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ypology of Perception on Media Fortune-contents in Digital Age

디지털시대 미디어운세콘텐츠에 관한 인식 유형화

  • 이제영 (관동대학교 경영대학 광고홍보학과) ;
  • 원준희 (성균관대학교 신문방송학과)
  • Published : 2010.01.28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sider a social influence and fitness with related a ripple effect of media fortune-contents in digital age. This Work was studied by Q-methodology to approach in-depth and essential meaning about this study. The perception type of this study was divided into three types. Above all, in this study we investigate two points to us. Points of this study ; First, how the type of the perception is divided on the subjectivity about Media Fortune-contents in Digital Age? Second, what is a trait of character in same or different quality within these types? The result reveals three types that divided '1 : Scientific Appeal Type ; N=10', '2 : Value-depended Type ; N=7', '3 : Positive Preference Type ; N=3'. Those types found that there is very different type all over. In conclusion, it was found that general mass preferred and enjoyed positively on fortune culture, and were concerned about various a practical use and participation of media fortune-contents.

본 연구의 목적은 디지털시대 미디어운세콘텐츠의 파급효과와 관련하여 사회적 영향력과 그 적합성을 논하는 것이다. 이 논문은 심층적이고 본질적인 의미에 접근하기 위하여 Q방법론에 의해 연구되었다. 이 연구의 인식 유형은 3가지로 분류되었다. 무엇보다도, 이 연구에서 연구팀은 두 가지 연구문제를 제기한다. 즉, 첫 번째, 디지털시대의 미디어운세콘텐츠에 관한 인식유형은 어떻게 분류되는가? 둘째, 이러한 유형들 속에 일치하거나 차별적인 특성은 무엇인가? 등이다. 조사결과, 제 1유형은 학문적 소구형, 제 2유형은 가치의존형, 제 3유형은 긍정적 선호형 등으로 분석되었다. 결론적으로, 일반대중들은 미디어운세콘텐츠의 다양한 활용성과 참여성에 관심을 갖고 있고, 운세문화에 대해서 긍정적으로 향유하고 선호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Keywords

References

  1. 강유리, “무속신화의 구연특성 연구”, 서강대학교 대학원 국어국문학과 석사학위논문, 1993.
  2. 광주가톨릭대학 전망편집부, 신학전망, 제80호, pp.1617, 1988.
  3. 김길곤, “커뮤니케이션측면에서의 한국무속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77.
  4. 김정희, 한국민속학의 이해, 문학아카데미, p.128, 1994.
  5. 김흥규, Q방법론의 이해와 적용, 서강대학교 언론문화연구소, p.45, 1990.
  6. 김흥규, “주관성 연구를 위한 Q방법론의 이해”, 간호학 논문집, Vol.6, No.1, pp.1-11, 1992.
  7. 김흥규, “Q방법론의 과학정신탐구”, 언론학보 13, 한양대학교 언론문화연구소, pp.5-44, 1993.
  8. 동서문화, 한국 세계대백과사전, 제10권, pp.5648-5650, 1995.
  9. 동아일보 外, 세계대백과사전, 제19권, p.161, 1993.
  10. 서울대신문연구소, 문화방송, 동북아지역에서의 방송질서 변화와 대책, 서울: 나남출판사, p.201, 1992.
  11. 윤란지, “무속과 여성에 관한 일 연구: 한국여성의 역할 및 지위에 관련하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78.
  12. 이성의, “A Cultural Aspect of English Superstition”, 한국외국어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90.
  13. 이제영, “매스미디어와 미신에 관한 연구”, 한국외국어대학교 대학원 신문방송학과 석사논문, 1997.
  14. 이제영, 매스미디어와 미신, (주)한국학술정보, 2008.
  15. 이지영, “한국신화의 신격 유래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994.
  16. 최주렬, “한국무속의 인신신앙 연구”,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86.
  17. 태극출판사, 대세계백과사전. 제12권 <종교>, p.355, 1973.
  18. 한성각, “무속에 관한 독립신문의 사회교육적 견해에 대한 연구”,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90.
  19. S. R. Brown, Political Subjectivity, New Haven, Mass. : Yale Univ. Press, pp.58-178, 1980.
  20. H. Christian, Encyclopedia of Superstitions, London: The Anchor Press Ltd.. p.7, 1975.
  21. M. Webster, Webster's New Collegiate Dictionary, U.S.A: G and C Merriam Co., p.1161, 1980.
  22. S. J. Simmon, "Health: A Concept Analysis," Int. J. Nurs. Study, Vol.26, No.2, pp.155-161, 1989. https://doi.org/10.1016/0020-7489(89)90031-X
  23. W. Stephenson, The Study of Behavior : Q-Technique and Its Methodology. Chicago, IL: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954.
  24. W. Stephenson, "Consciousness Out-Subjectivity," In, The Psychological Record, p.18, 196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