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맥도날드의 브랜드 개성이 선호도, 만족도, 재방문에 미치는 영향 -일본 대학생을 중심으로-

Effect McDonald's Brand Personality on Preference, Satisfaction, and Revisiting in Restaurants : Japanese College Students

  • 이상미 (세명대학교 호텔관광학부) ;
  • 문보영 (을지대학교 여가디자인학과)
  • 발행 : 2010.01.28

초록

본 연구는 일본 대학생들이 맥도날드 브랜드 개성에 대한 선호도, 만족도, 재방문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파악함으로써 고객을 유인하고 유지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한다. 설문지는 일본 도쿄에 거주하는 대학생을 대상으로 150부를 배포하였고, 128부를 분석에 활용하였다. 실증분석을 통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브랜드 개성 중요도에서 '현대적인', '활달한', '친근한', '젊은' 순으로 나타났다. 이는 IT문화에 익숙한 젊은층이 음식을 주문하고 기다리면서 테이블에 있는 컴퓨터로 오락과 콘테츠를 즐길 수 있는 공간이 제공되기 때문이다. 둘째, 브랜드 개성에서 '성실성', '지성/전문성', '건전성' 요인이 선호도와 만족도에 유의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문적이면서 변함없이 신뢰할 수 있는 이미지가 부각될 때 선호도와 만족도가 높게 나타나는 것이다. 셋째, '성실성', '지성/전문성' 요인이 재방문에 유의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맥도날드에 대한 전문적이고 친근한 이미지를 더욱더 강화시킴으로써 고객이 재방문하도록 유도해야 할 것이다. 결과적으로 제품과 서비스에 대해 선호도와 만족도가 높으면 재구매로 직결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paper is to analyze which factors affect preference, satisfaction, and revisiting on McDonald's brand personality and to suggest distinguished guidelines for drawing core customers. The questionary distributed 150 who is college students in dokyo, Japan, then used for data analysis 128. The results come up with; First, 4 variables which are 'up-to-date', 'spirited', 'darling', and 'young' showed up importantly in brand personality. These mean young generation would like to enjoy playing on-line game and contents with computer on the table during wait their order. Second, 3 factors (sincerity, intelligence/specialization, and wholesome) in brand personality had highly significant in preference and satisfaction. When they feel strongly specialization and trust in product, it should be showed highly with preference and satisfaction. Third, 2 factors (sincerity, and intelligence/specialization) had strongly significant in revisiting. As marketer reinforce darling and specialized image about McDonald, Therefore, they should make customer to purchase again. Finally, if customer prefered and satisfied with product in the restaurant, it could be connected rebuying.

키워드

참고문헌

  1. P. R. Dickson, D. Chakravarti, and G. Biehal. "Memory-based inferences during consumer choice," J. of Consumer Research, Vol.17, pp.82-92, 1990(6). https://doi.org/10.1086/208539
  2. R. Batra, J. G. Myers, and D. A. Aaker, "Advertising management upper saddle river," NJ: Prentice Hall, Inc. 1996.
  3. A. L. Biel, "Converting image into equity," In D. A. Aaker and A. L. Biel(Eds.), Brand equity and advertising, Hillsidale, NJ: Lawrence Erlbaum Associates, 1993.
  4. S. Fournier, "Consumers and their brands: Developing relationship theory in consumer research," J. of Consumer Research, Vol.24, pp.343-373, 1998(3). https://doi.org/10.1086/209515
  5. M. J. Sirgy, "Self-concept in customer behavior: A critical review," J. of consumer research, Vol.9, pp.287-300, 1982. https://doi.org/10.1086/208924
  6. 이상건. 이창기, "외식브랜드 개성 세분화와 고객 만족도 및 충성도에 관한 연구“, 호텔관광연구, 제7권, 제2호(통권18호), pp.276-291, 2005.
  7. W. Matthies, "Perspectives on product personality," Harvard Business Review, Vol.36(Jan.-Feb.), pp.47-55, 1997.
  8. B. Knutson, "College students and fast food," The Cornell H.R.A. Quarterly, pp.68-74, 2000(6).
  9. L. L. Berry, "Cultivating service and brand equity," J. of the Academy of Marketing Science," Vol.28, No.1, pp.128-137, 2000. https://doi.org/10.1177/0092070300281012
  10. Z. Jingyun, S. E. Beatty, and G. Walsh, "Review and future direction of cross-cultural consumer research," J. of Business Research, pp.211-224, 2008. https://doi.org/10.1016/j.jbusres.2007.06.003
  11. Watson and James, "Golden arches East: McDonald's in East Asia," Stanford, CA: Stanford University Press, 1997.
  12. J. T. Plummer, "How personality makes a difference," J. of Advertising Research, Vol.24, No.6, pp.27-31, 1984.
  13. J. T. Plummer, "Brand personality: A strategic concept for multinational advertising," in Marketing Educator's conference, New York: Young and Rubicom, pp.1-31. 1985.
  14. D. A. Aaker, "Building strong brand," New York: The Free Press, 1996.
  15. J. A. Aaker, "Dimensions of brand personality," J. of Marketing Research, Vol.34(August), pp.347-373, 1997. https://doi.org/10.2307/3151897
  16. J. A. Aaker. "The malleable self: The role of self-expression in Persuasion", J.of Marketing Research, Vol.36(February), pp.411-454, 1999. https://doi.org/10.2307/3151914
  17. J. M. Siguaw, A. Mattila, and J. R. Austin, "The brand personality scale: An application for restaurants", The Cornell H.R.A. Quarterly, Vol.40(June), pp.48-55, 1999.
  18. Y. J. Sung, and S. Tinkham, "Brand personality structures in the United States and Korea: Common and Culture-specific factors", J. of consumer psychology, Vol.15, No 4, pp.334-350, 2005. https://doi.org/10.1207/s15327663jcp1504_8
  19. J. L. Aaker, V. Benet-Martinez, and J. Garolera, "Consumption symbols as carriers of culture: A study of Japanese and Spanish brand personality constructs", J. of Personality & Social Psychology, Vol.81, No.3, pp.492-508, 2001. https://doi.org/10.1037/0022-3514.81.3.492
  20. 하인주, 김지회, 이애주, “A Cross-national comparative study on fastfood restaurant's brand personality between Beijing and Seoul", 외식경영연구, 제11권, 제3호, pp.255-274, 2008.
  21. 윤태환, “An application of the brand personality scale to restaurants brands”, 관광연구, 제18권, 제3호, pp.211-227, 2004.
  22. 김홍범, 이상미, "브랜드개성이 점포 이미지 및 선호도에 미치는 영향“, 관광학연구, 제26권, 제1호, pp.63-82, 2002.
  23. 이상미, "한.중 대학생의 브랜드 개성이 선호도 및 재방문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테츠학회논문지, 제9권, 제9호, pp.403-410, 2009.
  24. 박선희, 김태희, 김준석, “호텔 레스토랑 브랜드 개성이 소비자: 브랜드 관계의 질과 재방문 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호텔경영연구, 제14권, 제4호, pp.99-115, 2005.
  25. 이용기, 윤유정, 김은주, “패밀리 레스토랑의 브랜드 개성이 감정, 고객만족, 그리고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아웃백과 빕스의 비교”, 외식경영연구, 제11권, 제3호, pp.193-216, 2008.
  26. 안대희, 이관표,, “패밀리 레스토랑의 브랜드개성이 소비자만족도와 브랜드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호텔관광연구, 제7권, 제2호, pp.148-163, 2005.
  27. 이상건, 이충기, “외식브랜드 개성 세분화와 고객만족도 및 충성도에 관한 연구”, 호텔관광연구, 제7권, 제2호, pp.276-291, 2005.

피인용 문헌

  1. Convergence Characteristics of Ant Colony Optimization with Selective Evaluation in Feature Selection vol.11, pp.10, 2011, https://doi.org/10.5392/JKCA.2011.11.10.04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