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학조성과 소성온도에 따른 재현 토기의 광물조성과 물성변화

Mineralogical Composition and Physical Variation of Reproduced Potteries based on Chemical Composition and Firing Temperature

  • 김수경 (국립문화재연구소 보존과학연구실) ;
  • 한민수 (국립문화재연구소 보존과학연구실) ;
  • 문은정 (국립문화재연구소 보존과학연구실) ;
  • 김영희 (국립문화재연구소 보존과학연구실) ;
  • 황진주 (국립문화재연구소 보존과학연구실) ;
  • 이한형 (국립문화재연구소 보존과학연구실)
  • Kim, Su-Kyoung (Conservation Science Division, National Research Institute of Cultural Heritage) ;
  • Han, Min-Su (Conservation Science Division, National Research Institute of Cultural Heritage) ;
  • Moon, Eun-Jung (Conservation Science Division, National Research Institute of Cultural Heritage) ;
  • Kim, Young-Hee (Conservation Science Division, National Research Institute of Cultural Heritage) ;
  • Hwang, Jin-Ju (Conservation Science Division, National Research Institute of Cultural Heritage) ;
  • Lee, Han-Hyoung (Conservation Science Division, National Research Institute of Cultural Heritage)
  • 투고 : 2010.08.05
  • 심사 : 2010.08.23
  • 발행 : 2010.09.20

초록

본 연구는 다양한 소성온도에서 원료 점토의 화학조성(광물조성)에 따른 토기의 특성을 밝히고, 소성조건과 특성이 확인된 토기시료를 제작함으로써 향후 비슷한 조성을 가지는 토기의 제작기법 연구에 비교시료로서 제시하고자 수행되었다. 이를 위하여 서로 다른 조성을 가지는 원료 점토를 선정하여 온도에 따른 토기 시편을 제작하고, 제작시편의 물리적, 조직적 특성을 연구하였다. 실험에 사용된 점토의 화학조성은 제겔식(Seger formula)을 이용하여 광범위하게 선정하였으며, 산성산화물을 기준으로 몰비율이 낮은 점토에서 높은 점토까지 4단계가 되도록 선정하였다. 시편의 소성은 $600{\sim}1200^{\circ}C$까지 $100^{\circ}C$간격으로 7단계로 조절하였다. 그 결과 각 화학조성별 소성온도에 따른 제작시편의 특성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산성산화물의 몰 비율이 6.10, 5.85로 높은 시편(Y, G)이 산성산화물의 몰비율이 3.41, 2.85로 낮은 시편(H, S)에 비하여 동일 소성온도에서 보다 높은 경도값을 가짐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4종의 제작시편 모두 $1100^{\circ}C$의 소성온도에서 급격한 흡수율의 감소와 조직의 유리질화를 나타냈으며, 산성산화물의 몰 비율이 높을수록 상대적으로 높은 조직의 유리질화를 보였다. 이러한 결과는 산성산화물의 몰 비율이 토기의 물리적, 조직적 특성에 상당한 영향을 미침을 보여주며, 향후 비슷한 조성을 가진 토기의 제작기법 연구와 물리적 특성을 파악하는데 비교자료로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aims to reveal characteristics of reproduced potteries which made with clays of various chemical compositions in different firing temperatures and thereafter to provide comparative samples for identifying the manufacturing techniques of earthenwares from archaeological excavation by reproducing and characterizing sample under controlled conditions. For this study, various samples of earthenware are reproduced using different types of raw clays at several different firing temperature, followed by physical and structural characterization. Chemical specification were varied from different types of clay, which were calculated by Seger formula, and four different types of clay were selected based on different mole ratio of acidic oxide. The temperatures of firing of 7 samples were varied between $600^{\circ}C$ to $1200^{\circ}C$ at the interval of $100^{\circ}C$ for each sample. The result of analysis revealed that each reproduced earthenware has different chemical compositions divided into two groups: 1. Sample Y(6.10) and Sample G(5.85) clay; 2. Sample H(3.41) and Sample S(2.85) clay. The former which has higher mole ratio of acidic oxide than the latter, shows higher level of rockwell hardness at the same firing temperature. In addition, all four samples presented that as the firing temperature was increased, absorption rates of Y and G were abruptly dropped at $1200^{\circ}C$. Furthermore the more mole ratio of acidic oxide increase, the more microtexture of samples were vitrificated. Such result reveals that mole ratio of acidic oxide influence physical and microtextural characteristics of earthenwares, and it can be used as the comparison data in the understanding of manufacture techniques for the earthenwares of similar chemical composition.

키워드

참고문헌

  1. 강현삼, "대전 원내동과 부안 유천리 도자기의 과학적 분석". 공주대학교 석사학위논문, p24-31, (2003).
  2. 조선영, "천안-아산 지역 청동기 시대 무문토기의 정량 분석과 고고과학적 의미". 공주대학교 석사학위논문, p69, (2010).
  3. 이연숙, "한국전통도자기 원료의 통계학적 연구". 중앙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p1-127, (2001).
  4. 김란희, "천안 쌍용동 용암유적 출토 조선시대 토기의 정량분석과 고고과학적 해석 및 재현실험". 공주대학교석사학위 논문, p1-141, (2008).
  5. 김수경, "천안 백석동 고재미골 유적 출토 무문토기의 고고과학적 특성 및 재현실험". 공주대학교 석사학위논문, p1-123, (2009).
  6. 문은정, 강희준, 김수경, 이한형, 홍종욱, 황진주, "토기의 경도 측정법 연구 -백제시대 배류를 중심으로". 보존과학회지, 25, p431-438, (2009).
  7. 한이현, "화성 향남유적 출토 토기의 정량분석과 고고과학적 해석". 공주대학교 석사학위논문, p1-117, (2007).
  8. 조동수, 김형식, "활석 $Mg_{3}Si_{4}O_{10}(OH)_{2}$의 고온안정영역에 관한 실험적 연구". 암석학회지, 6, p123-132, (2007).
  9. 한민수, "해저인양 고려청자의 산지추정에 관한 과학기술적 연구". 중앙대학교 박사학위논문, p1-240, (2006).
  10. 한국표준협회, "KS L4001-도자기의 흡수율, 부피비중, 겉보기 비중, 및 겉기공률의 측정방법".
  11. 한국표준협회, "KS B0806-금속재료의 로크웰 경도 시험방법".
  12. Tite, M.S. "Methods of physical examination in archaeology". Seminar pess, (197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