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초등학교 교사의 과학 수업 비평관점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ritical Viewpoint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for Science Class

  • 투고 : 2010.09.03
  • 심사 : 2010.11.15
  • 발행 : 2010.12.31

초록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교 초임교사의 과학수업에 대한 초등 교사들의 수업비평을 분석하여 교사들이 나타내는 수업비평의 관점과 특징을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대상인 수업비평자들은 저경력과 고경력 초등교사를 포함하여 모두 6명이다. 비평의 대상이 된 수업은 초등학교 5학년 1학기 7단원 '식물의 잎이 하는 일'중 두 차시의 실험수업이다. 본 연구의 분석 결과, 교사들은 18개의 코드 중 다음 3가지 코드인 동기유발, 학생 중심의 탐구, 결과정리를 주요 관점으로 비평하고 있었다. 표준적인 체크리스트와 같은 요소별 비평을 하고 있으며, 부분상황적, 맥락적 특징을 드러내는 비평을 하고 있었다. 또한 저경력 교사들은 초임교사의 과학수업에 많은 공감을 나타냈으며, 자신의 초임시절 수업경험을 성찰하며 수업비평을 나타낸다. 그에 비해 고경력의 교사들은 자기 성찰, 상황해석이나 이해보다는 수업전반을 평가하려는 평가자의 입장이 우세하였다. 초등학교 과학수업에 대한 교사들의 수업비평 관점을 조사한 본 연구의 결과는 교사들의 과학수업에 대한 전문성 발달 프로그램 설정 및 교사교육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In this study, class criticism by elementary school teachers was analyzed on the subject of science classes by beginner teachers. And then the viewpoints and characteristics of the class criticism were investigated. Teachers for class criticism consisted of six members, including two each of low- and high-career teachers. The viewpoints were analyzed in comparison with all the teachers. The subject of class criticism was 'Activity of leaves in plants', which is in the seventh unit of the science textbook for fifth grade elementary students of the first semester. The result of this study was as follows. Teachers criticized the science class mainly with three codes of viewpoints: motivation, inquiry focused on student, and summary of the results, where viewpoints consisted of 18 codes. They criticized the class by factors on a standard checklist and their criticism was characterized by partial situation and context. Low-career teachers criticized the class with the viewpoint in sympathy with the beginner teachers and criticized the class with the viewpoint of recollecting their teaching experience as beginners. While high-career teachers criticized the class mainly overall situations rather than specific matters. The result of this study can be used as basic data for a program of professional development and teacher education for science classes.

키워드

참고문헌

  1. 강현석(2007). 교사의 실천적 지식으로서의 내러티브에 의한 수업비평의 지평과 가치 탐색. 교육과정연구, 25(2), 1-35.
  2. 곽영순(2003a). 과학과 수업 분석에 대한 사례 연구.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3(5), 484-493.
  3. 곽영순(2003b). 질적 연구로서 과학 수업비평. 교육과학사.
  4. 곽영순(2005). 과학과 수업평가 실태 및 개선 방안 연구.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5(4), 494-502.
  5. 권홍진, 김찬종, 최승언(2006). 초임 중등 과학 교사의 교수 활동에 대한 지향과 실행: 동기 유발과 학생 이해를 중심으로. 한국지구과학회지, 27(3), 289-301.
  6. 김찬종, 맹승호, 차현정, 박영신, 오필석(2006). 과학교수활동에 대한 우선순위와 동기적 근접발달영역에 비추어 본 초임 과학 교사와 경력 교사와의 상호 작용에 대한 사례 연구.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6(3), 425-439.
  7. 김혜영, 백성혜(2009). 제7차 화학 1 교육과정의 목표, 내용 및 평가에 대한 화학교사들의 인식 및 수업의 실제.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9(6), 653-665.
  8. 나귀수(2009). 초등학교 교사의 수업 비평의 특징에 대한 연구. 대한수학교육학회지, 11(4), 583-605.
  9. 류현종(2004). 초등학교 역사 수업에서 만난 두 '아우라'. 사회과 교육, 43(1), 113-148.
  10. 안금희(2005). 초등미술과 수업에 대한 교육비평 연구. 미술교육연구논총, 18, 107-125.
  11. 안유민, 김찬종, 최승언(2006). 초임 중등 과학 교사의 수업에서 과학 내용의 전개 방식과 내용 이해 전략.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6(6), 691-702.
  12. 이정숙(2005). 문화현상으로서의 국어수업비평. 한국초등국어교육, 29, 277-313.
  13. 이혁규(2007). 수업 비평의 필요성과 방법에 대한 탐색적 논의. 교육인류학연구, 10(1), 155-185.
  14. 이혁규, 이경화, 이선경, 정재찬, 강성우, 류태호, 안금희, 이경언(2007). 수업, 비평을 만나다. 우리교육.
  15. 이혁규(2009). 수업 비평의 개념과 위상. 청주교육대학교 교육연구원 학술대회 자료집: 수업연구와 교사의 성장-새로운 모색, 159-177.
  16. 이희원, 김영수(2004). 과학교사의 가르치는 능력에 관한 평가 준거 개발. 한국생물교육학회지, 32(4), 348-359.
  17. 전화영, 홍훈기, 박은이, 김현정(2009). 중등 과학 교사 수업 평가에 대한 사례 연구,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9(1), 106-115.
  18. 정재찬(2006). 국어 수업비평론, 국어교육학연구, 25, 389-420.
  19. Allen, R. & Casbergue, R. (1997). Evolution of novice through expert teachers' recall: Implications for effective reflection on practice. Teaching and Teacher Education, 13(7). 741-755. https://doi.org/10.1016/S0742-051X(97)00018-8
  20. Bogdan, R. & Biklen, S. (1998). Qualitative Research for Education: An Introduction to Theory and Methods(3th ed.). Boston: Allyn and Bacon.
  21. Flinders, D. J. & Eisner, E. W.(1994). Educational criticism as a form of qualitative inquiry. Reserch in the Teaching of English, 28(4), 341-357.
  22. Mulhalland, J. & Wallace, J. (2005). Growing the tree of teacher knowledge: Ten years of learning to teach elementary science.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42(7), 767-790. https://doi.org/10.1002/tea.20073
  23. Stransbury, K & Zimmeman, J. (2000). Lifelines to the classroom: Designing support for beginning teachers. Washingon, DC: National Center for Improving Science Education, WestEd.
  24. Westerman, D. (1991). Expert and novice teacher decision-making. Journal of Teacher Education. 42(2), 292-305. https://doi.org/10.1177/002248719104200407

피인용 문헌

  1. A Study on the Critical Viewpoint of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for Music Class vol.29, pp.3, 2010, https://doi.org/10.24211/tjkte.2012.29.3.173
  2. An analysis of pre-service teachers’ perspective on classroom instruction in critical essays vol.25, pp.2, 2010, https://doi.org/10.17927/tkjems.2013.25.2.339
  3. 초등학교 현직교사와 예비교사의 수학 수업 비평의 관점에 대한 연구 vol.54, pp.1, 2010, https://doi.org/10.7468/mathedu.2015.54.1.1
  4. A Study on reducing private educational expenditures with smart learning through the effective use of digital textbooks vol.27, pp.3, 2010, https://doi.org/10.17927/tkjems.2015.27.3.457
  5. Exploring the Design Characteristics of Secondary Pre-Service Teachers Derived from Instructional Design Education in Teacher Training Institutions vol.29, pp.2, 2017, https://doi.org/10.17927/tkjems.2017.29.2.28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