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alysis of Local Resident's Consciousness on Coastal Restoration Project in Gangjin Bay

강진만 해역복원사업에 대한 지역주민 인식분석

  • 홍선기 (목포대학교 도서문화연구원) ;
  • 김경완 (목포대학교 도서문화연구원) ;
  • 김재은 (목포대학교 도서문화연구원) ;
  • 이경아 (목포대학교 도서문화연구원)
  • Received : 2010.11.27
  • Accepted : 2010.12.07
  • Published : 2010.12.31

Abstract

This research is about the monitoring of people's consciousness on ecosystem change after coastal restoration project in Gangjin Bay. Tidal flat ecosystem of Ganjin Bay was major producing district of short-necked clam in Jeonnam Province. Owing to coastal restoration project (sand gathering and dredging) during 5 years, however, ecosystem was disturbed and harvesting of fish was decreased. Although a few of ark shell and oyster are harvested but drastically decreased. Even aging and depopulation is general situation like other rural regions, life pattern of villages and depopulation in Gangjin Bay was influenced by drastic decreasing of income. As the results of social monitoring, drastic decreasing of fish and shell in Gangjin Bay is significantly concerned with coastal restoration project (sand gathering and dredging) and also with difficulty of fresh-water inflow to coastal bay because of Jangheung Dam. In order to get the detail information on the cause and consequence of ecosystem change in tidal flat, it is necessary to apply the long-term socio-economic monitoring as well as biological and ecosystem monitoring.

본 연구는 준설과 모래채취가 시행된 강진만 해역복원사업 이후 강진만의 생태계 변화에 대한 주민들의 인식변화를 알아보기 위하여 주민 모니터링을 실시한 것이다. 과거 주요 바지락 생산지였던 강진만의 갯벌생태계는 해역복원사업(모래채취 및 준설)으로 인하여 생태계가 교란되어 어패류를 생산할 수 없게 되었다. 아직도 부분적으로 고막과 석화 등이 채취되나 점차 그 생산량은 줄어들고 있다. 이로 인해 지역주민들의 삶도 크게 변화되고 있다. 농어촌의 특성상 인구가 급격히 줄어드는 특징은 여느 농어촌과 비슷하지만, 해역의 훼손과 오염으로 인해 어패류가 급감되자 생계에 직접적인 타격을 받은 어민들로 인해 더욱 심각한 인구감소가 나타나고 있다. 지역주민 인식분석 결과 강진만의 오염과 어패류의 급감은 해역복원사업과 장흥댐 건설로 인한 담수 공급 어려움에 의한 것으로 요약된다. 본 연구를 통하여 갯벌에 대한 생태계 조사뿐 아니라 이곳에 의존하는 어촌주민들에 대한 장기적인 사회경제 모니터링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Keywords

References

  1. 강진군 통계연보(2000, 2004, 2008)
  2. 국립수산과학원, 2009, 해양수산연구정보포털 (http://portal.nfrdi.re.kr/)
  3. 나범수, 2002, 도암만 표층퇴적물의 분포와 지화학적 특성, 전남대 석사학위논문, pp. 79
  4. 문교부, 1981, 한국동식물도감 제 25권 동물 편 (조류생태).
  5. 박진영, 2002, 한국의 조류 현황과 분포에 관한 연구, 경희대학교 박사학위논문, pp. 527
  6. 군산대학교 수산과학연구소, 2007, 사내․만덕호 담수방류에 따른 해양생태계 영향 조사 보고서.
  7. 수협, 2009, 수산물유통정보(http://fifis.kr/)
  8. 유환수․김용도․고영구․정건수․김해경, 1990, 남해 강 진만 일대의 퇴적환경에 관한 연구, 한국지구과학회지, 11(3), pp. 250-260.
  9. 이우신․구태회․박진영, 2000, 야외원색도감 한국의 새, LG상록재단
  10. 한국수자원공사, 2007. 12, 장흥다목적댐건설사업 강진만 해양환경조사.
  11. 한국수자원공사, 2008. 12, 장흥다목적댐건설사업 환경영향조사.
  12. 한국수자원공사, 1996. 12, 탐진다목적댐건설사업 실시설계보고서.
  13. 한국해양기술(주)․한국기술개발(주), 2001. 5, 강진만 연안정비 해역복원사업 타당성조사 용역최 종보고서.
  14. 홍선기 외 2005. 생태복원공학: 서식지와 생태공간의 보전과 관리, 라이프사이언스, 서울. pp. 310
  15. 환경부, 2006, 제3차 전국자연환경조사지침.
  16. 上嶋英機, 2004, 海と陸との環境共生学, 大阪大学出版会.
  17. 山下 洋, 2007, 森里海連環学, 京都大学.
  18. 自然環境硏究センター, 2002, 環境アセスメント技 術ガイドー生態系,自然環境硏究センター. pp. 277
  19. Hong, S.-K., C.-H. Koh, R.R. Harris, J.-E. Kim, J.-S. Lee and B.-S. Ihm. (2010), Land use in Korean tidal wetlands: impacts and management strategies. Environmental Management. 45:1014-1026. https://doi.org/10.1007/s00267-006-0164-3
  20. Ketchuhm, B. H. (1972), The Water's Edge: Critical Problems of the Coastal Zone. The MIT Press. Cambridge.
  21. Masanori, S. and C.-H. Koh. (2004), Biological richness of the Asian tidal flats and its crisis by human impacts. In: Ecological Issues in a Changing World- Status, Response and Strategy (S-K Hong et al. Eds.). Kluwer Academic Publisher, Dordrecht, The Netherlands. 2004.
  22. McNaughton, S. J. (1967), Relationship among functional properties of California Glassland. Nature, 216: 144-168.
  23. Nagumo, T. and R. Hatano (1990), Nitrogen losses to the environment with production and consumption of food in Hokkaido and their impact on water quality. In: International Symposium on Bio-Recycling/ Composting in Sapporo. (K. Kumazawa ed.), Council for Promotion of Utilization of Organic Materials, Hokkaido, pp. 37-39.
  24. Shannon, C. E. and E. Weaver (1949), The mathematical theory of communication, Univ. of Illinois Press, Urbana. pp. 64
  25. Estuary Processes Research Project (http://www.estproc.net/EstProc_project.htm)
  26. Belle W. Baruch Institute for Marine & Coastal Science/ Data Archives (http://links.baruch.sc.edu/Data/)
  27. Georgia Coastal Ecosystem LTER (http://gce-lter.marsci.uga.edu/public/research/ gce2_q3.as)
  28. Plum Island Ecosystems Long Term Ecological Research (http://www.pielter.or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