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Hydromorphological Structure Assessment of Urban Streams after Close-to-Nature Stream Restoration Using LAWA

LAWA 기법을 사용한 도시 자연형하천의 물리적 구조평가

  • Choi, Gye-Woon (Dept. of Civil & Environmental System Engineering., Univ. of Incheon) ;
  • Kim, Hyea-Ju (Institute of Landscape Planning Hyea-Ju Kim) ;
  • Park, Jong-Sik (Hanwha Research Institute of Technology) ;
  • Han, Man-Shin (International Center for Urban Water Hydroinformatics Research & Innovation)
  • 최계운 (인천대학교 공과대학 토목환경공학과) ;
  • 김혜주 (김혜주자연환경계획연구소) ;
  • 박종식 ((주)한화건설 기술연구소) ;
  • 한만신 ((재)국제도시물정보과학연구원)
  • Received : 2009.06.08
  • Accepted : 2010.03.19
  • Published : 2010.05.31

Abstract

The hydromorphological structure assessment of the urban streams of Anyang stream, Yangjae stream, Osan stream, Jangsu stream, and Hakui stream 5 years the after close to nature stream restoration work was performed using LAWA (Laenderarbeitsgemeinschaft Wasser) for the investigation of the ecology of streams in urban areas. Based on the results, the effectiveness of stream restoration in urban areas was least in spite that existing various types of stream improvements were applied. Significantly, the grade of the longitudinal, the waterfront, and the use of land nearby waterfront was poorly evaluated. It would be estimated that this trend was due to the discontinuity of the longitudinal, the lack of diversity in waterfront, the installation of facilities nearby waterfront, and was due to the use of hard materials as like stones, blocks, frames, and mats in waterfront. The further studies on the implementation of structural diversity in waterfront should be performed for the improvement of the ecology of urban streams.

자연형 하천조성 후 5년 이상 경과한 도시지역의 하천(안양천, 양재천, 오산천, 장수천, 학의천)을 대상으로 LAWA (Laenderarbeitsgemeinschaft Wasser, 독일 연방 물관리 연구공동체) 기법을 활용하여 하천의 물리적 구조평가를 수행하였다. 그 결과 소위 자연형 하천 공법이 적용된 대상하천임에도 불구하고 하천의 물리적 구조적 생태성이 개선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대상하천의 종단면의 구조, 하안구조 및 하천변 토지이용도의 항목에서 낮은 등급을 나타냈다. 그 이유로는 하천종단면의 연속성 단절, 하안구조의 다양성 부족 및 하천주변의 인위적 시설물배치 등이다. 아울러 대상하천의 공통적 특징으로 하안에는 거석, 잡석, 블록 등의 견고한 호안재료가 적용되었으며 식재가 이루어졌다. 따라서 앞으로 도심하천의 보다 양호한 생태성 향상을 위해서는 하천의 다양한 물리적 특성을 고려한 자연형 하천 조성이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Keywords

References

  1. 건설교통부(1995). 수원천 하천정비 기본계획
  2. 건설교통부(1997). 오산천 하천환경 관리계획 및 실시 설계보고서
  3. 김기홍, 이형래(2007). "소하천의 자연형하천 정비사업에 따른 교란 및 적응 평가", 한국환경복원녹화기술 학회지, Vol. 10, No. 3, pp. 71-87.
  4. 김동찬, 이정, 박익수(2000). "자연형 하천복원을 위한 하천자연도 평가", 한국조경학회지, Vol. 27, No. 5, pp. 138-149.
  5. 김선근, 김고은, 이지은, 신동훈, 이규석(2004). "도시 자연형하천 공사 후의 경관개선방안", 한국환경복원녹화기술학회지, Vol. 7, No. 5, pp. 66-74.
  6. 김재철, 이상화, 신동훈, 이규석(2006). "집중호우 후 도시 자연형하천의 사주변화 파악", 한국환경복원녹화기술학회지, Vol. 9, No. 6, pp. 162-167.
  7. 김혜주(1997). "자연형 호안공법의 원리와 적용상의 문제 -양재천 학여울 구간을 예를 들어-", 한국수자원학회지, Vol. 30, No. 4, pp. 56-67.
  8. 김혜주(1999). "자연형 하천 조성을 통한 하천의 자정능력 향상 -식물의 수질정화작용을 중심으로-", 한국수자원학회지, Vol. 32, No. 5, pp. 148-152.
  9. 김혜주(2000). "자연형 하천에서의 호안재료와 환경변화 -식물생태계를 중심으로-", 한국수자원학회지, Vol. 33, No. 6, pp. 56-67.
  10. 김혜주, 김창완, 우효섭(2003). "하천횡단구조물이 하천의 생태적 발전에 미치는 영향과 대안", 대한토목학회지, Vol. 51, No. 3, pp. 42-58.
  11. 김혜주(2005). 자연형 하천 계획 설계, 태림문화사.
  12. 문석기, 이은엽, 한성식, 이기준(2000). "침수방틀을 이용한 자연형 하천의 수충부 녹화공법 개발", 한국환경복원녹화기술학회지, Vol. 4, No. 1, pp. 98-109.
  13. 박병철, 신영철, 서애숙(2002). "GIS를 이용한 하천의 자연성 평가 -청주시 무심천 지역을 중심으로-", 한국지리정보학회지, Vol. 5, No. 1, pp. 48-57.
  14. 박진원, 마호섭(2003). "양재천의 식생현황과 하천자연도 평가", 농업생명과학연구, Vol. 37, No. 2, pp. 57-70.
  15. 서초구(2003). 양재천 자연형하천 조성사례.
  16. 신정이(1999). "자연형 하천 공법 적용후의 식생변화분석", 한국환경복원녹화기술학회지, Vol. 2, No. 3, pp. 10-17.
  17. 안근영, 이은희(2000). "자연형 하천 생태계를 위한 식생 개선 방안 연구 -중랑천을 사례로-", 한국환경복원녹화기술학회지, Vol. 3, No. 2, pp. 35-46.
  18. 인천시(2004). 장수천 하천정비 기본계획.
  19. 이상호(2000). "안양천의 자연형 하천 설치구간 선정을 위한 하천평가 기법적용에 관한 연구", 산업과학연구, Vol. 9, pp. 90-103.
  20. 조용현(1997). 생태적 복원을 위한 중소하천 자연도평가 방법 개발, 박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
  21. 최규창, 김남춘(1999). "자연형 하천 식생복원을 위한 달 뿌리풀, 물억새, 솔새, 수크령의 녹화방법에 관한 연구", 한국환경복원녹화기술학회지, Vol. 2, No. 2, pp. 70-77.
  22. 하천복원연구회(2006). 하천복원사례집.
  23. 한국건설기술연구원.김혜주자연환경계획연구소(2007). 중.소규모 하천의 물리적구조 평가시스템 사용자 설명서(Ver. 1.0).
  24. 한국건설기술연구원(2007). 다기능하천실험사업.
  25. Krause, A. (2000). Ueber Motive fuer die oekologis che Verbesserung von Wasserlaeufen. In: Bunde samt f. Naturschutz (Hrsg.): Angewandte Lands chaftsoekologie. H. 37, pp. 9-11.
  26. Laenderarbeitsgemeinschaft Wasser (LAWA) (2000). Gewaesserstrukturguetekartierung in der BRD. 1. Auf. Schwerin.

Cited by

  1. A Comparative Study on the Preference and Visual Characteristics of Stream Landscape According to Hydromorpological Structures vol.15, pp.3, 2013, https://doi.org/10.17663/JWR.2013.15.3.301
  2. Physical Disturbance Improvement Evaluation and Habitat Suitability Analysis by Stable Channel Design vol.3, pp.4, 2016, https://doi.org/10.17820/eri.2016.3.4.285
  3. Analyses of Riverbed Changes and Physical Disturbance Evaluations by Weir Installation in a Reach vol.34, pp.4, 2014, https://doi.org/10.12652/Ksce.2014.34.4.1203
  4. The Classification of Instream Habtats for Ecological River Restoration vol.1, pp.2, 2014, https://doi.org/10.17820/eri.2014.1.2.08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