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search Management System for Creative Performances of Basic Research

창의적 기초연구성과를 위한 연子관리제도 개선방안

  • Received : 2010.06.14
  • Accepted : 2010.12.29
  • Published : 2010.12.31

Abstract

IT was 90's that the government actually support the basic research in Korea. During the two decades, government accelerate the support to the basic research and therefore distinctive increase in the number of SCI papers. In 2008, Korea produced 35,569 SCI papers and it takes 2.42% of total SCI papers in the world. But, in spite of this quantitative growth, the qualitative level of Korean SCI papers is stagnant at 30s. To improve these phenomenon, this paper suggests recommendations about three aspects of research management-research support, evaluation, output diffusion. In the 21st century, the creative research output is more important than ever. Thus the government shout change its basic research supporting system from quantitative to qualitative aspect.

우리나라에서 기초연구에 대한 지원이 본격적으로 이루어진 것은 1990년 기초과학연구진흥법이 시행되면서부터 이다. 이후 90년대에 기초연구에 대한 지원이 확대되기 시작하였고, 이러한 추세는 21세기에 들어서면서 더욱 가속화되었다. 그 결과 기초연구의 대표적 연구성과인 SCI 논문도 크게 증가하였다. SCI 논문수는 2008년에 35,569편으로서 세계전체의 2.42%를 점유하는 등 양적으로 큰 성장을 이룩하여 왔다. 그러나 이러한 양적인 성장에도 불구하고 논문 피인용횟수로 나타나는 질적인 측면은 세계 30위권에 머무르고 있는 실정이다. 본 연구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교육과학기술부의 기초연구사업을 중심으로 연구관리의 범주기획 지원 평과 관리 성과확산 중에서 지원, 평가, 성과확산에 관한 개선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특히 연구지원사업구조의 개편과 평가제도의 개선 그리고 기술료제도의 개선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Keywords

References

  1. 교육과학기술부(2008), "2009년도 이공분야 기초연구사업 시행계획".
  2. 교육과학기술부(2009a) , "교육과학기술부 연구사업 선진화 방안".
  3. 교육과학기술부(2009b), "국가지정연구실사업 자체평가보고서".
  4. 교육과학기술부.한국연구재단(2009), '2008 대학산학협력백서'.
  5. 국가과학기술위원회운영위원회(2008a) '연구자 진화적 국가 R&D 관리제도 개편' 2008. 4
  6. 국가과학기술위원회(2008b), "국가연구개발사업 관리제도 개선방안", 2008. 8. 12.
  7. 국가과학기술위원회(2009), "기초연구진흥종합계획, 2009. 1. 13.
  8. 김성근(2009), '기초.원천연구 지원정책 및 제도개선 연구' , 교육과학기술부, 2009. 12.
  9. 생물학연구정보센터(2009), 연구와 특허 인식도 조사, SciON Survey Report.
  10. 송충한(2006a), 기초연구사업의 현황과 발전방향, STEPI 포럼자료.
  11. 송충한(2006b), '이공계대학 연구경쟁력 살리기', 고려대학교출판부
  12. 송충한, 김해도(2008), "대학의기술이전촉진을위한국가연구개발사업의기술료제도개선 방안", '기술혁신학회지' 제11권 제1호.
  13. 이민형, 김계수(2008), '기초연구 투자 확대에 따른 기초연구사업 관리체제 발전 방안', 과학기술정책연구원.
  14. 이민형, 안두현, 박통배, 박기범, 김계수, 박미영, 김은실(2009), '창의적 기초연구 활성화를 위한 추진전략 및 지원방안' , 과학기술정책연구원.
  15. 이재영, 한성구 외(2002), '국가연구개발사업의 추진체계 및 관리시스템 개선방안 연구' ,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2002-1.
  16. 최재철(2005), '이공계 정부출연연구기관의 연구생산성 제고를 위한 기관고유사업 성과평가 모형 설계 및 활용방안' , 과학기술정책연구원, 2004-18.
  17.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KISTEP) (2010), "국가R&D성과물 세계 수준과의 격차 여전", 보도자료(2010. 2. 5).
  18. 허정은, 조영돈, 김해도, 조순로(2009), '피인용 상위1% 논문현황 분석' , 한국연구재단.
  19. NSF, htπtp://www.nsf.gov/div/index.jsp?div=DMS
  20. NSF, http://www.nsf.gov/mps/phy/awards.jsp
  21. Salter, A. and Martin, B. (2001), "he economic benefit'i of publicly funded basic research: a critical review", Research Policy; Vol. 30, Issue 3, p. 509-532.
  22. Tormatzky, L. G., P. G. Waugaman and D. O. Gray (2002), Innovation U: NewUniversity Roles in a Knowledge Economy. Southem Growth Policies Board. 2002;Lee Katterman, "Royalty-Sharing Formulas of the Top 10 U.S. Universities", The Scienctist 9[12]: 11, Jun. 12. 1995. Mauer(2002) 에서재인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