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search on Shumi-sen, Built by Baekjae Nohjagong - Excavation of Japanese Stone God Ruins, Centered on Mt. Sumeru Stone -

백제 노자공이 조성한 수미산에 대한 연구 - 일본 석신유적에서 발굴된 수미산석을 중심으로 -

  • Lee, Kyu-Wan (Dept. of Ornamental Horticulture, Youngsun High School)
  • 이규완 (영선고등학교 관상원예과)
  • Received : 2010.10.04
  • Accepted : 2010.11.11
  • Published : 2010.12.31

Abstract

Shumi-sen(須彌山), built by Nohjagong(路子工) in the southern garden of the Palace Garden during the Asuka Period, is understood as being Sumeru based on an Indian perspective of the theory of the origin of universe. It is also viewed as Mt. Myogoh from a Chinese Buddhist worldview. It is thought to be a type of assembled stone structure with Poong-ryoon (風輪)-Su-ryoon(水輪)-Geum-ryoon(金輪)-Ji-ryoon(地輪) carved into each of the 4 stone pieces. These building shapes are thought to have been utilized as stone for exterior construction as opposed to those structures built during the Shilla Period of China and Korea. Aside from Nohjagong's record of Shumi-sen, most of the records from Japan's period of the time suggest that Shumi-sen was an important element that played a role in the scenery of the seasonal outdoor gardens. It is also thought, from the sentences and expressions surrounding the records, that a combination of the seasonal sceneries was utilized centered on Shumi-sen, and that they were all used during festival events. From a perspective of analysis and interpretation dependent on the limited literature and on observation, it cannot be verified whether the Mt. Sumeru Stone(須彌山石) excavated from the Stone God Ruins is the same Shumi-sen that Nohjagong built along with Okyo(吳橋), but it is thought that the 'Shumi-sen type stone structure' that was later built repeatedly as part of the palace garden facilities is identical to the Shumi-sen built at the Imperial Palace's southern garden, or at least a re-built structure based on the Shumi-sen that Nohjagong built with stones and ponds used to create the foundation. Thus, Shumi-sen that Nohjagong supposedly built along with Okyo is suspected to be a figurative rock arrangement and, at the same time, a miniaturized scenic rock arrangement(縮景樹石) that maximized the shape of Buddhism's Shumi-sen. On the other hand, the surface pattern on Mt. Sumeru Stone is very similar to the multi -layers of mountainous pattern icons expressed in the patterns of the Great Golden Incense Burner(百濟金銅大香爐) or Mountain-Water Scenery Sculptural Brick(山水山景紋?) that were built during the Baekjae pcriod aod the rear side of Hwalsuk-jebul Basal Byungipsang(滑石諸佛菩薩竝立像); it is suspected that similar patterns would have been used if patterns were made on Shumi-sen that Nohjagong built. Also in consideration of the physical theory of MI. Sumeru Stone, the Siphon theory of using a pressure difference in water level was applied to the fountain facilities of Mt. Sumeru Stone that seemed to have been built from the practical rock arrangement perspective for the purpose of feasts, etc.

노자공이 일본 아스카시대 궁원 남정을 만들었다는 수미산은 인도의 우주관에서는 성산(聖山:Sumeru),중국의 불교적 세계관에서는 묘고산(妙高山)의 형태를 상징화한 것으로 이해되며, 풍륜-수륜-금륜-지륜을 각각 4개의 돌조각에 조각한 조립형 석조물로 추정된다. 노자공의 수미산기록 외에, 일본서기 수미산 등장 4차례의 기록은 수미산이 옥외에 설치된 정원의 구성요소이자 주요 경물로서의 역할을 하였음을 시사하고 있다. 특히, 일본서기 기록의 문구와 그 표현으로 보아 수미산을 중심으로 경물들을 조합하여 활용한 것으로 판단되며, 모두 향연을 위한 특별한 행사시 활용되었던 것으로 보인다. 석신유적에서 발굴된 수미산석이 노자공이 오교와 더불어 만든 수미산인지는 현재 확인할 수 없으나, 이후 궁원의 정원시설물로 되풀이되어 조성된 '수미산형의 석조물'은 노자공이 황궁 남정에 조성한 수미산과 동일한 것이거나, 최소한 노자공이 만든 수미산을 원형으로 그 이후 재차 제작된 것으로 추정되며, 수미산을 기본으로 돌과 연못을 함께 이용하며 원지를 조성했을 것으로 추정된다. 따라서, 노자공이 오교와 함께 만들었다는 수미산은 불교의 수미산의 형상을 최대한 구상화한 형태인 동시에 축경수석이었다고 추정된다. 그리고 수미산의 외형과 기능을 수미산석으로 미루어 추정할 때, 수미산 표면의 문양은 백제시대에 제작된 백제금동대향로나 산수산경문전 그리고 활석제불보살병립상 후면의 문양에서 표현되고 있는 여러 겹으로 겹친 산악 문양 등의 도상과 매우 흡사하였을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수미산석의 형태 및 구조를 고려할 때 수미산석 분수시설에 적용된 원리는 수위 차에 따른 압력을 이용하는 사이펀(siphon)의 원리를 적용하여 물을 이동 분출한 것으로 보이며, 향연 등을 목적으로 한 실용수석 차원에서 만들어진 것으로 추정된다.

Keywords

References

  1. 김혜원(2002)천계의 상승:극락 위계질서에 따른 불교 캐릭터.designdb07+ 08호.
  2. 김훈래(2008)백제금동대향로(국보 제287호)장식문양 연구.동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 대구MBC(2004)안압지 우리 정원의 원류를 찾아서.서울 도서출판 이른아침. pp.72-77
  4. 도광순(1993)한국의 산악신앙과 태백산. 도교학연구 12(1):3-14
  5. 마노 다카야(2001)도교의 신들.이만옥(역),서울:들녘.pp.40-44
  6. 멀치아 엘리아데(1997)성과 속-종교의 본질.이동하(역),서울:학민사.pp.33-34
  7. 윤현중(2001)일본어 한자사전.서울:진명출판사.
  8. 이난영(2003)백제금동대향로 발굴의 의의:백제금동대향로와 고대동아세아.국립부여박물관.pp.10-24.
  9. 조동석(2005)고구려 고분벽화의 수목과 산악도상 연구.홍익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0. 존 카터 코벨(2008)일본에 남은 한국미술.김유경(편역),pp.160-161
  11. 토마스 불핀치(1993)그리스 로마 신화.이윤기(역),서울:문화광장.
  12. 한국전통조경학회(2009)동양조경문화사.서울:도서출판 대가.p.463
  13. 顧頡剛,이부오(1991)중국 고대의 方士와 儒生.서울:온누리.pp. 242-247.
  14. 明日香村編(1986)島ノ庄方池デザインの起源.昭和61年度日本造園學會研究發表論文集(4).
  15. 明日香村編(2006)石神遺跡(A期)․水落遺跡のようす.
  16. 明日香村観光開發公社(2005)飛鳥の考古學図錄3:飛鳥への邂逅&須弥山石.明日香村教育委員會文化財課編.
  17. 飛鳥資料館(2000)'飛鳥池遺跡' 飛鳥資料館都錄. 第三十六冊.
  18. 上田正昭(1990) 百濟와 飛鳥文化.백제연구 21:117-125
  19. 外村中(2009) 飛鳥の須彌山石. 日本庭園學會. 全國大會研究發表集 21: 1-14.
  20. 宇杉和夫(1987) 須弥山について: 須弥山図譜, を中心にした考察. 都市計畵. 研究報告集. 計畵系 58:217-220.
  21. 柳揚(2003)上大山,見神人.백제금동대향로와 고대동아세아.국립부여박물관.pp.128-141.
  22. 日本書紀, 卷第廿六 齊明天皇條.
  23. 日本書紀, 卷第廿二 推古天皇條.
  24. 猪態兼勝(2003) 百濟陵寺里出土香爐のDesignと性格. 백제금동대향로와 고대동아세아.국립부여박물관.pp.151-161
  25. 田中正大(1953) 須彌山硏究の諸問題 第1報. 造園雑誌 17(1):1-6.
  26. 田中正大(1954) 須彌山硏究の諸問題 第2報. 造園雑誌 17(4):2-5
  27. 田中正大(1955) 須彌山硏究の諸問題 III. 造園雑誌 18(3,4):9-10.
  28. 田中哲雄(2002) 發掘された庭園. 日本の美術 2: 32-38.
  29. http://100.naver.com/100.nhn?docid=84164
  30. http://asuka.huuryuu.com/bunko/sakiyomi/9/sakiyomi-9.html
  31. http://blog.goo.ne.jp/gfi407/e/fae8b9c37bd42bd0e7c7fbe219a413a7
  32. http://ko.wikisource.org/wiki/%EC%9D%BC%EB%B3%B8%EC%8 4%9C%EA%B8%B0
  33. http://www.asukamura.jp/english/stone_structures/stone_structures. html
  34. http://www.asuka-tobira.com/asukamura/ishigami.htm
  35. http://www.designdb.com/zine/20020708_11.asp
  36. http://www.mbuddha.com.ne.kr