10. WHO. Capacity Building on Health Action in Crises. Available from: URL: http://www.who.int/hac/techguidance/training/en/index.html
  11. Hwang KB, Kim MS, Yang TS, Yang BG, Jeong EK, Yang SJ, Kim KH. Evaluation on effectiveness of public health personnel training. J Korean Acad Soc Nurs Edu 1999;5(1):118-132(Korean)
  12. Kim JH. Analysis of relative efficiency of the Public Health Care Post and its related factor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Yonsei University, Seoul, 2004
  13. Um YR, Suh YO, Song RY, June KJ, Yoo KH, Cho NO. Development of nursing education model and the instrument for improving clinical competence. J Korean Acad Soc Nurs Edu 1998;4(2):220-235 (Korean)
  14. WHO. Preparing a health care workforce for the 21st century: the challenge of chronic conditions. Available from: URL: http://whqlibdoc.who.int/publications/2005/9241562803.pdf
  15. Kim EJ, Ko SD. Development of health professional training program for national health promotion services.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for Health Education and Promotion 2000;17(2):207-218(Korean)
  16. Kim SS. Development of community health nursing service model: Based on the visiting nurses project in Seoul, Kyonggi, and Kang‐won area. J Korean Acad Community Health Nurs 2001;12(2): 361-374 (Korean)
  17. Ham OK, Lim JY. Planning in visiting health care in Korea. In: 2007 FMTP for the Customized Home Care Services. Seoul, Korea Health Industry Development Institute, 2007
  18. Jung Y, Cheong JR. A study on the performance & job satisfaction on visiting nurses of district health center in Chonnam province. Journal of Regional Development 2004;9(1):17-37(Korean)
  19. Lim JY, Jeong JH. Factors affecting the effectiveness of training for government innovation: Changes of public officials' behavior by training programs for innovation. Korean Public Administration Quarterly 2008;20(3): 921-949(Korean)

Cited by

  1. Implementation and Evaluation of Nutrition Capacity Training Program for Dietitians and Related Professionals Working at Customized Home Visiting Health Services vol.19, pp.1, 2014, https://doi.org/10.5720/kjcn.2014.19.1.7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