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udy on Customized Education through Job Analysis for the Department of Furniture Design -Focusing on the Computer Application-Oriented Education for Furniture Design Coordinator-

  • Lee, Young-Choon (Dept. of Living Furniture Design, Seoil University) ;
  • Shin, Rang-Ho (Dept. of Interior Furniture Design, College of Design, KNU)
  • Received : 2010.08.01
  • Accepted : 2010.11.17
  • Published : 2010.11.25

Abstract

The aim of study is to suggest the improvement of the major curriculum used in the department of furniture design in two-year colleges. For this purpose two processes were conducted step by step. The first phase was to evaluate the jobs selected by job analysis specialist and staffs in charge in July 2009, and to analyze what are the desired points for the good adaptability and business improvement in case that student would find job in relevant field after graduating from colleges. Furniture design coordinator hereupon was selected as the object and DACUM (Developing A CurriculUM) was applied to the method of job analysis. In the second process conducted from September 2009 to October 2010, the customized curriculum based on the result from the first phase was newly opened to help student create any design result. This study was composed of the result of job analysis, the customized curriculum based on it and the research of efficiency through the end result and finally the discussion how to improve the customized education for the future. It is no doubt very important process for the step up of quality of college education, the improvement of students' competence and their good adaptability after finding jobs. This study should lay the foundation of different job analysis and the customized curriculums accordingly for not only furniture design coordinator, also for various furniture design-related jobs, and furthermore it should be expected that the continuous research and development contributes to the realization of college education to raise excellent students.

본 연구의 목적은 2년제 대학 가구디자인 전공 교육과정의 개선을 제안하는 데 있다. 이 목적을 이루기 위하여 2단계의 단계별 과정을 수행하였다. 첫째는 직무분석 전문가와 실무 관계자들을 중심으로 하여 선정된 직종의 직무분석을 하고 학생이 졸업 후 해당 직종에 취업할 경우 취업 적응력 및 업무 향상을 위하여 필요한 내용이 무엇인지 분석을 하는 것이었다. 대상 직종은 가구디자인 코디네이터로 선정하여 진행하였다. 두 번째 단계에서는 1단계 직무분석에서 도출된 결과를 토대로 하여 맞춤형 교과과정을 새로이 개설하고 수업을 진행하여 학생들의 디자인 결과물을 유도하였다. 연구결과 학생들의 실무작업에 대한 이해도와 작품 완성도가 높아졌으며 전공 수업에 대한 신뢰도가 향상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직무분석 결과와 이에 따른 맞춤형 교과과정의 시행 내용, 그리고 최종 결과물을 통해 연구의 효율성 검토 그리고 향후 개선 방향의 제언 등으로 구성하였다. 이는 대학 교육의 내실을 기하고, 학생들의 경쟁력 제고 및 취업 후 업무 적응능력 향상 등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매우 중요한 과정이라 믿어 의심치 않는다. 본 연구를 통하여 가구디자인 코디네이터라는 직종뿐 아니라 다양한 가구디자인 관련 직종의 직무분석 및 그에 따른 맞춤형 교육과정 시행의 초석이 다져지길 바라며 더 나아가 지속적인 연구 및 개발을 통해 우수한 인재를 양성할 수 있는 대학 교육의 실현을 기대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