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Game-Playing Plasticity of Modern Art Focused on Media Arts

미디어아트를 중심으로 한 현대미술의 유희성에 관한 연구

  • 이세정 (나사렛대학교 디자인학부) ;
  • 유현배 (나사렛대학교 디자인학부)
  • Received : 2010.11.09
  • Accepted : 2010.12.27
  • Published : 2010.12.31

Abstract

While various artistic trends coexisting in the 20th century, media arts that formed with the medium of a material attempts in various ways to induce the establishment of the artwork through the public communication. The visual arts that use the media satisfy both the artistry and the popularity in the area of popular culture as the form of variable. Moreover, visual arts stimulate a playful sense of human to maximize the public satisfaction that works here. This paper aims to discuss the potentials and the trends in the contemporary art by understanding the conceptual and principle background of the contemporary media art which shows the active employment the playful sense of human nature in the work in order to establish the effective communication with the public. Consequently, as the digital environment and advanced network technology which were thought to be the key elements of the popularization of media art were reached its limit, media artist, Tony oursler's artwork which was created based on human playful nature and interactive artwork that supports the audience to interact with artwork and its space are proven to be the useful devises for the public communication.

20세기 다양한 예술 사조가 공존하는 가운데 물질적 매개체를 이용해 제작되는 미디어아트는 예술적인 특성상 대중과의 커뮤니케이션을 통해 작품의 성립을 유도하고자 하는 다양한 시도가 이루어져왔다. 이러한 분위기 속에서 미디어를 활용한 조형예술은 대중적인 문화영역에서 가변적인 형태로 예술성과 대중성을 동시에 만족시키고 있다. 더욱이 여기서 작용하는 대중적인 만족도를 극대화시키기 위해 인간의 유희적인 감각을 자극하는 방법을 사용하게 된다. 본 논문에서 현대미술 가운데 미디어아트 영역이 앞서 언급한 대중과의 효과적인 커뮤니케이션을 위하여 인간의 유희적인 감각을 작품에 적극적으로 활용하게 되는 개념적인 배경과 그 원리를 파악하여 대중성 확보를 위한 현대미술의 흐름과 가능성에 대해 고찰해 보았다. 그 결과, 미디어아트의 대중화를 위한 다양한 시도의 대안으로 대두되었던 디지털 환경과 강력한 네트워크의 기술적인 환경이 그 한계에 다다르면서 인간의 유희적인 본성을 대중적과의 커뮤니케이션의 성공적인 장치로 활용할 수 있음을 인간의 유희적 본성을 기반으로 하는 미디어아티스트 토니 오슬로의 작품과 인터액티브 기반으로 관객이 작품 및 공간을 유희할 수 있도록 제공하는 인터액티브 작품을 통해서 확인 할 수 있었다.

Keywords

References

  1. 참고 사이트: http://www.arthyun.com/word/wo14.htm
  2. 모니카 몰-두첸, 재닛 쿠크,열려라 현대미술, 아트북스, 2004년
  3. 참고 사이트: http://100.naver.com/100.nhn?docid=189221
  4. 마살 맥루한, 미디어의 이해, 믿음사, 2002
  5. Rush Michael, 뉴미디어 아트, 시공사, 2003
  6. 대안영상문화발전소, 아이공, 2003
  7. 김지연, 디지털 매체 기술과 미디어 아트간의 상관관계 분석에 관한 연구, 한국디자인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pp.146-147, 2005
  8. 이영훈, 뉴미디어 아트와 시간, 재원, 2004
  9. 이진영, 현대예술의 이해, 부산디지털대학교, 2004
  10. 이효선, 현대상업 실내공간에서 나타나는 미디어아트 표현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실내디자인학회, 2007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논문집, pp.89-92, 2007
  11. 서경원, 임경란, 미디어 아트에 나타난 시공간 개념의 표현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통권61호, pp.347-356, 2007
  12. 참고사이트: http://tonyoursler.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