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반응속도 실험 수업에서 자기조절 학습 전략이 과학탐구 능력, 과학적 태도 및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n Scientific Inquiry, Scientific Attitudes, and Scientific Achievements of Experimental Classes for Kinetics Unit using Self-Regulated Learning Strategy

  • 투고 : 2009.12.29
  • 심사 : 2010.07.29
  • 발행 : 2010.10.30

초록

본 연구는 고등학교 10학년 과학 '반응속도' 단원에 대해 자기조절 학습 프로그램 활용 실험수업을 실시한 후, 과학탐구 능력, 과학적 태도 및 학업성취도에 대한 교수-학습 효과를 분석하였다. 통제집단에 대해 교과서 및 교사용 지도서에 따라 실험수업을 실시하였으며, 실험집단에 대해서는 자기조절 학습 프로그램 활용 실험수업을 실시하였다. 사전 검사에서 두 집단 간에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으나, 사후검사에서 실험집단의 평균값이 유의미하게 높았다. 과학탐구 능력의 경우, '인과관계'에서 가장 높게, '변인통제'에서 낮게 평균값 차이가 나타났다. 과학적 태도의 경우, '정직성'과 '개방성'에서 두 집단 간의 평균점 차이가 가장 크게 나타났다. 학업성취도의 사후검사 결과, 실험집단의 평균점수가 통제집단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 또한 실험집단의 사후검사 결과, 자기조절 학습 전략과 과학탐구 능력, 과학적 태도 및 학업성취도 사이에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자기조절 학습의 세부요소에서 동기조절이 이들과 (과학탐구 능력 및 학업성취도) 가장 높게 상관성을 나타내었으며, 그 다음으로 행동조절과 인지조절 순으로 나타났다. 특히 메타인지 요소가 가장 낮게 상관성을 나타내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teaching-learning effect of using self-regulated learning strategy on experimental classes for the 'kinetics' unit of 10th grade science textbook. Six classes were chosen and classified into two groups: the first group, the control group, was taught with the regular laboratory activity and the other group, the experimental group, was taught with the teaching-learning method using self-regulated learning program. After the laboratory activity for the unit using self-regulated learning program, the mean values of the scientific inquiry, scientific attitudes, and performance assessment of the experimental group were larger than those of the control group.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two groups in the post-test. With the results of the post-test for the experimental group, the self-regulated learning program has significant relationships on scientific inquiry, scientific attitudes, and scientific achievements.

키워드

참고문헌

  1. 강순자, 양정은, 여성희 (2002). 중학생의 과학성취도와 자기조절학습, 학습 환경과의 상관관계. 한국생물교육학회지, 30(2), 190-196.
  2. 고유경, 김현경, 최병순 (2006). 학업동기가 높은 학생들의 학업성취도 수준에 따른 의지조정전략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6(3), 376-384.
  3. 교육인적자원부 (1997). 중학교 교육과정해설(III). 교육부 고시 1997-15호, 서울: 대한교과서(주).
  4. 김경화 (2001). 자기조절학습전략 훈련의 효과분석. 교육심리연구, 18(1), 3-22.
  5. 김병석, 김영신, 정황호, 이길재 (2001). 과학수업에서 학습의지전략과 학습전략 및 성취도와의 관계. 한국생물교육학회지, 29(4), 300-308.
  6. 김영신, 조은숙, 정환호 (2002). 학습환경 변인이 초등학생의 과학탐구능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2(1), 1-11.
  7. 노태희, 장신호, 임희준 (1998). 초등학교 자연수업에서 메타인지 학습전략의 효과, 한국과학교육학회지, 18(2), 173-182.
  8. 노태희, 장신호 (1999). 초등학교 자연수업에서 브이도와 조절적 메타인지 학습전략의 효과, 한국과학교육학회지, 19(2), 229-238.
  9. 송영욱 (2005). 중학생들의 문제해결활동이 과학 탐구능력 및 과학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0. 양명희 (2000). 자기조절학습의 프로그램 탐색과 타당화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1. 이종기 (1988). 고등학생의 과학탐구능력 측정을 위한 평가도구 개발. 한국교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2. 정진수, 정완호 (1995). 중학교 과학 수업에서 학습자 특성에 따른 순환학습 모형의 효과. 한국과학교육학회지, 15(3), 284-290.
  13. 정미선 (2007). 자기조절학습 프로그램이 과학탐구능력, 학업성취도, 과학적 태도 및 탐구동기에 미치는 영향. 부산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4. 황성원, 김희경, 유준희, 박승재 (2001). 중학교 3학년 학생들의 개방적 탐구에서 과학적 탐구과정기능에 대한 자기평가 수행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1(3), 506-515.
  15. 황순희 (2004). 자기조절학습전략 글쓰기 프로그램이 아동의 글쓰기 능력∙자기조절학습전략 및 자아 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초등교육연구, 17(2), 345-368.
  16. Brown, A. L., Branford, J. D., Camoione, J. C., & Ferrara, R. A. (1983). Learning, remembering, and understanding, In J. H. Flavell & E. H. Markham (Eds.), Handbook of child psychology: Cognitive development, New York: Wiley.
  17. Corno, L., & Mandinach, E. B. (1983). The role of cognitive engagement in learning from instruction. Educational Psychologist, 18(2), 88-108. https://doi.org/10.1080/00461528309529266
  18. Flavell, J. H. (1979). Metacognition and cognition monitoring: A new era of cognition developmental inquiry. American Psychologist, 34(1), 906-911. https://doi.org/10.1037/0003-066X.34.10.906
  19. Kuhl, J. (1985). Volitional mediators of cognition-behavior consistency: self-regulatory processes and action versus state orientation. In J. Kuhl & J. Bechmann (Eds.). Action control from cognition to behavior. West Berlin: Springer-Verlag.
  20. Newman, R. S. (1990). Children helpseeking in the classroom: The role of Motivational factors and attitudes.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82(3), 71-80. https://doi.org/10.1037/0022-0663.82.1.71
  21. Pintrich, P. R. (1999). Talking Control of Research on Volitional Control: Challenges for Future Theory and Research. Learning and Individual Difference, 11(3), 335-354. https://doi.org/10.1016/S1041-6080(99)80007-7
  22. Pines, A. L., & West, L. H. T. (1986). Conceptual understanding and science learning: An interpretation of research within a sources-of-knowledge framework. Science Education 70(5), 583-604. https://doi.org/10.1002/sce.3730700510
  23. Senecal, C., Koestner, R. & Vallerand, R. J. (1995). self-regulation and academic procrastination. The Journal of Social Psychology, 135, 607-616. https://doi.org/10.1080/00224545.1995.9712234
  24. Wilson, J. T. (1974). Process of scientific inquiry: A model for teaching and learning science. Science Education, 58(1), 127-133. https://doi.org/10.1002/sce.3730580118
  25. Zimmerman, B. J. & Martinez-Pons, M. (1986). Development of a structured interview for assessing student use of self-regulated learning strategies. American Educational Research Journal, 23(4), 614-628. https://doi.org/10.3102/00028312023004614
  26. Zimmerman, B. J. (1986). Becoming a selfregulated learner: Which are the key sub-processes? Contemporary Educational Psychology, 11(4), 307-313. https://doi.org/10.1016/0361-476X(86)90027-5

피인용 문헌

  1. Influence of Curricular Context Factors within Student- and School-levels on the 2006 PISA Science Achievements of Korean Students vol.15, pp.2, 2010, https://doi.org/10.24231/rici.2011.15.2.281
  2. 과학영역에서의 자기효능감과 학업성취의 관계에서 인지적 자기조절학습전략의 매개효과 vol.31, pp.6, 2010, https://doi.org/10.14697/jkase.2011.31.6.958
  3. STEAM 프로그램의 문제해결활동이 중학생의 메타인지에 미치는 영향 vol.40, pp.1, 2010, https://doi.org/10.21796/jse.2016.40.1.17
  4. 과학관련 정의적 영역 검사도구에 대한 조사 연구 vol.45, pp.1, 2010, https://doi.org/10.15717/bioedu.2017.45.1.41
  5. Moderating Effects of Self-regulated Learning Strategies on the Relation between Academic Stress, Academic Burnout and Academic Engagement in Adolescents vol.65, pp.1, 2010, https://doi.org/10.25152/ser.2017.65.1.195
  6. The Effect of Learning Strategies on Academic Achivement: A Meta-Analysis based on Learner’s Characteristics and Intervention Conditions vol.24, pp.5, 2010, https://doi.org/10.24159/joec.2018.24.5.57
  7. 탐구실험 수업에 자기조절학습 전략을 적용: 학업성취도 및 과학적 태도에 대한 효과 vol.7, pp.1, 2021, https://doi.org/10.17703/jcct.2021.7.1.48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