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the Change of Marriage Ceremonies Science Industrialization in Korea: Focused on 1960~2000

한국사회의 산업화 이후 혼례관행 변화에 관한 연구: 1960년대~2000년대를 중심으로

  • Ahn, Hei-Sook (Dept. of Home Science & Industry, Sangji University)
  • 안혜숙 (상지대학교 생활과학 산업학과)
  • Received : 2010.07.01
  • Accepted : 2010.08.19
  • Published : 2010.08.31

Abstract

This study will attempt to show how marriage ceremonies in Korea have reflected marriage custom influences from science and industrialization the study focuses on changes in traditional features. As a result of science and industrialization, the social patterns of Korean marriages have considerably changed, due to the impact of western values. There are three stages of the Korean marriage ceremony: before the ceremony (Sun-rye), the ceremony (Bon-rye) and after the ceremony (Hu-rye). The research examined how these marriage customs were influenced by science and industrialization. The instruments were 750 questionnaires, analyzed through data processing and personal interviews with 25 married women. The data were analyzed by making use of the SPSS program using frequency analysis and $x^2$-test. The results suggested that, since 1960, Korean marriage ceremonies mainly conformed to the marriage customs of traditional society. Since 1970, traditional customs of the before the ceremony (Sun-rye) process have been, in large part, eliminated. The ceremony (Bon-rye) process has been changed to western style, and the after the ceremony (Hu-rye) process has been altered to some degree.

Keywords

References

  1. 강선미(1999). 한국혼인의례의 변화에 관한 연구. 한국정신문화연구원 석사학위논문.
  2. 강정림(2001). 한국 사회변동과 혼례문화의 변화.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 계선자, 이연숙, 이정우, 양숙희, 박미석, 최재순, 강기정, 김연화, 박남희, 이미선, 이영호, 임춘희, 차성란, 최미경(2009). 가족과 문화. 서울 : 교문사.
  4. 김득중(1997). 실천예절개론. 서울 : 교문사.
  5. 김모란(1994). 한국사회의 혼인거래관행에 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6. 김미숙, 김종숙, 김현주, 김혜경, 박옥희, 원영희, 이경아, 이선미, 이선이, 이선주, 이여봉, 장화경, 함인희(2002). 가족의 사회학적 이해. 서울 : 학지사.
  7. 김인옥 (2007). 가정의례연구. 서울 : 한국학술정보(주).
  8. 김인옥(2008). 예식업 종사자의 전통혼례에 대한 의식과 태도연구. 한국생활과학회지 17(6), 1181-1195.
  9. 김주희(2003). 일제 후반기 결혼예식과 혼수에 대한 사회사적 고찰. 가족과 문화 15(3), 87-108.
  10. 김혜선,박혜인(1993). 한국가정생활사. 서울 : 한국방송통신대학교.
  11. 박민자(1991). 자본주의 시장경제와 혼인 ‒ 도시 중간계층의 혼인 거래 관행에 관한 연구. 서울 : 도서출판 또 하나의 문화.
  12. 박숙자(1991). 자본주의 시장경제와 혼인 ‒ 도시 저소득층의 혼인양태. 서울 : 도서출판 또 하나의 문화.
  13. 박정순(1977). 우리나라 혼례현황에 관한 조사연구. 대한가정학회지 15(4), 77-89.
  14. 박혜인(1991). 자본주의 시장경제와 혼인 ‒ 한국전통혼례의 연속과 단절. 서울 : 도서출판 또 하나의 문화.
  15. 박혜인(2001). 가정의례의 변화와 21세기의 지향모색. 한국가족복지학 6(1), 31-54.
  16. 안정남(1991). 자본주의 시장경제와 혼인 ‒ 현대결혼의례의 의미. 서울 : 도서출판 또 하나의 문화.
  17. 안혜숙, 주영애, 김인옥(2003). 한국가정의 의례와 세시풍속. 서울 : 도서출판 신정
  18. 안혜숙, 김인옥(2007). 결혼과 가족. 서울 : 청목.
  19. 오재환(2001). 한국사회의 '근대화'와 의례 문화의 변화. 사회조사연구 16, 169-195.
  20. 이광자(1999). 광복이후 우리나라 혼. 제례 변화에 관한연구. 한국가족복지학 4, 153-186.
  21. 이영재(2008). 21세기 초 한국의 혼인제도와 혼례관행. 실천민속학 연구 12, 5-42.
  22. 장철수(1995). 한국의 관혼상제. 서울 : 집문당.
  23. 장하경(1996). 한국 사회변동에 따른 혼례 관행의 변화. 한국가정관리학회지 14(1), 147-161.
  24. 조남훈, 서문희, 계훈방, 김현옥, 배화옥, 이한우(1993). 가정의례에 관한 의식행태조사결과. 한국보건사회연구원 보고서.
  25. 조수연(2007). 한국결혼시장의 현황과 예측. 서울시립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6. 최진은(2006). 우리나라 웨딩 문화의 특성과 소비자 구매행동.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7. 한국결혼문화연구소(2006). 2005년 한국의 결혼문화실태 조사 보고서. (주)선우.
  28. 홍나영, 이은진, 박선희 (2002). 20세기 한국의 혼례문화 변천에 관한연구. 대한가정학회지 40(1), 141-156.
  29. 황경애, 이길표(1994a). 혼례의 변천에 관한 연구. 한국가정관리학회지 12(2), 163-174.
  30. 황경애, 이길표(1994b). 혼례행례 변천에 관한 연구.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31. Featherstone, M. (1992). Postmodernism and the Aetheticization of Everyday Life.
  32. In S. Lash & J. Friedman.(eds). Modernity & Identity: Oxford/Cambridge. USA.
  33. Robert H. Lauer, Jeanette C. Lauer(2007). Marriage & Family. The McGraw-Hill companies in USA.
  34. George P. Monger(2004). Marriage Customs of the World from Henna to Honeymoons. ABC-CLIO, Inc. in US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