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niversity Students' Life Skill Comparison in Japan and Korea

일본과 한국 대학생의 생활력에 관한 국제비교

  • Received : 2010.10.09
  • Accepted : 2010.12.20
  • Published : 2010.12.31

Abstract

This study held two objectives. One was to clarify life skill differences between Japanese and Korean university students. The other was to gain suggestions for further development of Japanese and Korean home economics education. A survey on life skills was delivered to university students in Japan and Korea in 2008. The survey included 82 life skills. The participants were asked the same three questions for each life skill: if the life skill was one a participant was already practicing ("Practice"), if the life skill was one the participant wanted to learn more to improve his/her life ("To be improved"), and if the life skill was one the participant expected people should learn in Home Economics ("Expectation"). The results did not show outstanding differences with the "Practice" rates between Japan and Korea, but characterized strength and weakness of each country's life skill "Practice." Both Japanese and Korean participants mainly showed a greater desire to improve the life skills they indicated low "Practice" for. As well, the Korean participants revealed significantly lower "Expectation" to learn most of the life skills. As a result, this study created several implications for Japanese and Korean home economics education. For example, one implication is necessity to increase substantively enough class hours for all school levels. Another is promoting the social understanding for the meaningfulness of home economics education.

본 연구는 일본과 한국 대학생을 대상으로 국가별 학생들의 생활력 차이를 명확하게 밝히고 일본과 한국 가정과교육에의 시사점을 고찰하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 본 연구는 2008년에 일본과 한국 대학생들에게 생활력(일상 생활을 위한 능력)에 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지는 생활력에 관한 것을 알아보기 위한 것으로 82문항을 만들었는데, 각각의 문항에 대해 조사 대상자가 스스로 생각하기에 생활에 이미 실천하고 있는지(이하 "실천") 여부, 보다 나은 생활을 위해 더 배우고 싶다고 생각하는지(이하 "과제") 여부, 또한 그러한 능력개발은 중등학교 가정교과를 통해 배워야 한다고 생각하는지(이하 "기대") 여부를 묻는 형태로 구성하였다. 연구결과, "실천"에 관해서는 일본과 한국 각각 특징적인 결과가 나타났는데 일본과 한국의 두 나라 사이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발견되지 않았다. "과제"에서는 두 나라 모두 주로 "실천"이 낮게 나타난 항목에서 생활력 향상을 위해 좀더 배우고 싶다는 높은 의욕을 나타내었다. 게다가 "기대"에서는 대부분의 항목에서 한국이 일본에 비해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낮은 기대를 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 일본과 한국 가정과교육의 과제로서는 초 중 고교에서 가정과교육을 실시하는데 필요한 충분한 수업 시간 수를 확보하고, 가정과교육의 중요성에 대한 사회적 이해와 지지를 구하기 위한 노력을 하는 데 있다고 하겠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